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btain the overall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ESIW), the historical data obtained by the Japan Maizuru Marine Observatory (MMO) and the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DI) were analyzed. To obtain water characteristics of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분석을 통하여 저염의 중층수는 일본분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고염의 중층수는 일본분지 동쪽에서 서쪽으로 퍼져 나가며 저염의 중층수와 함께 시계반대방향의 순환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연구는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전체적으로 동해 중증수의 평균적인 특성과 분포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체는 주로 등밀도면을 따라 이류와 확산하지만 실제 해양에서는 해수의 압축성 때문에 포텐셜 밀도면 보다는 중립면을 따라 흐른다(McDougall 1987).
  • 나타나는 것을 보였다. 염분감소에 따른 겉보기 산소 활용 및 제영양염들의 감소 경향을 동해중층수의 특징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학성분들이 동해 해수의 새로운 추적자로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Dotted thin and thick lines indicate temperature and salinity of observation 2, respectively. Thermocline and salinity maximum depths differed from each other, (b) Averaged potential temperature and salinity referred to an axis of potential density. Solid lines indicate temperature and salinity averaged by using the potential density average metho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경렬, 이태식, 김구, 정종률. 1991. 울릉분지 해역 동해 중층수의 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6, 278-290 

  2. 김철호, 김구. 1983.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한국해양학회지, 18, 73-83 

  3. Cho, Y.-K. and K. Kim. 1995. Two modes of the salinityminimum layer water in the Ulleung Basin. La Mer., 32, 271-278 

  4. Hidaka, K. 1966. Japan sea. p. 417-424. In: The Encyclopedia of Oceanography. ed. by R.W. Fairbridge.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5. Kajiura, K., M. Tsuchiya, and K. Hidaka. 1958. The analysis of oceanographical condition in the Japan Sea. Rep. Dev. Fish. Resour. Tsushima Warm Current, 1, 158-170. (in Japanese) 

  6. Kim, C.H., H.-J. Lie, and K.-S. Chu. 1991. On the intermediate water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 of Japan). p. 129-141.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ed. by Takano K., Elsevier, Amsterdam 

  7. Kim, C.-H. and J.-H. Yoon. 1999. A numerical modeling of the upper and intermediate layer circulation in the East Sea. J. Oceanogr., 55, 327-345 

  8. Kim, K. and J.Y. Chung. 1984. On the salinity-minimum and dissolved oxygen-maximum layer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p. 55-65. In: Ocean hydrodynamics of the Japan and East China Seas. ed. by T. Ichiye. Elsevier, Amsterdam 

  9. Kim, K.J. and Y.H. Seung. 1999. Formation and movement of the ESIW as modeled by MICOM. J. Oceanogr., 55, 369-382 

  10. Kim, Y.-G. and K. Kim. 1999. Intermediate Water in the East/Japan Sea. J. Oceanogr., 55, 123-132 

  11. McDougall, T.J. 1987. Neutral surfaces. J. Phys. Oceanogr., 17, 1950-1964 

  12. Min, H.S., K. Kim, and Y.G. Park. 2001. On the variat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p. 269272. In: Proceedings of the 11th PAMS/JECSS symposium, Cheju, Korea, 11- 13 April 

  13. Moriyasu, S. 1972. The Tsushima Current. p. 353-369. In: Kuroshio, Its Physical Aspects. ed. by H. Stommel and K. Yoshida. Univ. Tokyo Press, Tokyo 

  14. Pytkowicz, R.M. 1971. On the apparent oxygen utilization and the preformed phosphate in the oceans. Limnol. Oceanogr., 16, 39-42 

  15. Senjyu, T. 1999. The Japan Sea Intermediate Water; its characteristics and circulation. J. Oceanogr., 55, 111-122 

  16. Seung, Y.H. 1997. Application of the ventilation theory to the East Sea. J. Kor. Soc. Oceanogr., 32, 8-16 

  17. Shin, C.-W., S.-K. Byun, C. Kim, and Y.H. Seung. 1998. Southward intrus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to the Ulleung Basin: observations in 1992 and 1993. J. Kor. Soc. Oceanogr., 33, 146-156 

  18. Talley, L.D., P. Tishchenko, V. Luchin, A. Nedashkovskiy, S. Sagalaev, D.-J. Kang, M. Warner, and D.-H. Min. 2004. Atlas of Japan (East) Sea hydrographic properties in summer, 1999. Prog. Oceanogr., 61, 277-348 

  19. Yoon, J.-H. and H. Kawamura. 2002. The formation and circulation of the intermediate water in the Japan Sea. J. Oceanogr., 58, 197-211 

  20. Yoshikawa, Y., T. Awaji, and K. Akitomo. 1999. Formation and process of intermediate water in the Japan Sea. J. Phys. Oceanogr., 29, 1701-17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