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동맥내 주사 TI-201 SPECT에서 심근 분절의 섭취: 부하-재주사 TI-201 영상과의 비교
Myocardial Tracer Uptake in SPECT Images after Direct Intracoronary Injection Of TI-201: Comparison with Stress-Reinjection Images 원문보기

핵의학 분자영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41 no.4, 2007년, pp.291 - 298  

서지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강성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배진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이용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이상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유정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안병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조용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재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관동맥 혈류가 감소된 부위에 혈중 방사성의약품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심근내 섭취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관동맥조영술 시에 관동맥 내에 Tl-201를 직접 주사한 후 SPECT 영상을 얻어 심근 분절의 섭취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심근영상을 생존심근의 진단에 이용되는 아데노신 부하-재주사 TI-201 SPECT 영상의 심근 내 방사성의약품의 섭취 정도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장 초음파검사에서 심벽운동의 이상이 있고, 관동맥조영술을 시행할 예정인 14명의 관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남자가 11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4세(36-73세)였다. 관동맥내 주사 TI-201 SPECT 영상은 관동맥조영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관동맥조영술이 끝나기 직전에 TI-201 111 MBq(3 mCi)를 나누어서 각각 좌, 우관동맥 내에 각각 직접 주사하여 얻었다. 아데노신 부하-재주사 TI-201 SPECT 영상은 TI-201 2-3mCi를 정맥주사 후 아데노신 부하영상을 얻고 4시간 후에 TI-201 1mCi를 재주사한 후 다시 영상을 얻었다. 심근분절의 섭취정도에 따라 0-3의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정상적인 섭취를 등급 0, 경도로 감소된 섭취를 등급 1, 중등도로 감소된 섭취를 등급 2, 심하게 감소되었거나 관류결손이 나타난 분절은 등급 3으로 분류하였다. 생존된 심근의 판정은 부하영상 재주사후의 영상, 또는 관동맥주사후의 영상 모두에서 심근 분절의 섭취정도가 등급 0, 1인 경우는 생존심근으로 판정하였고, 심근 분절의 Tl-201 섭취가 정상분절 섭취의 50%이하이며 역치를 50%로 설정 한 color coding으로 black-out하였을 때, 결손으로 나타나는 등급 2, 3을 비생존 심근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총 14명의 환자 중 14%에 해당하는 2명의 관동맥내 주사 영상은 낮은 계수율로 인하여 심장의 경계가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거나 분절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영상이 깨끗하지 못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심근분절 섭취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나머지 12명의 영상에서 총 252분절을 구분하여 섭취 정도를 분석하였다. 관동맥내 주사 영상에서 0등급-1등급이었던 192개의 분절을 생존심근으로 판단하였고, 재주사 영상에서는 0등급-1등급이었던 214개의 분절이 각각 생존심근으로 나타났다. 두 영상에서의 관류등급 평가에 대한 일치율은 76.5%였으며 생존능 평가에 대한 일치율은 90.5%였다. 부하-재주사영상시 비생존심근으로 나타난 38개의 분절 중 단 1개의 분절만이 관동맥내 주사 영상에서 생존심근인 것으로 판단할 소견을 보였으며, 부하-재주사 영상에서 생존심근인 것으로 나타났던 214개의 분절 중에서는 23개의 분절은 관동맥주사 영상시 오히려 생존능이 없는 것으로 하향 평가 되었다. 결론: Tl-201 관동맥내 주사 SPECT 영상은 Tl-201 부하-재주사 SPECT 영상과 비교하였을 때, 심근의 생존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는 있으나 우월하지 않았다. 관동맥내 주사 영상은 6시간에서 24시간이 지나 얻은 지연영상의 낮은 계수율 때문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을 것 이 라 판단되었고, 조기에 영상을 얻기가 어려운 현실에서, Tl-201 관동맥내 주사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은 제한적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I-201 SPECT with intra coronary injection (lC-I) in the detection of viable myocardium, we have performed SPECT imaging after direct intracoronary injection of TI-201 and imag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tress-reinjection (Re-I) SPECT. Methods: Fourte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관동맥 혈류가 감소된 부위에 혈중 방사성의약품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심근내 섭취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관동맥조영술 시에 관동맥내에 T1-201 를 직접 주사한 후 SPECT 영상을 얻어 심근 분절의 섭취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심근영상을 생존심근의 진단에 이용되는 아데노신 부하-재주사 TI-201 SPECT 영상의 심근 내 방사성의약품의 섭취 정도와 비교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Tc-99m MIBI나 Tc-99m tetrofosmin# 관동맥 내에 주사하고 얻은 영상이 부하-재주사 T1-201 영상보다 생존심근의 평가에 더 정확하다는 연구들도 9명이나 14명 정도의 소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한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이므로 향후 이들의 연구결과도 다시 평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에서 관동맥내 T1-201 의 주사는 좌주간동맥과 우관동맥에 방사성의약품을 동일 량으로 나누어 주사하였으므로 협착이 있는 동맥의 혈류 공급을 받는 심벽은 상대적으로 섭취 정도가 낮을 수 있으며, 좌심실의 넓은 부위에 혈류를 공급하여야 하는 좌전하행지 영역과 좌회선지 영역에는 우관동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방사성의약품의 분포가 적어 심근 생존능의 평가에 불리할 수 있었을 것이다. Tc-99m 표지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한 연구35,36)에서는 국소적인 심벽 운동 저하가 관찰되는 부위에 해당되는 관동맥 내에만 선택적으로 방사성의약품을 주사하고 섭취정도를 정맥주사 영상과 비교하여 관동맥내 주사 영상이 유리하다고 하였으나, 실제 관동맥 혈관의 분포는 심벽의 관류상태로 추측한 예상 혈관분포와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우회 혈류통로의 발달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이 또한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 본 연구에서는 심장초음파검사에서 국소적인 심벽 운동이 감소되었고 부하 T1-201 심근 SPECT 검사에서 국소 심근의 방사능섭취가 감소되어 심근생존능의 평가가 필요하였던 관동맥질환 환자에서, T1-201 을 관동맥내에 주사하여 섭취가 감소된 분절의 섭취를 증가시켜 생존심근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다. 관동맥내 주사 후 얻은 심장 단면 영상에서 심근 분절의 섭취 정도를 생존심근을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부하-재주사 영상 중 재주사 영상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관동맥 혈류가 감소된 부위에도 혈중 방사성의약품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심근내 섭취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관동맥조영술 시에 관동맥 내에 T1-201 를 직접 주사한 후 SPECT 영상을 얻어 심근 분절의 섭취 정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onow RO. Identification of viable myocardium, Circulation 1996;94:2674-80 

  2. Braunwald E, Rutherford JD. Reversible ischemic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evidence for 'hibernating' myocardium. J Am Coll Cardiol 1986;8:1467-70 

  3. Rahimtoola SH. The hibernating myocardium. Am Heart J 1989;117:211-3 

  4. Ross J Jr. Myocardial perfusion-contraction matching: implication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ibernation. Circulation 1991;83: 1076-83 

  5. Elefteriades JA, Tolis G Jr, Levi E, Mills LK, Zaret BL.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excellent survival with improved ejection fraction and functional state. J Am Coll Cardiol 1993;22:1411-7 

  6. Marshall RC, Tillisch JH, Phelps ME, Huang SC, Carson R, Henze E, Schelbert HR.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esting myocardial ischemia and infarction in man with positron computed tomography, $^{18}F -labeled fluorodeoxyglucose and N-13 ammonia. Circulation 1983;67:766-78 

  7. Tillisch JH, Brunken R, Marshall R, Schwaiger M, Mandelkorn M, Phelps M, Schelbert H. Reversibility of cardiac wall-motion abnormalities predicted b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N Engl J Med 1986;314:884-8 

  8. Dilsizian V, Bonow RO. Current diagnostic techniques of assessing myocardial viability in hibernating and stunned myocardium. Circulation 1993;87:1-20 

  9. Bax JJ, Van Der Wall EE, Harbinson M. Radionuclide techniques for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and hibernation. Heart 2004;90(Suppl V):v26-33 

  10. Matsunori I, Fujino S, Taki J, Senma J, Aoyama T, Wakasugi T, et al. Myocardial viability assessment with technetium-99mtetrofosmin and thallium-201 reinjection in coronary artery disease. J Nucl Med 1995;36:1961-7 

  11. Bonow RO, Dilsizian V. Thallium-201 and technetium-99m sestamibi for assessing viable myocardium. J Nucl Med 1992;33: 815-8 

  12. Hamilton GW, Ritchie JL, Allen D, Lapin E, Murray JA.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with 99m-Tc or 113m-In macroaggregated albumin: correlation of the perfusion image with clinical, angiographic, surgical, and histologic findings. Am Heart J 1975; 89:708-15 

  13. Luther M, Langer F, Schneider A, Henselmann L, Kiefhaber F. Scintigraphy of the myocardium. Comparative study between thallium and perfusion scintigrams. Muench Med Wochenschr 1977;119:15-22 

  14. Oxley DK, Bolton MR, Shaeffer C, Roger R, Sim DN, Fischer CL. Intracoronary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pattern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lin Nucl Med 1978;3:94-102 

  15. D'Souza VJ, Schwartz JS, Amplatz K. Correlation between intracoronary Tl-201 myocardial scanning, coronary angiography and left ventriculography. Radiology 1978;127:433-6 

  16. Parker JA, Markis JE, Royal HD. Assessment of regional wall motion and perfusion by multigated myocardial scintigraphy after intracoronary Tl-201. Radiology 1985;154:783-6 

  17. Siegel ME, Chen DC, Lee K, Rasmussen D, Colletti P, Thom P, et al. Gated intracoronary thallium-201 scintigraphy: feasibility and potential clinical advantages. Angiology 1989;40:513-20 

  18. Gewirtz H, Beller GA, Strauss HW, Dinsmore RE, Zir LM, McKusick KA, et al. Transient defects of resting thallium scan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irculation 1979;59:707-13 

  19. Perrone-Filardi P, Pace L, Prastaro M, Piscione F, Betocchi S, Squame F, et al. Dobutamine echocardiography predicts improvement of hypoperfused dysfunctional myocardium after revasculariza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irculation 1995;91:2556-65 

  20. Cerqueira MD, Weissman NJ, Dilsizian V, Jacobs AK, Kaul S, Laskey WK, et al. Standardized myocardial segmentation and nomenclature for tomographic imaging of the heart: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Cardiac Imaging Committee of the Council on Clinical Cardiology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2;105:539-42 

  21. Siegel ME, Colletti P, Thom P, Chandraratna PAN, Rahimtoola SH. Intracoronary Tl-201: short acquisition gated myocardial scintigraphy (abst). J Nucl Med 1983;24:p37 

  22. Soman P, Taillfer R, DePuey EG, Udelson JE, Lahiri A. Enhanced detection of reversible perfusion defects by Tc-99m sestamibi compared to Tc-99m tetrofosmin during vasodilator stress SPECT imaging in mild-to-moderate coronary artery disease. J Am Coll Cardiol 2001;37:458-62 

  23. Maddahi J, Ganz W, Ninomiya K, Hashida J, Fishbein MC, Mondkar A, et al. Myocardial salvage by intracoronary thrombolysis in evolv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evaluation using intracoronary injection of thallium-201. Am Heart J 1981;102:664-74 

  24. Krebber HJ, Schofer J, Mathey D, Montz R, Kalmar P, Rodewald G. Intracoronary thallium 201 scintigraphy as an immediate predictor of salvaged myocardium following intracoronary lysis. J Thorac Cardiovasc Surg 1984;87:27-34 

  25. Heller GV, Parker JA, Silverm an KJ, Royal HD, Kolodny GM, Paulin S, et al. Intracoronary thallium-201 scintigraphy after thrombolytic therapy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ompared with 10 and 100 day intravenous thallium-201 scintigraphy. J Am Coll Cardiol 1987;9:300-7 

  26. Parker JA, Heller GV, Silverman KJ, Campbell CC, Markis JE, Royal HD, et al. Intracoronary thallium-201 assessment of thrombolysis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Validation of the method of imaging before and after therapy. Invest Radiol 1985;20:17-20 

  27. Schofer J, Sheehan FH, Spielmann R, Wiegand J, Montz R, Reimitz PE, et al. Recovery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myocardial infarction can be predicted immediately after thrombolysis by semiquantitative intracoronary thallium and technetium pyrophosphate scintigraphy. Eur Heart J 1988;9:1088-97 

  28. Kayden DS, Sigal S, Soufer R, Mattera J, Zaret B, Wackers FJTh. Thallium-201 for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Quantitative comparison of 24-hour redistribution imaging with imaging after reinjection at rest. J Am Coll Cardiol 1991;18:1480-6 

  29. Dilsizian V, Bonow RO. Differential uptake and apparent Tl-201 washout after thallium reinjection. Options regarding early redistribution imaging before reinjection or late redistribution imaging after reinjection. Circulation 1992;85:1032-8 

  30. Rozanski A, Berman D, Gray R, Levy R, Raymond M, Maddahi J, et al. Use of thallium-201 redistribution scintigraphy in the preoperative differentiation of irreversible myocardial asynergy. Circulation 1981;64:936-44 

  31. Gibson RS, Watson DD, Taylor GJ, Crosby IK, Wellons HL, Holt ND, et al. Prospective assessment of regional myocardial perfusion before and after coronary revascularization surgery by quantitative thallium-201 scintigraphy. J Am Coll Cardiol 1983;1:804-15 

  32. Dilsizian V, Freedman NMT, Bachrach SL, Perrone-Filardi P, Bonow RO. Regional thallium uptake in irreversible perfusion defects: magnitudes of change in thallium activity after reinjection distinguishes viable from nonviable myocardium. Circulation 1992;85:627-34 

  33. Schneider CA, Voth E, Gawlich S, Baer FM, Horst M, Schicha H, et al. Significance of rest technetium-99m sestamibi imaging for the prediction of improvement of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fter Q wave myocardial infarction: importance of infarct location adjusted thresholds. J Am Coll Cardiol 1998;32:648-54 

  34. Tartagni F, Fallani F, Corbelli C, Monetti N, Piovaccari G, Marzocchi A, et al. Dynamic planar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in patients with one-vessel disease with intracoronary injection of technetium 99m teboroxime during papaverine-induced coronary hyperemia. Am Heart J 1996;132:1042-7 

  35. Trani C, Giordano A, Lombardo A, Lupi A, Reale F, Patrizi R, et al. Selective intracoronary injection of sestamibi to detect myocardial viability: Prediction of perfusion and contractile recovery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J Nucl Cardiol 2003;10:473-81 

  36. Basoglu T, Canbaz F, Sahin M, Elcik M, Kirtiloglu B, Sahin M, et al. Intracoronary versus intravenous injection of Tc-99m tetrofosmin: comparison of myocardial perfusion patterns and wall motion. Nucl Med Commun 2004;25:469-74 

  37. Kiat H, Berman DS, Maddahi J, De Yang L, Van Train K, Rozanski A, et al. Late reversibility of tomographic myocardial thallium-201 defect: an accurate marker of myocardial viability. J Am Coll Cardiol 1988;12:1456-63 

  38. Zeissman HZ, Keyes JW, Fox LM, Green CE, Fox SM. Delayed redistribution in thallium-201 SPET myocardial perfusion studies. Chest 1989;96:103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