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여과대의 침투능 향상을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Effects of Non-Point Pollutants by Improvement of Infiltration Capacity of Soil Filter Strip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0 no.2, 2007년, pp.264 - 272  

우수혜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최이송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  오종민 (경희대학교 환경응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강 상수원 수변지역의 실제 적용에 앞서 Bench scale의 실험을 통해 식생여과대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효율적인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대조군, 모래+자갈, 여재, 자갈의 토양여과대를 조성하여 토양의 침투능력을 향상시키고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토양여과대에서 단면 및 하부로의 침투를 증가시킨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토양여과대의 평균 표면 유출부하량과 비교하여 $8.2{\sim}40.1%$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토양여과대 조성을 통한 표면 유출부하량의 감소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오염물질의 유입부하에 따른 총유출부하량을 통해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대한 저감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전체적인 제거율은 SS $84.5{\sim}92.5%$, BOD $67.9{\sim}80.6%$, T-N $43.4{\sim}76.6%$), T-P $40.6{\sim}87.4%$, Cu $28.3{\sim}48.1%$, Fe $92.1{\sim}97.7%$, Pb $81.4{\sim}97.3%$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대한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여재, 모래+자갈, 자갈의 순으로 저감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식생여과대에 비해 토양층을 변화시켜 토양의 침투능을 향상시킨 토양여과대가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보다 효과적이며, 하천에 가해지는 오염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차후 현장 적용 시 보다 실효성 있는 비점오염 저감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noff of non-point pollutants has affected bad influence to water quality of river as reaching within short time. For this reason, reducing them prior to reaching aquatic systems or treating them after collection from discharge process of pollutants are desirable for efficient treatment of pollu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 여과 대의보다 효율적인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것이지만, 식생은 배제하고 토양의 침투능력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식생여과대 (vegetation filter strips)라는 용어 대신토양여 과대 (soil filter strips)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하천의 수변지역이 확보된 곳에서 하천의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강우 시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생태공학적 기술의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연구를 시행하기에 앞서 Bench scale의 실내 실험을 통해 대조군, 모래+자갈, 여재, 자갈의 침투부를 가진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의한 오염물질의 저감효과에 대해 연구한 결과 조사 항목별로 제거율에 차이를 보였으나, 부유물질은 약 90%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유기물도 약 70% 이상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제기된 단순한 식생여과대의 단점을 보완하고 비점오염 저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토양의 침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의 식생여과대를 제시하였고, 이를 한강 상수원 수변지역에 실제 적용하기에 앞서 Bench scale의 비교실험을 통해 오염저감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 여과 대의보다 효율적인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것이지만, 식생은 배제하고 토양의 침투능력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식생여과대 (vegetation filter strips)라는 용어 대신토양여 과대 (soil filter strips)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시키고자 한다.
  • 토양여과대의 경우 기존에 연구되어 온 식생 여과 대의장점인 오염물질 제거, 부유성 침전물 제거, 하천의 충격 효과 완화, 자연환경개선 등의 장점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표면 유속감소, 하천 유달시간 증가 및 침투 증가에 의한 유출량 감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대해 유입부하에 따른 오염 물질별 총유출부하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길경익. 2006. 식생여과대의 의한 비점오염 물질의 처리효율 분석, 대한상수도학회 . 한국물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1119-P1125 

  2. 김석구, 윤상린, 김영임,이용재, 김이호, 김종오. 2004. 강우강도에 따른 노면유출수의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0(5): 494-499 

  3. 이영아. 2006.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저감을 위한 식생여과대의 역할: 돌미나리와 잔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4. 장은미. 2006. 물관리정보화에 관한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2003년 제1차 물관리정책토론회 연구발표보고 p.15-16 

  5. 정상옥. 2002. 비점원 오염관리를 위한 식생여과대의 적용. 한국관개배수 9(1): 103-111 

  6. 최규철, 권오억, 김동욱, 김용환, 박광하, 이우식, 이지연, 전세진, 정수경. 2004. 수질공정시험방법주해. 동화기술 

  7. 최지용. 2003. 4대강 유역 수변녹지대 조성방안 및 적용우선순위 산정.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p.86-170 

  8. Daniels, R.B. and J.W. Gilliam. 1996. Sediment and chemical load reduction by trass and riparian filter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0: 246-251 

  9. Lenore S. Clescerl, Arnold E. Greenberg and Andrew D. Eaton. 1998.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 APHA AWWA WEP 

  1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Watershed Management for Potable Water Supply 

  11. Park, J.Y., Y.M. Jo and J.M. Oh. 2000. Characterization of nonpoint source from urban runoff. Water Engineering Research.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1): 39-48 

  12. Seth Wenger. 1999. A Review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Riparian Buffer Width, Extent and Vegetation. University of Georgi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