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굽힘 센서신호를 이용한 인공의수의 제어
Control of an Artificial Arm using Flex Sensor Signal 원문보기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v.17 no.6, 2007년, pp.738 - 743  

유재명 (서울산업대학교 나노생산기술연구소) ,  김영탁 (중앙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팔(하완)을 잃은 장애자용 인공 의수를 장애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센서 시스템과 제어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장애자의 여러 가지 동작 의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싱 시스템을 연구하고 이 센싱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사용하여 인공의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센서로서는 전기 저항식 굽힘 센서를 사용한다. 이 굽힘 센서를 팔의 상완 이두근과 오구완근에 각각 1개씩 단단히 부착한다. 부착된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근육의 굴곡량을 나타내며 팔의 동작의도를 판단 할 수 있는 신호처리 시스템을 통과시켜 하완의 굴곡과 신전 운동, 손의 내전과 외전 운동을 구별한다. 그리고 구별된 신호로부터 실제 팔의 운동 각도를 추정하여 인공의수의 각도를 제어한다. 본 연구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2개의 액추에이터와 포텐셔미터를 가진 간단한 인공의수를 제작하여 제어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서 실제 팔의 각도와 인공의수의 제어 각도 사이에는 센서 외부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및 인공의수의 회전 관성, 기계적인 마찰 등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오차 값과 오차의 변화 값에 근거한 퍼지 제어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재 실험을 한 결과 하완의 굴곡/신전 운동에서는 평균 약 4도, 손의 회내/외 운동에서는 평균 약 3도의 오차가 측정되어, 퍼지제어기를 설치한 이전보다 오차가 크게 개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muscle motion sensing system and an artificial arm control system are studied. The artificial arm is for the people who lost one's forearm. The muscle motion sensing system detect the intention of motion from the upper arm's muscle. In sensing system we use flex sensors which is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사용하여 인공의수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왼팔의 상완 이두근(biceps brachii muscles) 과 오구완근(coracobrachialis muscles) 에한 개씩의 센서를 부착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육의 굴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굽힘 센서를 이용하여 팔의 여러가지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사용하여 인공의수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팔(하완)을 잃은 장애자 용 인공 의수를 장애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센서 시스템과 제어 알고리즘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상완에 부착시킨 굽힘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하완의 운동의도를 판단하는 동작 구분 방법과 운동 각도 추정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인공의 수의 정밀한 제어를 위한 퍼지제어기를 제안하였다.
  • 이 추정된 값은 인공의 수의 제어 입력신호로 활용한다. 본 연구의 효용성을 증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액추에이터와 포텐셔미터를 가진 인공의 수를 제작하여 동작구별 및 각도 제어 실험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2004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 2004 고령자 통계, 통계청 

  3. L. H. Lindstrom, R. I. Magnusson, 'Interpretation of myoelectric power spectra: a model its application', Proc. IEEE, Vol.65, No.5, pp. 653-662, 1977 

  4. F. B. Stulen, C. J. Luca, 'Frequency parameters of the myoelectric signal as a measure of muscle conduction velocity', IEEE Tran. Biomedical Engineering, Vol.BME-28, pp. 515-523, 1981 

  5. B. S. Atal, 'Effectiveness of linear prodic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ech wave for automatic sperker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JASA., Vol.55, pp. 1304-1312, 1974 

  6. J. D. Markhoul, 'Linear Prediction: A tutorial review', Proceedings IEEE, Vol.63, pp.561-579, 1975 

  7. J. D. Markel, A. H. Gray, 'Linear Prediction of Speech', Berlin Heidelberg:Springer-Verlag, 1976 

  8. L. R. Rabiner, R. W. Schafer, 'Digital Processing of Speech Singnals',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78 

  9. M. H. Sheriff, 'Effects of load on myoelectric singals: ARMA representation', IEEE Trans. Biomedical Engineering, Vol.BME-28, pp. 411-416, 1981 

  10. S. M. Kay, 'Modem Spectral Estimation: Theory and Application', Englewood Clifs, NJ : PrenticeHall, 1988 

  11. G. Hefftner, W. Zucchini and G. Jaros, 'The electromygram(EMG) as a control signal for 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Part I: Autoregressive modelling as a means of EMG signature discrimination', IEEE Trans. Biomedical Engineering, Vol.BME-35, pp. 230-237, 1988 

  12. R. M. Studer, 'An algorithm for sequential signal estimation and system identification for EMG signals', IEEE Trans. Biomedical Engineering, Vol.BME-31, No.3, pp. 285-295, 1984 

  13. D. Graupe, 'Time series analysis: Identification and adaptive filtering', R. E .Kreger Pub. Co., 1984 

  14. T. Kiryu, Y. Saitoh and K. Ishioka, 'Inverstigation on parametric analysis of dynamic EMG signals by a muscle-sutrutured simulation model', IEEE Trans. Biomedical Engineering, Vol.BME-39, pp. 280 -288, 1992 

  15. P. A. O'Neill, 'Myoelectric signal characteristics from muscles in residual upper limbs', IEEE Trans.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2, No.4, 1994 

  16. D. Graupe, W. Cline, 'Functional Separation of EMG Signals via ARMA Identification Methods for Prostehesis control purposes', IEEE Trans. on System, Manand Cybernetics, Vol. SMC-5, No.2, pp. 252-259, 1975 

  17. G. N. Saridis, M. A. Newman, 'Upper limb EMG statistical analysis', Proc. MIDCON, 1979 

  18. G. N. Saridis, T. Gootee, 'EMG patter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for a prosthetic arm', IEEE Trans. Biomedical Engineering, Vol.BME-29, pp. 403-409, 1982 

  19. S. Lee, S. Park and J. Kim, 'EMG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Evidence Accumulation for Prosthesis Control', Proceedings of the 18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and Biology Society, Vol.3, pp. 1481-1483, 1996 

  20. D. C. Dening, F. G. Gray and R. M. Haralick, 'Prosthesis control using a nearest neighbor electromyographic pattern classifier', IEEE Trans. Biomedical Engineering, Vol.30, pp.356-360, 1983 

  21. K. Nishikawa, K. Kuribayashi, 'Neural Network Application to a Discrimination System for EMG-Controlled Prostheses', IEEE/RSJ International Workshop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Vol.1, pp.231-236, 1991 

  22. H. Y. Chan, Yang-Sheng Yang and F. K. Lam, 'Fuzzy EMG classification for prosthesis control', IEEE Trans. on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8 Iss.3, pp. 305-311, 2000 

  23. Al-Assaf, Y. AI-Nashash, H., 'Myoelectric signal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wavelets based neural networks', 2001. Proceedings of the 23rd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Vol.2, pp. 1820-1823, 2001 

  24. O. Fukuda, T. Tsuji and K. Takahasi, 'Skill assistance for myoelectric control using an event driven task model', 2002.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 Vol.2, pp. 1445-1450, 2002 

  25. 유재명, 김영탁, '생체 근육 신호를 이용한 보철용 팔의 제어,'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 pp. 1944-194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