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돈육포에 수용성 파프리카 추출액과 매실 추출액 첨가량을 달리하여 육포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관능검사 결과 돈육포 제조를 위한 파프리카 및 매실추출액의 최적 첨가량은 파프리카추출액 0.5%와 매실추출액 3.5%로 나타났다. 천연추출액 즉 파프리카추출액 0.5%와 매실추출액 3.5%를 첨가한 돈육포를 실온에서 70일 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결과, 파프리카 및 매실추출액은 제조 직후 및 저장기간 동안 아질산염과 유사한 발색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천연추출액 처리군에서 무처리군보다 지질산화가 억제되어 아질산염 대체 물질의 효과를 보였다. 조직감 및 관능평가에서 아질산염은 품질 개선 효과가 없었으나, 파프리카 및 매실 추출액은 육포의 연화도를 증진시키고, 풍미와 맛의 기호도를 개선하여 아질산염 처리보다 우수한 품질의 돈육포를 제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jerky added with the extract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and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Color stability, lipid oxidation, texture,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the pork jerky were also compared befo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돈육포 제조시 아질산염 대체제로서 파프리카와 매실 추출액의 최적 첨가량을 검토하였고, 또한최적 첨가량에 따라 제조된 돈육포 저장 중의 색, 지질산화도,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yu KL, Kim TH. 1992. The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 I. Cookery of soup based on beef. Korean J Dietary Culture 7: 223-234 

  2. Park JH, Lee KH.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made with beef meat of various places of origin. Korean J Food Cookery Sci 2: 528-535 

  3. Jung SW, Beak YS, Kim YS, Kim YH. 1994. Quality changes of beef jerky during storage. Korean J Anim Sci 36: 693-697 

  4. Yang CY, Lee SH. 2002. A evaluation of quality of the marketing jerky in domestic - I. Investigation of outward appearance, food additives, nutrient content and sanitary state. Korean J Food & Nutr 15: 197-202 

  5. Flddler W, Gates RA, Pensabene JW, Phillips JG, Wierbicki E. 1981. Investigations on nitrosamines in irradiation-sterilized bacon. J Agric Food Chem 29: 551-554 

  6. Tricker AR, Preussmann R. 1991. Carcinogenic N-nitrosamines in the diet: occurrence, formation, mechanisms and carcinogenic potential. Mutat Res 259: 277-289 

  7. Bloukas JG, Arvanitoyannis IS, Siopi AA. 1999. Effect of natural colorants and nitrites on color attributes of frankfurters. Meat Sci 52: 257-265 

  8. EU guideline 94/36. 1994. On natural colorants that may be used in foods. Official EU Publication no. L 237/2410-9- 1991. Brussels, EU 

  9. Lee SJ, Park GS. 2004.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prepared with various spic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89-497 

  10. Lee SK, Kim ST, Kim HJ, Kang CG. 1997. Effects of temperature and tim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oat meat jerky during dryi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7: 184-189 

  11. Park GS, Lee SJ, Jeong ES. 200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according to the kinds of saccharides and the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30-235 

  12. Aguirrezabal MM, Mateo J, Dominquez MC, Zumalacarrequi JM. 2000. The effect of paprika, garlic acid and salt on rancidity in dry sausages. Meat Sci 54: 77-81 

  13. Jeong CH, Ko WH, Cho JR, Ahn CG, Shim KH. 2006.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paprika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3: 43-49 

  14. Biacs PA, Daood HG, Huszka TT, Biacs PK. 1993. Carotenoids and carotenoid esters from new cross cultivars of paprika. J Agric Food Chem 41: 1864-1867 

  15. Ittah Y, Kanner J, Granity R. 1993. Hydrolysis study of carotenoid pigments paprika by HPLC/photodiode array detection. J Agric Food Chem 41: 899-901 

  16. Fisher C, Kocis JA. 1987. Separation of paprika pigments by HPLC. J Agric Food Chem 35: 55-57 

  17. Perez-Galvez A, Minguez-Mosquera I. 2001. Structure-relativity relationship in the oxidation of carotenoid pigments of the pepper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49: 4864-4869 

  18. Ha MH, Park WP, Lee SC, Cho SH. 2005.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Prunus mum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2: 195-198 

  19. Han JT, Lee SY, Kim KN, Baek NI. 2001. Rutin, from the fruit of Prunus mu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20. Pfalzgraf MF, Steinhart H. 1995. ${\alpha}$ -Tocopherol contents and lipid oxidation in pork muscle and adipose tissue during storage, J Agric Food Chem 43: 1339-1342 

  21. Luno M, Beltran JA, Jaime I, Roncales P. 1999. Textural assessment of clenbuterol treatment in beef. Meat Sci 51: 297-303 

  22. Mielche MM, Bertelsen G. 1994. Approaches to the prevention of warmed-over flavor. Trends Food Sci Technol 5: 322-327 

  23. Rey AI, Hopia A, Kivikanri R, Kahkoned M. 2005. Use of natural food/plant extracts: coludbery (Rubus chamaemorus), beetroot (Beta vulgaris 'Vulgaris') or willow herb (Epilobium angustifolium) to reduce lipid oxidantion of cooked pork patties. LTW-Food Sci Technol 38: 363-370 

  24. Rosa A, Deiana M, Casu V, Paccagnini S, Appendino G, Ballero M, Dessi MA.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capsinoids. J Agric Food Chem 50: 7396-7401 

  25. Sim JH, Park MW, Kim MR, Lim KT, Park ST. 2002.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screening of antioxidant in fructus mune (Prunus mune Sieb. Et Zucc.) extra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19-123 

  26. Hwang JW, Ham JW, Nan SH.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61-464 

  27. Calabro ML, Tommasini S, Donato P, Stancanelli R, Raneri D, Catania S, Costa C, Villari V, Ficarra P, Ficarra R. 2005. The rutin/ ${\beta}$ -cyclodextrin interactions in fully aqueous solution: spectroscopic studies and biological assay. J Pharmaceut Biomed Anal 36: 1019-1027 

  28. Kuo JC, Ockeman HW. 1985. Effect of salt, sugar and storage time on the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nese style dried pork. J Food Sci 50: 1384-13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