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건축 공간 디자인을 위한 '빛' 관련 디자인개념 추출 - 빛에 의한 시지각적 현상(現象)으로서의 공간 조형성을 중심으로 -
Extraction of Design Concepts of Light for the Architectural Interior Space - Focused on the plastic character of space as visual phenomenon by Light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6 no.2 = no.61, 2007년, pp.115 - 122  

유영희 (협성대학교 실내디자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design concepts, especially in relation to light, as a part of extracting design concepts in architectural interior design.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eps. Firstly, appropriate design concepts are extracted from various design characteristics. Secondly, t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yndon과 Charles Moore는 이와 같은 패턴(Pattern)이나 유형 (Type) 들은디자인 행위에서 '목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출발점'이 되는 것으로, 디자인 문제에 접근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4)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념화작업을 통해 추출된 여러 디자인 개념들을 유형별로 분류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 빛은 자체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다른 건축공간의 구성요소 즉 공간체계(형태, 공간), 에워쌈체계 (바닥 벽(기둥) 천정-구조체, 개구부), 재료, 색채, 내외부공간과의 관계 등과의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건축 공간 내에서 조형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시지각적 이미지를 창출하며 시지각적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빛의 개념들을 건축공간의 구성요소, 구체적으로 공간, 형태, 구조체, 재료, 색채, 내외부공간과의 관계로 구분하여 각 범주에 관련된 세부특성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실내건축 공간디자인에서 활용될 수 있는 빛과 관련된 디자인 개념들을 정리하고 체계화시키기 위해 진행되었다. 분석은 기존 문헌들과 관련 작품들을 대상으로, 실내건축공간의 구성요소와의 관련성에서 디자인 개념들을 유형화하고 빛의 조형성과 관련하여 재 개념화를 시도하면서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개념을 추출한 후, 이 개념들을 시각적 형태로의 변환을 위해 도식 (diagram)으로 제시하고, 그 특성에 관한 내용들을 간략히 설명한 후, 관련 사례들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 전자가 신성이나 의미, 이미지등 보다 정신적이며 인간의 심리적인 내면을 비추는 형이상학적 상징적인 특성에 관련된 빛을 표현하는 것이라 한다면, 후자는 공간이나 형태 등 시지각적인 현상학적 특성으로서 공간의조형성과 관련을 갖는 물질적인 특성을 표현하는 것이다5). 본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가운데 후자, 즉 공간의 시지각적 조형성과 관련된 디자인 개념들에 한정하고자 한다.(전자에 대해서는추후 연구할 예정임)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빛과 관련된 실내건축 공간 디자인들의각 특성들을 적절하게 개념화시키고, 또 그 개념들을 실내건축공간의 각 구성요소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유형화하고자 한다. 여기서 제시되는 빛 관련 디자인 개념들과 유형분류는 실제 디자인에의 적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실제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체계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기대된다.
  • 본연구는 실내건축 공간 디자인의 여러 요소들 가운데서도 특히 '빛'과 관련된 디자인 개념에 초점을 맞춘다. 즉 빛과 관련된 공간 디자인을 연출하고자 할 때 참고가 될 수 있는 디자인 개념들을 새로이 추출해 내거나 혹은 이미 개념화된 것들을 유형별로 체계화 하고자 한다.
  • 있는 디자인 개념화작업을 위한 연구이다。체계적인 디자인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재까지 여러 개별적인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디자인의 특성들을 개념화시키고, 또 이것들과이미 단편적으로 개념화된 것들을 체계적이며 유형적으로 정리하여 실내건축 공간 디자인을 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디자인개념 (Design Concept Brief)들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연구는 실내건축 공간 디자인의 여러 요소들 가운데서도 특히 '빛'과 관련된 디자인 개념에 초점을 맞춘다.

가설 설정

  • 실내건축공간에서 빛은 인공광이 중요한 요소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연광에 의한 효과로 한정한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되는 개념들은 인공조명에 의한 계획에서도 참고 될 수 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유영희, 실내건축공간에 '한국성' 적용을 위한 디자인개념 추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005. 10 

  2. 정수진, 건축 공간에서 빛의 조형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 논문, 1995 

  3. 김경재.윤도근, 건축구성요소와 빛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논문집, 1998. 2 

  4. 이은미, 현대 건축공간에 있어 빛의 표현특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03. 6 

  5. 김주연, 실내공간에 있어 자연광에 의한 시지각적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997. 12 

  6. 오승남.김종진, 지각과 인지를 바탕으로 한 실내공간의 빛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6. 12 

  7. 김남헌, 빛에 의한 건축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1999. 12 

  8. 오인완, 실내건축공간에 있어서의 빛의 유입유형방법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996. 12 

  9. 김기환, 공간조형과 빛, 대한건축학회지 36권 5호, 1992. 9 

  10. 유방현, 실내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자연과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 디자인학회지, 1995. 7 

  11. 김중근,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빛의 조절과 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지 창간호, 1992. 10 

  12. Kurtoch.Eakin, Interior Architecture, N.Y.;Van Nostrand Reinhold, 1993 

  13. Marietta S. Millet, LIGHT REVEALING ARCHITECTURE, NY: Van Nostrand Reinhold, 1996 

  14. Edward T. White, Concept Source Book, 조철의 역, 서울:시공문화사, 2002 

  15. Lyndon and Charles W. More, Chambers for Memory Palace, Cambridge:MIT Press, 1996 

  16. Kurtoch. Eakin, Interior Architecture, N.Y:Van Nostrand Reinhold, 1993 

  17. Architects of the World, New York: Whitney, 1998 

  18. 건축20세기(II), 글로벌아트 

  19. Louis I. Kahn, Light and Space, 빛과 공간, Urs buttiker, 서울; Spacetime, 2002 

  20. Robert McCarter, Louis I Kahn, Phaidon, 2005 

  21. Gabriele Cappellato, Mario Botta, Lignt and Gravity Architecture 1993-2003, Prestel:New York, 2004 

  22. Architectural Record, 2005. 06 - 2006. 12 

  23. http://www.andotadao.org 

  24. http://www.campobaeza.com 

  25. http://www.stevenholl.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