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폰 게임 캐릭터 의상 디자인을 위한 패션 디자인 활용연구
Application of Fashion Design to Mobile-Phone Game Character's Dress Desig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3 = no.112, 2007년, pp.63 - 77  

이민선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fashion design to developing dress design of mobile-phone game charact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first, marke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extract main images from dress designs of game characters and to understand their socio-cultural meanings. ...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게임산업 TREND 2004-1, p.12 

  2. 네이버 사전. http:/kr.yahoo.com 

  3. 박태순 (1998). 디자인용어사전 

  4. 김창현, 방기천 (1999). 사이버 캐릭터 모델링. 한국멀티미디어학회, 3(1), p. 30 

  5. 김일석 (2000). 기호론적 관점에서의 Character Illustration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11 

  6. 김미영 (2005).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나타난 신체와 복식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 복식문화연구, 13(3), p. 425 

  7. 서정립 (2005). 가상공간 캐릭터 의상에 나타난 미적 특성.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8. 서정립, 진경옥 (2004). 가상 공간 게임에 나타난 사이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복식, 54(3), p. 103 

  9. 오현주 (2004). 게임 캐릭터 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공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10. 하봉준 (1995). 광고정보. 서울: 한국방송광고공사, p. 37 

  11. 조윤호 (2005). 상호작용 채널로서의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1 

  12. 조윤호 (2005). 상호작용 채널로서의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5 

  13.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45 

  14. 용대순 (2001). 게임 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15. 용대순 (2001). 게임 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16. 용대순 (2001). 게임 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5 

  17.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52 

  18.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53 

  19. 2003년 게임백서 (2003).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 Fredel, Markus, 염태선 역 (2003). 온라인 게임기획 & 인터랙티비티. 서울: 정보문화사, p. 404 

  21.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 

  22.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6 

  23. Cooper, J.C. 이윤기 역 (1994). 그림으로 보는 세계 문화 상징 사전. 서울: 까치, p. 77 

  24. Cooper, J.C. 이윤기 역 (1994). 그림으로 보는 세계 문화 상징 사전. 서울: 까치, p. 168 

  25. Cooper, J.C. 이윤기 역 (1994). 그림으로 보는 세계 문화 상징 사전. 서울: 까치, p. 150 

  26.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4 

  27.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8 

  28. 유수미, 이재정 (2001). 디자인 매너리즘 극복으로서 그로테스크 과잉의 엽기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 디자인학회지, 1(1), p. 178 

  29. 서영철 (2000). 포스트모던 세기말: 죽음(의 공포). 새한영어영문학, 42(2), pp. 455-487 

  30.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4(8), pp. 153-154 

  31. 서정립 (2005). 가상공간 캐릭터 의상에 나타난 미적 특성.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5-56 

  32.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3 

  33. 유은옥 (2003). 2000년대 초반 로맨틱 스타일의 장식적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34. 유은옥 (2003). 2000년대 초반 로맨틱 스타일의 장식적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1 

  35.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 

  36.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판, p. 43 

  37. 김성곤 (1997). 김성곤 교수의 헐리웃 20세기 문화의 거울. 서울: 웅진출판, p. 47 

  38. 남미현, 박명희 (2004). 현대패션의 그로테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4(8), p. 154 

  39. 백철호 (2004). 게임 캐릭터 변천의 문화적 연관성. 게임산업저널, 2004년 가을호 통권 6호, p. 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