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소주 누룩 제조를 위한 누룩 두께 및 누룩 띄움시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Andong-Soju Nuruk for Fermentation of Andong-Soju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5 no.3, 2007년, pp.231 - 237  

배경화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희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인숙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정숙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주의 다양성과 국내 누룩의 우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민속주 안동소주의 자가 제조 누룩의 최적 제조조건을 검토하였다. 안동소주 제조의 전통적인 누룩 제조방법을 준수하면서 23 cm 지름의 $2.2{\sim}5.5\;cm$의 다양한 두께의 누룩을 성형하고, 3주간 띄움 과정을 거치면서 1주일 간격으로 수분함량, pH, brix, 무게변화, 전분 당화능, 환원당 함량, 생균수 및 우점종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께 4.0 cm 이상으로 성형된 누룩이 전분 당화능력 및 생균수, 누룩 곰팡이 생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에탄올 발효면에서는 2주간의 띄움이, 안동소주의 누룩곰팡이를 이용한 관능적 측면에서는 3주간의 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실제 제조된 누룩으로 포도당 및 전분 발효배지에서 에탄을 발효시킨 결과, 누룩 성형시 $4.0{\sim}5.5\;cm$ 두께로 성형하여 $2{\sim}3$주간 누룩을 띄운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누룩 제조시 별도의 건조효모 첨가는 불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안동소주 제조법하에서 자가제조 누룩의 두께와 띄움시간을 조정하여 누룩의 균일 제조과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upport the fermentational superiority of Korean nuruks and maintain the various domestic nuruks, the optimal nuruk production of Andong-Soju, which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ungsangbukdo province from 1987, was investigated. Different thickness of nuruks ($2.2{\s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속주 안동소주의 발효 최적화와 품질 향상을 위해 자가 제조 누룩의 최적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누룩 제조시의 두께와 띄움 시간에 따른 누룩의 띄움 특성과 알코올 발효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안동소주의 전통적 제조법을 과학적, 체계적으로 확립하는 기초 결과로 활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Y. D. 2006.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ndong Soju. Local History and Culture 9: 375-413 

  2. Cho, M. H., S. E. Park, J. K. Lim, J. S. Kim, J. H. Kim, D. Y. Kwon, and C. S. Park. 2007. Conversion of sucrose into isomaltulose by Enterobacter sp. FMB I, an isomaltuloseproducing microorganism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n food. Biotechnol. Lett. 29: 453-458 

  3. Ha, M. Y., S, Y. Chung, and S. J. Kim. 2002.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Kor. J. Biotechnol. Bioeng. 17: 333-338 

  4. Jo, K. Y., and D. M. Ha. 199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nuruk. Agric. Chem. Biotechnol. 38: 95-99 

  5. Kim, H. S., and T. S. Yu.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produced by nuruk fung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303-308 

  6. Kim, H. R., S. H. Baek, M. J. Seo, and B. H. Ahn. 2006. Feasibility of cheonghju brewing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from nuruk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44-249 

  7. Kim, I. H., and W. S. Park. 1996.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Kor. J. Dietary Culture. 11: 339-348 

  8. Kim, J. H., D. H. Lee, S. Y. Choi, and J. S. Lee. 2002.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 J. Food Sci. Technol. 34: 118-122 

  9. Kim, J. H., D. H. Lee, S. H. Lee, S. Y. Choi, and J. S. Lee. 2004. Effect of Ganoderma lucidum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yakju. J. Biosci. Bioeng. 97:24-28 

  10. Kim, J. S., E. J. Kwak, and Y. S. Lee. 2006.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with the addition of rosemary (Rosemarinus officinalis L.). Kor. J. Food Cookery Sci. 22: 914-922 

  11. Kim J. Y., and J. S. Koh. 2004. Screening of brewing yeasts and saccharifying molds for foxtail millet-wine making. J. Kor. Soc. Appl. Biol. Chem. 47: 78-84 

  12. Kim, S. J., J. Y. Baek, C. K. Park, and G. W. Kim. 2004. Gastroprotective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Kor. J. Food Sci. Technol. 36: 818-822 

  13. Kim, S. J., S. H. Ko, W. Y. Lee, and G. W. Kim. 2004. Cytotoxic effects of Korean rice-wine (Yakju) on cancer cells. Kor. J. Food Sci. Technol. 36: 812-817 

  14. Kim, Y. J. and Y. S. Han. 2006.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plan for encouraging it. Kor. J. Food Culture. 21: 31-41 

  15. Lee. D. H., J. H. Kim, N. M. Kim, and J. S. Lee. 2002.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e). Kor. J. Food Sci. Technol.34: 109-113 

  16. Lee, .J. H. and T. S. Yu. 2000.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nuruk. Kor. J. Biotechnol. Bioeng. 15: 359-365 

  17. Park, C. D., H. K. Jung, H. H. Park, and H. H. Hong. 2007. Identification and feremnta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ahyanju nuruk, Kor. J. Food Preserv. 14: 188-193 

  18. Shim, Y. S., J. W. Kim, and S. S. Yoon. 1998. Alcohol fermentation of cheese whey by Kluyveromyces marxianus and lactic acid bacteria. Kor. J. Food Sci. Technol. 30: 161-167 

  19. So, M. H., Y. S. Lee, and W. S. Noh. 1999. Changes in microogranism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 J. Food NutI. 12: 226-232 

  20. Thomas, M.W., and K. M. Bhat. 1988. Methods for measuring cellulase activities. Methods Enzymol. 160: 87-112 

  21. Tsuyoshi, N., R. Fudou, S. Yarnanak, M. Kozaki, N. Tamang, S. Thapa, and J. P. Tamang. 2005. Identification of yeast strains isolated from marcha in sikkim, a Microbiol starter for amylolytic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99: 135146 

  22. Woo. S. H., and S. C. Park. 2005. Fermentation of food waste using nuruk. Kor. J. Waste Management 22: 714-720 

  23. Yu, C. H., S. Y. Hong, and J. S. Koh. 2002. Zymological properties of foxtail millet wine making by isolated strains from nuruk. J. Kor. Soc. Appl. Biol. Chem. 45: 138-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