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근공사의 공장가공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Analysis of re-bar manufacturing system in plant and its facilitate method 원문보기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8 no.1 = no.35, 2007년, pp.57 - 65  

조훈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부) ,  강태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쎈터) ,  박현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쎈터) ,  윤석헌 (경상대학교 건축학부) ,  허영기 (부산대학교 건축학부) ,  박우열 (안동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철근 공장가공은 현장가공에 비하여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철근의 절단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도심지 공사의 증가로 야적장이 부족하고 숙련된 현장 노무인력의 확보가 어려워짐에 따라 향후 철근의 공장가공 방식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가공 공장방식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간의 연구들이 배근작업과 전문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18개 철근가공 공장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철근공장가공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철근가공 형상 표준화, 시공성이 반영된 배근상세도 작성 및 철근 가공형상표 산출 업무 전산화, 배근작업의 표준화와 ADC기반의 철근자재 추적시스템을 개발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bar work is a labor intensive operation, and with labor shortage and high-wage era, the cost is rising, so re-bar manufacturing system in plant is adapted. However there remains a lot of problems. Although manufacturing system in plant, which greatly effects the building's safety, endurance,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을 이용하여 현장반입 자재의 속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ADC(Automatic Data Collection) 시스템은 여러 개의 태그 (tag)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바-코드에 비해 상당히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타 산업분야의 자원 조달에 급속히 활용되고 있다. RFID 개발 초창기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금속성 자재에 대한 인식오류도 상당부분 줄어들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도 커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RFID를 기반으로 하는 철근자재 추적시스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확대가 예상되는 철근 공장가공 방식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그간 철근 공장가공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표준적인 배근상세도 및 가공형상의 부재, 작업자들의 비선호 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던 철근 공장가공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철근가공 공장방식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간의 연구들이 배근작업과 전문건설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18개 철근가공 공장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확대가 예상되는 철근 공장가공 방식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장에서는 위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면화 작업, 가공작업 및 업무처리시스템과 같이 3가지 영역에서 현행 철근 가공공장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자한다.
  •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내 철근공사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근 공장가공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국내 철근공사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절에서는 앞서 살펴 본 기존의 철근조달 및 공사 수행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철근공장가공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본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문제점의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관련 전문가의 자문의견 등을 토대로 철근가공형상 표준화 및 사용자 중심의 전산지원 시스템의 개발 등을 착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 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광희, 박우열, 강경인, '국내 건축물 철근공사 품질.원가 개선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8(5),2002, pp. 121-128 

  2. 김광호, 한국 철근 가공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향후 발전 전망,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논문집, 1999 

  3. 김동진, 김욱종, 철근공사 공장가공 합리화 방안, 대림산업기술연구소 2004-6 여름호 

  4. 김선국, 김문한, '철근 손율을 줄이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9), 1991, pp. 385-391 

  5. 김선국, 김치경, '철근 콘크리트조의 구조설계-철근공사관리 자동화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 1994, pp. 113122 

  6. 김용일 외 3인, '철근물량산출 및 손율 최적화 시스템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 pp. 173-179 

  7. 대한건축학회, Negative Prefab 표준화, 서울: 기문당, 2001.11.8 

  8. 대한주택공사, 철근콘크리트조의 배근 시공도작성설무, 서울: 기문당,2000 

  9. 문정문, 가치흐름분석올 통한 건설 프로세스의 낭비제거 방법 - 철근공사를 중심으로 -, 광운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논문,2001 

  10. 박우열, 김광희, 강경인, '국내 철근공사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2004.9 

  11. 박우열, 건설공사 철근정보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v.5 n.4(통권 제18호)(2005-12) 

  12. 윤영호, 정회용, 철근기계화 가공 시범사업 성과 분석, 대한주택공사, 1993. 12 

  1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논문발표회, 제1권,2001 

  14. 조훈희, 강경인, '국내 철근가공공사의 실태에 관한 연구: 자재손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6(2), 1996, pp. 771-774 

  15. 주진규, 김태희, 김선국, 철근공사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작업 모델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v.19 n.12(2003-12) 

  16. 태연기계, 한국철근가공의 현주소, 태연기계(주), 2001 

  17. 함치선 외 4인, 'CAD시스템을 이용한 공동주택 철근 시공 상세도 및 물량산출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 회논문집 구조계, 15(8), 1998. pp. 111-119 

  18. 현대산업개발 구조설계팀, 2002철근콘크리트 배근 상세도, 개정판, 서울: 현대산업개발,2002.8.26 

  19.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E DETAILING MANUAL-1994, Detroit : American Conctete Institute, 1994 

  20. Benold, Leohard E., Md. Salim, 'Placementoriented design and delivery of concrete reinforcemen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19(2), 1993. pp. 323-335 

  21. Dunston, Phillip S., Leonhard E. Bernold, 'Adaptive control for safe and quality rebar fabric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6(2), 2000. pp. 122-129 

  22. Navon, Ronie, Ya' acov Rubinovitz, and Mendi Coffler, 'Fully automated rebar CAD/CAM system:Economic evaluation and field implement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22(2), 1996. pp. 101-108 

  23. Salim, Md., Leohard E. Benold. 'Designintegrated process planner for rebar placement',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Vol. 9(2), 1995. pp. 157-1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