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동유형 분석법을 이용한 해수침투 관측망 자료 평가
Evaluation of Long-term Data Obtained from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using Variation Typ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4, 2007년, pp.478 - 490  

송성호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진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이명재 ((주)지오그린21)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서, 남해안에 지하수의 해수침투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 설치된 관측망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지역별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관측정은 25개 해안지역 소유역의 총 45개 암반관정으로, 지하수위, 수온, 전기전도도를 대상으로 기본통계분석, 상관성 분석 및 변동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하수위의 경우 강우 영향을 받거나 양수에 의한 수위강하가 나타나는 관측정에서 큰 폭으로 변동하고 있다. 지하수온은 대부분의 경우 변동폭이 $0.2^{\circ}C$ 이내로 안정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평균 온도가 $15^{\circ}C$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변동폭이 크고 불규칙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값이 $2,000\;{\mu}S/cm$ 이내의 관측정이 28개, $10,000\;{\mu}S/cm$를 초과하는 관측정은 9개소로 나타났다. 교차상관도 분석에 의하면, 지하수위는 강우의 영향을 받아 변동하는 형태가 많았지만 수온과 전기전도도는 상대적으로 강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석의 경우에는 일부 관측정에서 강우에 의한 영향보다 높은 교차상관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관측자료를 변동형태에 따라 정상형, 추세형, 주기형, 충동형, 계단형, 경사형 등 6가지로 분류하였다. 지하수위의 경우 강우나 양수의 영향을 받는 충동형이 가장 많은 73.3%이며, 조석의 영향은 13.4%에 해당되었다. 지하수온의 경우 변동폭이 일정한 정상형태가 5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강우나 양수에 의한 충동형이 26.7%에 해당되었다. 전기전도도의 경우는 지하수위나 지하수온과 달리 추세형, 계단형, 경사형 등의 변동형태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해안지역에 설치된 관측정별로 관측자료의 변동 특성이 상이한 경우가 나타남에 따라, 향후 각 소유역별로 관측정 자료의 정기적인 변동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groundwater data of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in coastal areas of Korea's main land, we analyzed types of seawater intrusion through the coastal aquifer. The data including groundwater level,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btained from 45 monitoring wells at 25 watershed r...

주제어

참고문헌 (16)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6, 지하수관측연보. 한국수자원공사, 1024 p 

  2. 농림부, 한국농촌공사, 2006, 2006 해수침투조사 사업 보고서. 한국농촌공사, 512 p 

  3. 이명재, 김규범, 손영철, 이진용, 이강근, 2004, 국가 지하수관측소 지하수위 자료에 대한 시계열분석 연구. 지질학회지, 40(3), 305-329 

  4. 이명재, 이진용, 김규범, 원종호, 2005, 국가지하수 관측소 측정자료의 이상값 분석 . 지하수토양환경, 10(1), 65-74 

  5. 이진용, 이명재, 이재명, 안경환, 원종호, 문상호, 조민조, 2006, 국가 지하수관측소 지하수위, 전기전도도 및 수온 자료에 대한 모수적 및 비모수적 변동 경향성 분석. 지하수토양환경, 11 (2), 56-67 

  6. 한국지질지원연구원,2003, 해수침투 평가, 예측 및 방지기술 개발. 과학기술부,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 00-JND-01-B-14, 474 .p 

  7. Lee, J.Y, Yi, MJ., Song, S.H., and Lee, GS., 2007, Evaluation of groundwater data obtained from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in Korea. Water International, in press 

  8. Lee, J.Y and Song, S.H., 2007,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n coastal areas: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Environmental Geology, 52 (7), 1231-1242 

  9. Montgomery, D.C., Johnson L.A., and Gardiner, J.S., 1990, Forecasting and Time Series Analysis. McGraw Hill, 381 p 

  10. Park, S.C., Yun, S.T., Chae, G.T., and Lee, S.K., 2002, Hydrochemistry of shallow groundwaters in 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a study on seawatermixing in coastal aquifers. Journal of KoSSGE, 7 (1), 63-77 

  11. Park, S.C., Yun, S.T., Chae, G.T., Yoo, LS., Shin, K.S., Heo, C.H., and Lee, S.K., 2005, Regional hydrochemical study on salinization of coastal aquifers, western coastal area of South Korea. Journal of Hydrology, 313, 182-194 

  12. Richter, B.C. and Kreitler, C.W., 1993, Geochemical techniques for identifying sources of ground-water salinization. CRC Press, 258 p 

  13. Song, S.H., 2006, Spatial analysis of small-loop electromagnetic survey data in a seawater intrusion region. Exploration Geophysics, 37 (1), 114-120 

  14. Song, S.H., Lee, J.Y, and Park, N., 2007, Use of vertical electrical soundings to delineate seawater intrusion ina coastal area of Byunsan, Korea. Environmental Geology, 52 (6), 1207-1219 

  15. Todd, D.K., 1980, Groundwater Hydrology. (2nd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USA, 535 p 

  16. Yaffee, R. and McGee, M., 2000, Introduction to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528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