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양액에 첨가하는 에너지원이 생쥐 배 발생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ergy Substrates in Culture Media on Developmental Capacity of Mouse Embryos 원문보기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 한국동물번식학회지, v.31 no.1, 2007년, pp.35 - 41  

박기상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  이현정 (대구파티마병원 산부인과) ,  박성백 (대구대학교 축산학과) ,  김지철 (대구대학교 축산학과) ,  이택후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  전상식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간 난관액 또는 자궁액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이 생쥐 2-세포기 배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CR 암 생쥐에 5 IU hCG 주사 후 $46{\sim}50$ 시간에 2-세포기 배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배는 3가지 배양 조건 [대조군: 0 mM Group A: glucose(G) 0.5 mM + pyruvate(P) 0.32 mM + lactate(L) 10.5 mM, Group B: G 3.15 mM + P 0.1 mM + L 5.83 mM]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24 시간에 상실배 출현율은 group A (72.3%)와 group B (56.6%)가 대조군(34.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48시간에 배반포기 배 출현율은 대조군(51.8%)이 group A (39.8%)와 group B (25.9%)보다 유의하게 (p<0.05) 높았다. 72시간에 투명대 부착 ($ZiB,\;41.0{\sim}51.8%$), 투명대 탈출 ($ZeB,\;18.1{\sim}32.5%$) 및 총 배반포기 배 출현율 ($68.7{\sim}73.5%$)은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기 배의 평균 세포수와 ICM 세포수는 group A (70.8, 13.4)와 group B (64.4, 11.8)가 대조군 (53.1, 5.7)보다 유의하게(p<0.05) 많았고,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group A가 group B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총 세포수에 대한 ICM 비율은 group A(22.9%)와 group B(23.7%)가 대조군(14.2%)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영양배엽(TE) 세포수($34.1{\sim}45.1$)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ICM에 대한 TE 비율(ICM:TE ratio)은 대조군(1:6.0)이 group A(1:3.4)나 group B(1:3.4)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생쥐 2-세포기 배를 배양하여 72시간까지의 배 발달율을 살펴보면 배양액에 에너지원을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자궁액 농도보다는 난관액 농도로 에너지원을 조절했을 때 배 발생 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nergy substrates in different conoentration of carbohydrates in the human oviduct and uteru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mouse 2-cell embryos. Two-cell embryos were collected from ICR female mice at $46{\sim}50\;hr$ after 5 IU hCG in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인간의 체외수정술에서 임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중에서 발생 능력이 가장 우수한 배반포기 배아의 획득을 모색하기 위해, glutamine이 단독 에너지원으로 함유되어 있는 배양액에 인간 생식 기관 (난관, 자궁)액 내 에너지원인 glucose, pyruvate 및 lac- fate 를 각각 다른 농도로 첨가하여 생쥐 2-세포기 배 발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rnett DK, Bavister BD (1996): Inhibitory effect of glucose and phosphate on the second cleavage division of hamster embryos: is it linked to metabolism? Hum Reprod 11:177-183 

  2. Brown JJG, Whittingham DG (1991): The roles of pyruvate, lactate and glucose during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embryos from $F_1$ hybrid mice in vitro. Development 112:99-105 

  3. Chatot CL, Ziomek CA, Bavister BD, Lewis JL, Torres I (1989): An improved culture medium supports development of random-bred I-cell mouse embryos in vitro. J Reprod Fert 86:679-688 

  4. Conaghan J, Handyside AH, Winston RML, Leese HJ (1993): Effects of pyruvate and glucose on the development of human preimplantation embryos in vitro. J Reprod Fertil 99:87-95 

  5. Crabtree HG (1929): Observations on the carbohydrate metabolism of tumors. Biochem J 23:536-545 

  6. Gardner DK, Lane M (1997): Culture and selection of viable blastocyst: a feasible proposition for human IVF? Hum Reprod Update 3:367-382 

  7. Gardner DK, Leese HJ (1990): Concentrations of nutrients in mouse oviduct fluid and their effects on embryo development and metabolism in vitro. J Reprod Fertil 88:361-368 

  8. Herrick JR, Lane M, Gardner DK, Behboodi E, Memili E, Blash S (2006): Metabolism, protein content, and in vitro embryonic development of goat cumulus-oocyte complexes matured with physiological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L-Iactate. Mol Reprod Dev 73:256-266 

  9. Iwasaki S, Mizuno J, Kobayashi K, Yoshikane Y, Hayashi T (1994): Changes in morphology and cell number of inner cell mass of porcine blastocysts during freezing. Theriogenology 42:841-848 

  10. Iwasaki S, Yoshida N, Ushijima H, Watanabe S, Nakahara T (1990): Morphology and proportion of inner cell mass of bovine blastocysts fertilized in vitro and in vivo. J Reprod Fertil 90:279-284 

  11. Krisher RL, Bavister BD (1998): Development of oocytes and embryos to the culture environment. Theriogenology 49:103-114 

  12. Mishira A, Seshagiri PB (1998): Successful development in vitro of hamster 8-cell embryos to 'zona-escape' and attached blastocysts: assessment of quality and trophoblast outgrowth. Reprod Fertil Dev 10:413-420 

  13. Nasr-Esfahani MH, Winston NJ, Johnson MH (1992): Effects of glucose, glutamine,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and oxygen tension on the concent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on development of the mouse preimplantation embryos in vitro. J Reprod Fertil 96:219-231 

  14. Park SB, Park KS, Lee TH, Chun SS, Kim KS, Song HB (2004): Effects of various addition and exclusion time of glucose on development of mouse two-cell embryos. Reprod Dev BioI 28:227-233 

  15. Richter KS, Harris DC, Daneshmand ST, Shapiro BS (2001): Quantitative grading of a human blastocyst: optimal inner cell mass size and shape. Fertil Steril 76:1157-1167 

  16. Rosenkrans CF, Zeng GQ McNamara GT, Schoff PK, First NL (1993):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in vitro as affected by energy substrates. Biol Reprod 49:459-462 

  17. Schini SA, Bavister BD (1988): Two-cell block to development of cultured hamster embryos is caused by phosphate and glucose. Biol Reprod 39:1183- 1192 

  18. Seshagiri PB, Bavister BD (1989): Phosphate is required for inhibition by glucose of development of hamster 8-cell embryos in vitro. Biol Reprod 40: 607-614 

  19. Wales RG, Whittingham DG (1973): The metabolism of specifically labelled lactate and pyruvate by twocell mouse embryos. J Reprod Fertil 33:207-222 

  20. 김주환, 박기상, 이택후, 전상식, 송해범 (2000): Glutamine 함유 배양액에 첨가한 에너지원이 마우스의 배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불임학회지 27:1-7 

  21. 박기상, 이택후, 전상식, 송해범 (2002): 마우스에서 비반포 배의 differential staining에서 propidium iodide와 bisbenzimide의 노출이 미치는 영향. 대한불임학회지 29:317-322 

  22. 박성백, 김지철, 박기상, 이택후, 전상식, 송해범 (2004): 생쥐 배의 배반포 형성과 세포수에 미치는 glucose의 영향.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7:663-6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