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인삼부산물 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생산성 및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inseng By-product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Pigs원문보기
본 시험은 인삼부산물 급여 유무에 따른 돼지 생산성, 혈액, 도체 및 육질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 동물은 2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 육성-비육돈 24두를 공시하였으며 개시 체중은 65.81±2.02kg이였다. 기초 사료를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처리구(GBP)은 인삼 부산물을 기초사료의 lupin 2.5%로 대체하였다. 시험구는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암·수 동일한 비율로 각 처리구당 4마리씩 3반복 실시하였다. 생산성에서 일당사료섭취량은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01). 혈장의 생화학적 조성에서는 total protein, blood urea nitrogen, glucose, albumin, calcium 그리고 inorganic phosphate는 각각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도체 및 육질 특성은 GBP 및 CON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돈육의 총 ginsenoside 함량은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TBRAs는 저장 6일과 13일에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인삼부산물 급여는 혈장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가져왔고, 돈육의 ginsenoside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지방산패도를 감소시켰는데 이 사실은 인삼부산물이 돼지의 사료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본 시험은 인삼부산물 급여 유무에 따른 돼지 생산성, 혈액, 도체 및 육질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 동물은 2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 육성-비육돈 24두를 공시하였으며 개시 체중은 65.81±2.02kg이였다. 기초 사료를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처리구(GBP)은 인삼 부산물을 기초사료의 lupin 2.5%로 대체하였다. 시험구는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암·수 동일한 비율로 각 처리구당 4마리씩 3반복 실시하였다. 생산성에서 일당사료섭취량은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01). 혈장의 생화학적 조성에서는 total protein, blood urea nitrogen, glucose, albumin, calcium 그리고 inorganic phosphate는 각각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도체 및 육질 특성은 GBP 및 CON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돈육의 총 ginsenoside 함량은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TBRAs는 저장 6일과 13일에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인삼부산물 급여는 혈장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가져왔고, 돈육의 ginsenoside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지방산패도를 감소시켰는데 이 사실은 인삼부산물이 돼지의 사료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ginseng by-product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The anim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 total of 24 Landrace×Yorkshire and weighted 65.81±2.02kg. The experimental diets w...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ginseng by-product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The anim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 total of 24 Landrace×Yorkshire and weighted 65.81±2.02kg. The experimental diets were basal diet(CON) and 2.5% ginseng by-product(GBP), which replaced lupin in basal diet. The pigs were allotted at 4 pigs per pen with three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by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growth performance, ADFI was significantly lower(P<0.0001) in GBP than in CON. In plasma biochemical composition, total protein(P<0.01), blood urea nitrogen(P<0.03), glucose(P<0.01), albumin(P<0.02), calcium(P<0.01) and inorganic phosphate(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BP than in CON. Carcass and meat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otal ginsenoside content on meat was significantly higher(P<0.0001) in GBP than in CON.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BP than in CON for 6 days(P<0.03) and 12 days (P<0.06), respectively. Our research indicates that plasma biochemical composition, total ginsenoside content and TBARs were affected when replaced with ginseng by-product. Ginseng by-product in the pig diet increased pig muscle ginsenoside, indicating that ginseng by-product can be used as a feed additiv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ginseng by-product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The anim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 total of 24 Landrace×Yorkshire and weighted 65.81±2.02kg. The experimental diets were basal diet(CON) and 2.5% ginseng by-product(GBP), which replaced lupin in basal diet. The pigs were allotted at 4 pigs per pen with three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by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growth performance, ADFI was significantly lower(P<0.0001) in GBP than in CON. In plasma biochemical composition, total protein(P<0.01), blood urea nitrogen(P<0.03), glucose(P<0.01), albumin(P<0.02), calcium(P<0.01) and inorganic phosphate(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BP than in CON. Carcass and meat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otal ginsenoside content on meat was significantly higher(P<0.0001) in GBP than in CON.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BP than in CON for 6 days(P<0.03) and 12 days (P<0.06), respectively. Our research indicates that plasma biochemical composition, total ginsenoside content and TBARs were affected when replaced with ginseng by-product. Ginseng by-product in the pig diet increased pig muscle ginsenoside, indicating that ginseng by-product can be used as a feed additiv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삼 부산물 급여를 통하여 비육돈의 생산성, 육질특성 및 돈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인삼 부산물의 급여 유무에 따른 생산성, 혈액 조성, 도체 및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SAS(1995)의 T-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제안 방법
5%에 대체하였다. 시험구는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암·수 동일한 비율로 각 처리구당 4마리씩 3반복 실시하였다. 처리구별로 시험 사료는 출하 전 60일간 무제한 급여하였고, 음수는 자유 급수를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의 대사 에너지 및 미네랄은 NRC(1998) 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원료조성 및 성분함량은 Table 1과 같다. 시험 설계는 기초 사료를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처리구(GBP)은 인삼 부산물을 lupin 2.5%에 대체하였다. 시험구는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암·수 동일한 비율로 각 처리구당 4마리씩 3반복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암·수 동일한 비율로 각 처리구당 4마리씩 3반복 실시하였다. 처리구별로 시험 사료는 출하 전 60일간 무제한 급여하였고, 음수는 자유 급수를 실시하였다. 시험돈사는 무창돈사이며 돈방 면적은 320×150cm이다.
체중은 개시체중을 측정한 후 시험사료를 60 일간 급여한 후에 종료체중을 측정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총 증체량에서 사육일수를 나누어 계산하였고, 일당 사료섭취량은 총 사료 섭취량에서 사육일수를 나누어 계산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총 증체량에서 사육일수를 나누어 계산하였고, 일당 사료섭취량은 총 사료 섭취량에서 사육일수를 나누어 계산하였다. 사료 요구율은 사료섭취량에서 증체량을 나누어 계산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총 증체량에서 사육일수를 나누어 계산하였고, 일당 사료섭취량은 총 사료 섭취량에서 사육일수를 나누어 계산하였다. 사료 요구율은 사료섭취량에서 증체량을 나누어 계산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기로 1,5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분석 전까지 20 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혈장은 생화학 분석기(Bellring US/ELLSA)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물질인 Total protein(mg/ ), Blood urea nitrogen(mg/ ), Glucose(mg/ ), Albumin (mg/ ), Calcium(mg/ ), Inorganic phosphate (mg/ )을 분석하였다.
공시동물은 종료체중을 조사한 후 각 처리구별로 비슷한 체중 6두씩(체중 103±1kg, 1두/성별 반복) 12두의 시험동물을 도축장에서 12시간 절식한 후 도축하였다. 도체는 도체 냉각실 (2±2 )에서 24시간 냉각하였다.
도체는 도체 냉각실 (2±2 )에서 24시간 냉각하였다. 도체 중량을 측정한 후 도체율 및 정육율을 계산하였다. 등 지방 두께는 좌반도체의 마지막 등뼈와 제 1허리 뼈 사이 및 제 11등뼈와 제 12등뼈 사이의 등 지방을 측정한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등 지방 두께는 좌반도체의 마지막 등뼈와 제 1허리 뼈 사이 및 제 11등뼈와 제 12등뼈 사이의 등 지방을 측정한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육질 분석은, 도축 후 24시간 예냉한 도체에서 공시재료로 배최장근(Longissimus dorsi muscle)을 정형한 후에 채취하였으며, 랩으로 포장하여 0± 1 에서 24시간 저장한 후 육질 분석을 위한 공시재료로 이용하였다. 수분 및 조지방은 AOAC(1995)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보수력은 Laakkonen 등 (1970)의 방법에 따라 전수분과 유리수분을 구한 뒤 산출하였다. 마쇄한 시료 10g을 70 의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방냉하여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유리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동일한 시료 10g을 dish에 담아서 102±1 dry oven 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전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가열감량은 시료를 2cm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70 항온수조에서 10분간 가열한 다음 냉각 시켜 감량된 무게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마쇄한 시료 10g을 70 의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방냉하여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유리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동일한 시료 10g을 dish에 담아서 102±1 dry oven 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전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가열감량은 시료를 2cm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70 항온수조에서 10분간 가열한 다음 냉각 시켜 감량된 무게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육색은 배최장근 단면을 자른 후 4 에서 30 분간 발색시킨 후 색차계(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료를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가열감량은 시료를 2cm 두께로 일정하게 절단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70 항온수조에서 10분간 가열한 다음 냉각 시켜 감량된 무게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육색은 배최장근 단면을 자른 후 4 에서 30 분간 발색시킨 후 색차계(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료를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표준화 작업은 표준색판 No.
육색은 배최장근 단면을 자른 후 4 에서 30 분간 발색시킨 후 색차계(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료를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표준화 작업은 표준색판 No. 12633117을 이용하여 Y=93.5, x=0.3136, y=0.3198 값으로 표준화시킨 후 육색을 측정하였다.
관능검사는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을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육즙, 연도, 향미를 조사하였다.
관능검사는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을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육즙, 연도, 향미를 조사하였다. 총 ginsenoside 정량은 건물기준의 시료 2g을 HPLC급 methanol에 3시간 간격으로 수욕 상에서 60 를 유지하며 3회 추출하였다.
육즙, 연도, 향미를 조사하였다. 총 ginsenoside 정량은 건물기준의 시료 2g을 HPLC급 methanol에 3시간 간격으로 수욕 상에서 60 를 유지하며 3회 추출하였다. 이를 evaporator를 이용하여 40 를 넘지 않는 조건에서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잔사를 5ml의 HPLC급 증류수에 용해한다.
수층에 용해된 ginsenoside층을 수포화 n-butanol 을 이용해 추출하고, evaporator에서 40 를 준수하며 감압조건하에 용매를 제거한다. 이를 중량 법으로 총 ginsenosid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lavonoids가 갖는 가장 기초적인 능력으로서의 항산화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료를 산화가 일어나기 쉬운 조건인 상온에서 저장하며 각각의 기준 저장일에 맞추어 TBARs 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중량 법으로 총 ginsenosid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lavonoids가 갖는 가장 기초적인 능력으로서의 항산화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료를 산화가 일어나기 쉬운 조건인 상온에서 저장하며 각각의 기준 저장일에 맞추어 TBARs 시험을 진행하였다. 단, 이때 외부적인 조건의 혼입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여 모든 시료는진공포장하여 저장하였으며, 따라서 미생물 혼입 등에 의한 부변패는 최대한 차단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SAS(1995)의 T-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처리 간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대상 데이터
1.사양 시험
시험동물은 2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 비육돈 24두를 공시하였으며 개시 체중은 65.81±2.02kg이였다. 시험 사료의 대사 에너지 및 미네랄은 NRC(1998) 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원료조성 및 성분함량은 Table 1과 같다.
처리구별로 시험 사료는 출하 전 60일간 무제한 급여하였고, 음수는 자유 급수를 실시하였다. 시험돈사는 무창돈사이며 돈방 면적은 320×150cm이다. 기타 사양 관리는 일반적인 관행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 종료일에 각 처리구별로 비슷한 체중 6두씩(체중 103±1kg, 1두/성별 반복) 12두의 시험동물로부터 혈액을 경정맥에서 헤파린 튜브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기로 1,5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분석 전까지 20 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데이터처리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SAS(1995)의 T-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처리 간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이론/모형
02kg이였다. 시험 사료의 대사 에너지 및 미네랄은 NRC(1998) 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원료조성 및 성분함량은 Table 1과 같다. 시험 설계는 기초 사료를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처리구(GBP)은 인삼 부산물을 lupin 2.
육질 분석은, 도축 후 24시간 예냉한 도체에서 공시재료로 배최장근(Longissimus dorsi muscle)을 정형한 후에 채취하였으며, 랩으로 포장하여 0± 1 에서 24시간 저장한 후 육질 분석을 위한 공시재료로 이용하였다. 수분 및 조지방은 AOAC(1995)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수력은 Laakkonen 등 (1970)의 방법에 따라 전수분과 유리수분을 구한 뒤 산출하였다. 마쇄한 시료 10g을 70 의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방냉하여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유리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동일한 시료 10g을 dish에 담아서 102±1 dry oven 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전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단, 이때 외부적인 조건의 혼입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여 모든 시료는진공포장하여 저장하였으며, 따라서 미생물 혼입 등에 의한 부변패는 최대한 차단하였다. TBARs 시험은 Ohkawa 등(1979)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2에 나타내었다. 종료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인삼부산물 급여 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GBP가 CON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일당사료섭취량은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
0001). 사료 요구율은 인삼부산물 급여 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GBP가 CON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 등(2002)은 재래 닭을 이용한 시험에서 인삼 급여는 사료 섭취량 및 증체량을 감소하였다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박 등(2006)도 비육돈을 이용한 시험에서 배양 산삼 분말 및 발효산삼배양액 분말 첨가에 의해 사료섭취량이 감소한다고 보고 하였다.
Total protein(P<0.01), blood urea nitrogen(P<0.03), glucose(P<0.01), albumin(P<0.02), calcium (P<0.01) 그리고 inorganic phosphate(P<0.01) 함량은 GBP 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인삼추출물은 혈청 내 albumin 생합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고(Oura 등, 1975), 인삼 잎 추출물을 쥐에 급여시 혈청의 glucose 농도가 감소된다고 하였다(Xie 등, 2004).
Table 4와 같다. 도체 특성에서, 도체 중량은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GBP가 CON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체율, 정육율, 등지방 두께 및 일반성분인 수분 그리고 조지방 함량은 CON과 GBP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도체 특성에서, 도체 중량은 시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GBP가 CON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체율, 정육율, 등지방 두께 및 일반성분인 수분 그리고 조지방 함량은 CON과 GBP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두께는 시험 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유 등(2002)의 보고는 인삼부산물 급여 기간에 따른 돈육의 육색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하여, 본 시험의 결과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인삼 부산물 급여는 돈육의 물리적 특성 및 육색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6에 나타내었다. 육즙, 연도 및 향미는 CON과 GBP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인삼부산물 급여는 돈육의 관능평가에서 육즙, 연도, 향미에 있어서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즙, 연도 및 향미는 CON과 GBP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인삼부산물 급여는 돈육의 관능평가에서 육즙, 연도, 향미에 있어서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N에서도 ginsenoside가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사료원료에서 곡물의 일부가 ginsenoside를 함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인삼부산물 급여로 CON에 비하여 약 5배정도 높은 함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돈육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돈육의 지방산 패도를 나타내는 TBARs 값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GBP구가 CON 보다 낮았는데 이것은 GBP구 돈육의 저장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 인삼부산물 급여가 혈중 albumin 농도를 증가시켰는데 이것은 Oura 등(1975)이 보고한 내용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blood urea nitrogen, inorganic phosphate 그리고 glucose는 인삼부산물 급여에 의해 증가하여 장 등(2007)과 Xie 등(2004)의 보고와 다른 결과를 나타내어 정확한 고찰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28)
Aggarwal, B. B. and Shishodia, S. 2006. Molecular targets of dietary agents for prevention and therapy of cancer. Biochem. Pharmacol. 71:1397-142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Attele, A. S. and Xie, J. T. 2002. Evidence based herbal pharmacology: an example using ginseng. In: Yuan, C. S. and Beiber, E. (Eds.), A texbook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RC Press Company, Boca Raton, pp. 202-218
Du, M., Ahn, D. U., Nam, K. C. and Sell, J. L. 2000. Influence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volatile profiles, color and lipid oxidation of irradiated raw chicken meat. Meat Sci. 56:387-395
Helms, S. 2004. Cancer prevention and therapeutics: Panax ginseng. Altem. Med. Rev. 9: 259-274
Kim, D. Y. 1973. Studies on the browning of the red ginseng. J. Korean Agr. Chem. Soc. 16:60
Kim, C. J., Su, S. K., Joo, J. H. and Cho, S. K. 1990.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s (II) - Relationships of anti-inflammatory and anti-granulomatous actions. Yakhak Hoeji. 34:407-414
Kim, J. H. and Wang, S. G. 1997. Effects of mugwort, dried orange peel and duchung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Nutrition. 30:895-903 (In Korean)
Laakkonen, E., Wellington, G. H. and Skerbon, J. W. 1970. Low temperature long time heation of bovine muscle. J. Food. Sci. 35:175-177
Oura, H., Hiai, S., Odaka, Y. and Yokozawa, T. 1975. Studies on the biochemical action of ginseng saponin: I. Purification from ginseng extract of the active component stimulating serum protein biosynthesis. J. Biochem. 77:1057-1065
Ren, G. and Chen, F. 1999. Degradation of ginsenosides in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extracts during microwave and conventional heating. J. Agric. Food Chem. 47:1501-1505
SAS. 1995. SAS/STAT User's Guide : Version 6, 11th edition. SAS Institute Inc., Cary, NC
Sekiya, K. and Okuda, A. 1981. Purification of an antilipolytic (insuline-like) substance from Panax ginseng. Proc. Symp. WaKan-Yaku. 14:133
Shibata, S., Tanaka, O., Sado, M., Tsushima, S. and Oshawa, T. 1966. Protopanaxadiol a genuine sapogenin of ginseng saponins. Chem. Pharm. Bull. 14:595-600
Xie, J. T., Mehendale, S. R., Wang, A., Han, A. H., Wu, J. A., Osinski, J. and Yuan, C. S. 2004. American ginseng leaf: ginsenoside analysis and hypoglycemic activity. Pharmacological Res. 49: 113-117
Yokozawa, T., Seno, H. and Oura, H. 1975. Effect of ginseng extract on lipid and sugar metabolism. 1. Metabolic correlation between liver and adipose tissue. Chem. Pharm. Bull. 23:309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