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토지이용과 수질항목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Agricultural Irrigation Reservoirs and Land Uses of Associated Watersheds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0 no.1, 2007년, pp.31 - 39  

윤춘경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이새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정광욱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한정윤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의 대상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역 내의 토지이용은 산림과 농경지가 대부분인 전형적인 농촌유역 특징을 갖고 있다. 토지이용과 수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밭에서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모두 유의 수준 1%이내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주거지역은 수질과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주거지역의 정화조 유출이나 처리되지 않고 유입되는 불 명수에 의한 수질오염이 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대상의 48개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은 크게 오염되지 않은 상태이며, 주거지역의 점유율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으나, 주거지역과 수질과는 양의 상관성이었고, 생활하수에 의한 수질오염이 심각한 상태이었다. 밭의 경우는 상관분석 결과, 건기, 우기에서 모두 유의수준 1%이내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수질에 좋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밭에서 많은 양의 토사가 유출되는데, 그 자체가 오염물질이고, 토사에 흡착된 오염물질들이 토사로 인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밭이 여러 가지 작물을 연중 재배하기 때문에 많은 시비로 공급된 질소성분이 강우와 함께 유출, 침투되어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산지의 경우는 건기와 우기에서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모두 유의 수준 1%에서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역에서 산림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저수지 수질을 관리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이기보다는 수질개선에 도움을 주는 토지 이용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논의 경우도 저수지의 수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대상 농업용 저수지가 위치 특성상 대부분 관개를 목적으로 유역의 상류에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깨끗한 수질에 적은 발생부하량에도 민감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물관리를 통해 시비하는 기간의 유출을 최소화하고, 논둑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이 큰 초기 강우를 저류하는 특징을 적극 활용하는 등 논의 오염부하를 적절한 관리방법을 도입하면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에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itoring data of 48 agricultural irrigation reservoirs from 1999 to 2004 was analyzed for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and chl-${\alpha}$. Land uses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분포한 48개 농업용저수지의 수 질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적 토지이용이 농업용저수지 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저수지 관리자나 토지이용 정책을 세우는 계획자들이 수질관리 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8-m resolution)의1999년 5월 21 일과 2000년 2월 29일 자료를 이용하여구축되었으며, 유역의 토지이용은 주거지역, 노 밭, 산지, 그리고 기타(초지, 나지, 습지, 수역)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과 2000년의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고, 수질 자료는 1999~2004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이용 과 수질자료의 기간이 상이하나, 대상 저수지가 위치한 유역은 대부분 전형적인 농촌유역이기 때문에, 1999년 이후의 토지이용변화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호섭, 황순진. 2004. 육수학적 특성에 따른 국내 저수지의 부영양화 유형분석-엽록소 a와 수심을 중심으로. 육수지 37(2): 213-226 

  2. 정광욱, 윤춘경, 장재호, 김형철. 2006. 유역의 토지이용과 오염원 현황이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육수지 39(1): 41-51 

  3. 최중대, 최예환, 김기성. 1995. 방목지와 초지의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 특성. 한국수자원학회지 28(3): 175-186 

  4. 한국농촌공사. 2000. 농업용수 수질오염원조사 종합보고서(1997-2000) 

  5. 한국농촌공사. 2004.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보고서 

  6. Allan, J.D., D.L. Erickson and J. Fay, J. 1997. The influence of catchment land use on stream integrity across multiple spatial scales. Freshwater Biology 37(1): 149-161 

  7. Arheimer, B. and R. Liden. 2000. Nitroge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for agricultural catchment; influence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bles. Journal of Hydrology 227 (1-4): 140-159 

  8. Bolstad P.V. and W.T. Swank. 1997. Cumulative impacts of land use on water quality i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earch Association 33(3): 519-534 

  9. Baker, A. 2003. Land use and water quality. Hydrological Process 17: 2499-2501 

  10. Brainwood, M.A., S. Burign and B. Maheshwari. 2004. Temporal variations in water quality of farm dams: impacts of land use and water sources.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70: 151-175 

  11. Fisher, D.S., J.L. Steiner, D.M. Endale, J.A. Stuedemann, RH. Schomberg, A.J. Franzluebbers and S.R Wilkinson. 2000. The relationship of land use practices to surface water quality in the Upper Oconee Watershed of Georg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28: 39-48 

  12. Gburek, W.J. and G.J. Folmar. 1999. Flow and chemical contributions to streamflow in an upland watershed: a baseflow survey. Journal of Hydrology 214: 1-18 

  13. Johnson, L.B., C. Richards, G.E. Host and J.W. Arthur. 1997. Landscape influences on water chemistry in midwestern stream ecosystems. Freshwater Biology 37(1): 193-208 

  14. Keeney, D.R and T.H. Deluca. 1993. Des-Moines River nitrate in relation to watershed agricultural practices1945 versus 1980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2(2): 267-272 

  15. Lenat, D.R and J.K. Crawford. 1994. Effects ofland use on water quality and aquatic biota of three North Carolina Piedmont Streams. Hydrobiologia 294(3): 185-200 

  16. Ngoye, E. and J.F. Machiwa. 2004. The influence of Ianduse patterns in the Ruvu river watershed on water quality in the river system.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9: 1161-1166 

  17. OECD.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18. Osborne, L.L. and M.J. Wiley. 1988.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land-use cover and stream water-quality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6(1): 9-27 

  19. Pekarova, P. and J. Pekar. 1996. The impact ofland use on stream water quality in Slovakia. Journal of Hydrology 180(1-4): 333-350 

  20. Smart, RP., C. Soulsby, C. Neal, A. Wade, M.S. Cresser, M.F. Billett, S.J. Langan, A.C. Edwards, H.P. Jarvie and ROwen. 1998. Factors regulating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olute concentrations in a major river system in NE Scotland.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21(2-3): 93-110 

  21. Sliva, L. and D.D. Williams. 2001. Buffer zones versus whole catchment approaches to studying land use impact on river water quality. Water Research 35: 3462-3472 

  22. Tong, S.T.Y. and W. Chen. 2002.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and surface water qua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6(4): 377-393 

  23. Turner, R.E. and N.N. Rabalais. 2003. Linking landscape and water quality in the Mississippi River Basin for 200 years. BioScience 53(6): 563-572 

  24. USEPA. 2001. Better Assessment Science Integrating Point and Nonpoint Sources (BASINS) Version 3.0 User's Manual., EPA 823-8-01-001,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25. Yoon, C.G., J.H. Ham and J.H. Jean. 2003. Mass balance analysis in Korea paddy rice culture.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2): 99-106 

  26. Zalidis, G., S. Stamatiadis, W. Takavakoglou, K. Eskridge and N. Misopolinos. 2002. Impacts of agricultural practices on soil and water quality in the Mediterranean region and proposed assessment methodology. Agriculture, Ecosystem and Environment 88(2): 137-1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