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종료 비위생매립지 주변 지하수의 수질변화 특성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round Uncontrolled Closed Valley Landfill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2 no.3, 2007년, pp.75 - 80  

박정구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태동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동혁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진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W시에 있는 비위생매립지 주변의 지하수질 약 2년간 관측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주요관심 인자는 산화환원조건에 민감한 pH,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산화환원전위, 용존 유기탄소, 암모니아, 질산성질소 및 황산이온 등이다. 본 매립지는 생활쓰레기 매립지로 매립종료 약 10년이 경과하였다. 매립지 침출수는 COD 136${\sim}$263 mg/L, T-N 121${\sim}$186 mg/L, NH3-N 14${\sim}$369 mg/L이며, 계절적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매립지 직하부 지하수는 약산성을 띄나 전기전도도가 매우 높아 침출수 누출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염소이온의 경우 200 mg/L 이상으로 높으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는데 확산 및 희석 등의 자연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매립지 내부에서는 산화 환원전위가 음의 값을 보이나 하부에서는 350 mV까지 증가하여 혐기성환경에서 산화환경으로의 전이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는 가장 우려되는 지하수질 인자인데 대부분의 관측정에서 크게 부화되어 있으며, 먹는물 수질기준을 상회하였다. 본 매립지 하부의 오염지하수질은 시공간적으로 자연저감 현상이 뚜렷하나 지속적인 수질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groundwater quality around an uncontrolled landfill in W sity, Korea, which was monitored for about two years (2005-2006). Parameters of concern include redox-sensitive indicators such as pH, DO, EC, ORP, DOC (dissolved organic carbon), NH3, NO3 and SO4. About 10 years have el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W시에 위치하는 사용 종료된 비위생 매립지의 하류부에 지하수관측정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지하수질 분석을 통하여 침출수의 누출에 의한 지하수 오염의 현상을 파악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 변화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사용 종료된 계곡형 비위생매립지에서 침출수의 누출에 의한 지하수오염의 현상을 파악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변화와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중 대표적인 오염물질은 무엇인가? 침출수에는 매립폐기물의 종류 및 성상에 따라 많은 유기물질과 유해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들 오염물질은지중으로 확산되면서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그 농도가 감소된다(Figueroa, 1993). 생활폐기물 매립지의 침출수 중 대표적인 오염물질은 유기물질이며, 침출수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의 경우 용존성 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Carbon, DOC)이 다량 존재한다(Hoehn et al., 2000).
사용 종료된 비위생 매립지의 하류부에 지하수관측정을 설치 후 주기적으로 지하수질 분석을 통하여 침출수의 누출에 의한 지하수 오염의 현상을 파악,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 변화를 평가한 결과 어떤 결론을 얻을 수 있었는가? 1. 생활폐기물을 매립하여 사용종료 후 약 10년이 경과한 연구대상 매립지의 침출수 수질은 COD 136~263 mg/l, T-N 112~186 mg/l 그리고 NH3-N가 14~369mg/L 를 나타내고 있었다. 2. 매립지 하류부 지하수질의 pH는 약산성을 띠고 있었으며, 전기전도도는 대부분 1,000 µS/cm 이상의 값을 보이고 매립지 직하부의 관정에서 3,000~4,000 µS/cm의 높은 전기전도도 값을 나타내어 침출수의 누출로 지하수질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지시한다. 3. 염소는 매립지 직하부 관정에서 200 mg/L 이상의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나 매립지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농도는 낮아 졌으며, 이는 주변 지하수와의 혼합 및 계절적 지하수 함양에 의한 희석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4. 산화환원전위는 매립지 직하부 관정에서 혐기성 환경으로 0 mV 보다 작은 음의 값을 보이다 하류부의 관정에서는 100~350 mV까지 양의 값을 보여 호기성환경으로의 전환을 나타내었다. 5. 용존 유기탄소의 농도는 4~266 mg/L로 평균 30 mg/L이었으며, 우기에는 강우 침투에 따른 영향으로 이들의 농도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6.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 매립지로부터 직하부 관정에서 매우 높은 농도를 보이나 하류부 관정으로 갈수록 농도가 낮아짐과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하류에서 발생하는 NH3의 감소는 호기성 환경하에서 NO3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이와 동시에 시간경과에 따른 자연저감 효과를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관정에서 암모니아의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을 크게 상회하므로 대책이 요구된다. 7. 본 연구에서 약 2년간 관측한 대부분의 지하수질 파라미터는 거리 및 시간에 따는 자연저감을 지시하고 있다. 그럼에로 불구하고 정량적 자연저감 평가 및 하류 지하수의 보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질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매립된 폐기물은 어떤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가? 매립된 폐기물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분해되면서 침출수를 발생시키며, 차수시설이 없는 비위생매립지는 발생된 침출수가 매립지 외부로 누출될 경우 주변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Bjerg et al.,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4, 사용종료매립지 개선방안 조사연구 

  2. Armeth, J.D., Milde, G., Kerndorff, H., and Schleyer, R., 1989, Waste deposit influences on groundwater quality as a tool for waste type and site selection for final storage quality, The Landfill Lecture Notes in Earth Sciences, 20, 39 

  3. Bjerg, P.L., Rugge, K., Pedersen, J.K., and Christensen, T.H., 1995, Distribution of redox-sensitive groundwater quality parameters downgradient of a landfill, Environ. Sci. Technol., 29(5), 1387-1394 

  4. Figueroa, R.A., 1993, Methane oxidation in landfill top soils. Proceedings Sardinia 93, 701-715 

  5. Hoehn, E., Johnson, C.A., Huggenberger, P., Amirbahman, A., Peter, A., and Zweifel, H.R., 2000, Investigative strategies and risk assessment of old unlined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s, Waste Manage. Res., 18, 577-589 

  6. Lee, J.Y., Cheon, J.Y., Kwon, H.P., Yoon, H.S., Lee, S.H., Kim, J.H., Park, J.K. and Kim, C.G., 2006, Attenuation of landfill leachate at two uncontrolled landfills, Environ. Geol., 51(4), 581-593 

  7. Lee, J.Y., Cheon, J.Y., Lee, K.K., Lee, S.Y., and Lee, M.H., 2001,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hydrocarbon contaminants and hydrogeochemical parameters in a shallow sand aquifer, J. Contam. Hydrol., 50(1-2), 139-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