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중국 소흥안령 활엽수-잣나무 혼효림에서의 산겨릅나무의 공간분포 양상 Spatial Pattern of Acer tegmentosum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원문보기
생육환경의 이질성은 수목의 개체군 구조와 동태, 군락의 구성 및 종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미세지형이 활엽수-잣나무 혼효림에서의 산겨릅나무 개체군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공간분포 양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9 ha의 영구 표본구에 있는 유묘, 치수, 살아있는 성숙목과 고사목에 대하여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면경사에 있어서 산겨릅나무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선호하였다. 사면 방향별 유묘의 밀도는 차이가 없었고, 치수, 살아 있는 성숙목, 고사목의 밀도는 서향, 동남향에서 높게 나타났다. 살아있는 성숙목의 경우, 150 m 이내의 모든 척도에서 집락분포를 하고 있으며, 척도 30 m에서 최고값을 보였고, 고사목은 111 m 이내에서는 집락분포를 하고. 척도 72 m에서 최고값을 보이고 있으며, 111 m보다 큰 척도에서는 무작위분포를 하고 있었다(P < 0.01). 산겨릅나무의 생육단계별 발생 유사성에 있어서 유묘는 치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치수는 살아 있는 성숙목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살아 있는 성숙목은 죽은 성숙목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어 (P < 0.01), 생활사 하위 단계의 발생은 상위단계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육환경의 이질성은 수목의 개체군 구조와 동태, 군락의 구성 및 종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미세지형이 활엽수-잣나무 혼효림에서의 산겨릅나무 개체군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공간분포 양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9 ha의 영구 표본구에 있는 유묘, 치수, 살아있는 성숙목과 고사목에 대하여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면경사에 있어서 산겨릅나무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선호하였다. 사면 방향별 유묘의 밀도는 차이가 없었고, 치수, 살아 있는 성숙목, 고사목의 밀도는 서향, 동남향에서 높게 나타났다. 살아있는 성숙목의 경우, 150 m 이내의 모든 척도에서 집락분포를 하고 있으며, 척도 30 m에서 최고값을 보였고, 고사목은 111 m 이내에서는 집락분포를 하고. 척도 72 m에서 최고값을 보이고 있으며, 111 m보다 큰 척도에서는 무작위분포를 하고 있었다(P < 0.01). 산겨릅나무의 생육단계별 발생 유사성에 있어서 유묘는 치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치수는 살아 있는 성숙목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살아 있는 성숙목은 죽은 성숙목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어 (P < 0.01), 생활사 하위 단계의 발생은 상위단계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heterogeneity of forest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ree population, the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and the maintenance of species diversity. Based upon the research data of the nine hectare permanent plot in the typical mixed broadleaved-Korean pin...
The heterogeneity of forest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ree population, the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and the maintenance of species diversity. Based upon the research data of the nine hectare permanent plot in the typical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attern of Acer tegmentosum population for seedlings, saplings, and living and dead trees so 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icro-topography on spatial pattern of the species. The results noted that A. tegmentosum preferred to gentle slop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nsity of seedlings by the variation of aspect, but the density of saplings, and living and dead trees was high on the western and southeastern slopes. Living trees of A. tegmentosum showed the clumped pattern for all scales within 150 m and highest at the scale of 30 m. Dead stems of the species indicated the clumped pattern within 111 m, highest at the scale of 72 m, and random pattern beyond the scale of 111 m (P < 0.01 ). The similarity of occurrence by developmental stages of A. tegmentosum showed that seedlings vs. saplings, saplings vs. living trees, and living trees vs. dead stems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respectively (P < 0.01 ), indicating that the occurrence of previous developmental stag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following stages.
The heterogeneity of forest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ree population, the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and the maintenance of species diversity. Based upon the research data of the nine hectare permanent plot in the typical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attern of Acer tegmentosum population for seedlings, saplings, and living and dead trees so 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icro-topography on spatial pattern of the species. The results noted that A. tegmentosum preferred to gentle slop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nsity of seedlings by the variation of aspect, but the density of saplings, and living and dead trees was high on the western and southeastern slopes. Living trees of A. tegmentosum showed the clumped pattern for all scales within 150 m and highest at the scale of 30 m. Dead stems of the species indicated the clumped pattern within 111 m, highest at the scale of 72 m, and random pattern beyond the scale of 111 m (P < 0.01 ). The similarity of occurrence by developmental stages of A. tegmentosum showed that seedlings vs. saplings, saplings vs. living trees, and living trees vs. dead stems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respectively (P < 0.01 ), indicating that the occurrence of previous developmental stag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following stag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