$\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 PET 섬유의 형상 및 길이가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ycled PET Fiber Geometry and Length on the Plastic Shrinkage Cracking of Cement Based Composite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19 no.2, 2007년, pp.233 - 239  

원종필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박찬기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황희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이상우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 제어에 폐 PET병으로부터 만들어진 재생 PET 섬유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PET은 플라스틱 재료라 알려진 재료로 음료수 병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폐 PET 병은 사용 후에 환경적 측면에서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폐 PET 병을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환경 및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되었다. 폐 PET 병을 재활용하는 방법 중 시멘트 복합 재료의 보강 섬유로 사용하는 방법은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에 재생 PET 섬유의 형상 및 길이의 효과를 얇은 슬래브 실험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실험 계획은 섬유의 형상, 길이 및 혼입률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생 PET섬유의 형상은 straight, crimped및 embossed type의 3가지 형상을 포함하며, 각 3가지 섬유형상 마다 3가지 수준의 섬유 혼입률 및 2가지 종류의 섬유 길이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재생 PET섬유는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에 효과적이었다. 섬유의 길이의 관점에서 길이가 긴 섬유는 섬유의 형상이 동일할 때 섬유체적비가 적을 때 효과적이며, 섬유체적비가 증가하면 길이가 짧은 섬유가 더욱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embossed type의 섬유는 적은 섬유 혼입률에서 다른 형상의 섬유보다 소성 수축 균열 제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높은 섬유 혼입률에서는 straight type의 섬유가 다른 형상의 섬유보다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 제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recycled PET fiber made from waste PET bottle on the control of plastic shrinkage cracking of cement based composites. PET is blown as a plastic material and used in a variety products such as a beverage bottle. However, waste PET bott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섬유의 길이 및 혼입률은 시멘트 복합 재료의 체적에 포함되는 섬유의 수를 결정하여 시멘트 복합 재료의 미세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분산성에도 영향을 미쳐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 수축 균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생 PET 섬유의 혼입률, 길이 및 형상에 따른 소성 수축 균열 제어 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재생 PET 병을 콘크리트의 균열 제어용 보강 섬유로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섬유의 형상, 길이에 따른 소성 수축 균열 제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특히 시멘트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을 가장 쉽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얇은 슬래브 공시체를 이용하여 시멘트 복합 재료의 소성수축 균열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얇은 슬래브 공시체 시험 방법으로 재생 PET 섬유의 형상, 길이 및 혼입률에 따른 시멘트 복합 재료 내에서 소성 수축 균열 제어특성을 평가하였다. 시멘트 복합 재료 내에서 보강섬유의소성 수축 균열 제어 성능은 섬유의 형상, 길이 및 혼입률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aaman, A E., New Fiber Technology, Concrete International, USA, Vol.20, No.7, 1998, pp,57-62 

  2. Wang, K., Surendra, P, Shah, and Pariya Puaksuk, 'Plastic Shrinkage Cracking in Concrete Materials Influence of Fly Ash and Fibers', ACI Materials Journal, Vol.98, No.49, 2001, pp.458-464 

  3. Balaguru, P. N. and Shah, S, P.,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McGraw-Hill Intemaltional Editions, 1992, pp.1-22 

  4. Bentur, A. and Mindess, S., Fibre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1990, pp.1-11 

  5. Balaguru, P., 'Contribution of Fibers to Crack Reduction of Cement Composites the Initial and Final Setting Period', ACI Materials Journal, Vol.91, M27, 1994, pp.280-288 

  6. S. Mindess, J. and Francis, D, Darwin, Concree, 2nd edition, Pentis Hall, NJ, USA, 2003, pp.1-8 

  7. Qi, C., Weiss, W. J., and Olek, J., 'Characterization of PIastic Shrinkage Cracking in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Semi-Automate Image Analysis', Concrete Science and Engineering, Vol.36, No.260, 2003, pp.386-395 

  8. Najm, H. and Balaguru, P., 'Effect of Large-Diameter Polymeric Fibers on Shrinkage Cracking of Cement Composites', ACI Materials Journal, Vol.99, No.4, 2002. pp.345-351 

  9. Naaman, A. E., Xia, Z., Hikasa, J.I., and Saito, T., 'Control of Plastic Shrinkage Cracking of Concrete with PYA Fiber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rastructure Regeneration and Rehabilit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UK, June 28-July 2, 1999, pp.371-385 

  10. Grzybowshi, M. and Shah, S.P., 'Shrinkage Cracking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87, M16, 1991, pp,138-148 

  11. Banthia, N, and Yan, C., 'Shrinkage Cracking in Polyolefin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97, No.4, 2000, pp.432-437 

  12. Banthia, N., Yan, C., and Mindess, S., 'Restrained Shrinkage Cracking in Fiber Reinforced Concrete: A Novel Test Techniqu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26, No.1, 1996, pp,9-15 

  13. Choi, Y. W., Moon, D. J., Chung, J. S., and Chod, S. K., 'Effects of Waste PET Bottles Aggregate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No.35, 1985, pp.776-781 

  14. Kraai, Paul P., 'A Proposed Test to Determine the Cracking Potential due to Drying Shrinkage of Cracking', Concrete Construction, Vol.30, No.9, 1985, pp.775-778, 

  15. Carlson, R. and Reading, T. J., 'Model of Studying Shrinkage Cracking in Concrete Building Walls', ACI Structural Journal, Vol.85, No.4, 1988, pp.395-404 

  16. 원종필, 박찬기, '폴리프로필렌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소성수축균열 및 내구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5권 5호, 1990, pp.783-790 

  17. Banthia, N. and Gupta, R., 'Influence of Polypropylene Fiber Geometry on Plastic Shrinkage Cracking in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No.36, pp.1263-12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