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포름알데히드 농도에 미치는 식물의 영향
Plant Effects on Indoor Formaldehyde Concentration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6 no.2, 2007년, pp.197 - 202  

박소영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성기준 (부경대학교 생태공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maldehyde is a typical indoor air pollutant that has numerous adverse health problems in modern living conditions. Phytoremediation that use plant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polluted media can be applied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Two sets of experiments; 1) two rooms in newly built audi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의 연구가 일반적인 생활환경과는 달리 식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가 많아, 실험조건보다 식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은 실제 주거환경에서 식물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오히려 건강상에 더 큰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생활환경조건에서의 식물의 정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실내식물의 적용에 있어서의 실내 대기 질에'미치는〔영향과고려해야할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 사용한 각 식물의 특성은 Table 1에 정리하였다. 식물도입 전과 도입 후 시간별로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식물도입의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외부농도의 변화도 함께 측정하여 외부농도에 의한 영향유무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강석,이희선,공성용,구현정,2001,실내공기 오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와 정책방안연구,한국 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2. 서정남,최지용,허무룡,박천호,2003,실내식물,부민문화사 

  3. 박소영, 김정, 장영기, 성기준,2005, 포름알데히드로 오염된 실내공기의 정화에 미치는 식물효과에 관한 연구,환경영향평가학회지,14(4),47-53 

  4. 박소영,김정,장영기,성기준,2005,실내오염물질 정화를 위한 수생식물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8(5),1-9 

  5. 손부순,양원호,2002,실내공기오염, 신광문화사 

  6. 환경부,2002,실내공간 실내공기오염특성 및 관리방법 연구 

  7. Godish, T. and C. Guindon, 1989, An assessment of botanical air purification as a formaldehyde mitigation measure under dynamic laboratory chamber conditions, Environmental pollution, 61, 13-20 

  8. Marshall Sittig, 2001, Sittig's Handbook of Toxic and Hazardous Chemicals and Carcinogens, William Andrew Publisher 

  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2, Assesment of health risks to garment workers and certain home residents from exposure to formaldehyde, Office of Pesticides and Toxic Substances 

  10. Wolverton, B. C., 1986, Space bio-technology in housing, NASA, USA 

  11. Wolverton, B. C., Johnson A, Bounds K., 1989, Interior landscape plants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Final report. NASA, Stennis Space Center, MS, USA 

  12. Wolverton, B. C. and J. D. Wolverton, 1993, Plants and soil microorganisms: removal of formal- dehyde, xylene, and ammonia from the indoor environment, J. Miss, Acad. Sci., 38(2), 11-15 

  13. Wolverton, B.C., 1996, How to grow fresh air, Penguin Putnam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