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 환경오염 감소를 위한 건축마감 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ishing materials for Reduction of Indoor pollution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6 no.2 = no.61, 2007년, pp.303 - 313  

김자경 (한양사이버대학 공간디자인과) ,  남경숙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according to many studies, indoor space's pollution level is two to ten times higher than outdoor space's. This result arouses our attention. The major causes of deterioration of indoor air quality are the lack of ventilation caused by draught-proofing and insulation construction, and ha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어 해결책을 찾아보려고 한다. 그러므로 현대 건축에서 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중심으로 실내 환경오염 실태와 이로 인한 인체 피해 정도를 살펴보고 현재 국내 친환경 제품 현황을 중심으로 건축 재료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 최소화를 위한 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실내 환경오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각인시키고 친환경 재료에 관한 정확한 정보와 선택기준을 제시하고, 제조업체의 정직한 친환경 재료 개발과 생산을 자극하고 국내 친환경 건축과 인테리어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 첫째, 다양한 실내 환경오염 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건축 재료에 의한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본다. 둘째, 건축 부위별로 실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 재료를 찾아보고 그 유해성을 알아본다. 셋째, 다양한 건축 재료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방출특성을 분석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의 기초로 삼는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실내 환경오염 원인 중 건축 마감재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유해성과 피해 정도, 원인, 오염물질방출 특성을 알아보고 건축마감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실내 환경오염의 정의를 실내에서 발생 되거나 유입된 유해가스나 오염된 공기가 희석되거나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순환하거나 실내의 청결상태가 불량하거나 노후 되면서 먼지나 곰팡이, 세균 등에 의해 건강상에 해를 미치는 상태로 규정하고 그 원인과 피해 정도를 살펴보려고 한다.
  • 연구 진행은 한 가지 건축 재료에 의한 유해성 측정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가 아니라 건축 전체 안팎에 사용되는 마감재 전체에 대한 유해성과 그 해결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관련 문헌과 환경부와 환경정보.
  • 그러므로 현대 건축에서 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중심으로 실내 환경오염 실태와 이로 인한 인체 피해 정도를 살펴보고 현재 국내 친환경 제품 현황을 중심으로 건축 재료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 최소화를 위한 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실내 환경오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각인시키고 친환경 재료에 관한 정확한 정보와 선택기준을 제시하고, 제조업체의 정직한 친환경 재료 개발과 생산을 자극하고 국내 친환경 건축과 인테리어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 않다. 이에 가장 쉽게 친환경 건 죽 재료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면 친환경 건축자재를 선별해주는 다양한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 재료를 고르는 기준을 삼기 위한 인증마크의 종류는' 환경마크경 건축자재 품질인증인 'HB마크'의 등급을 확인하거나 우수재활용품 인증인 GR마크, 공업표준화 인증인 KS마크 등이 이에 해당된다.
  •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실내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건축자재로 인한 부분이 상당 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건축자재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의 방출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하여 그 피해를 줄이는 방법들을 찾아보았다. 문헌이나 다양한 연구보고서에서 대응책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분석한 결과 크게 실내 환경조절을 통한 오염감소 방법과 근본적 대처방안으로 오염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친환경 건축자재의 사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실내 환경오염 문제의 해결점을 건축 재료에 초점 두어 해결책을 찾아보려고 한다. 그러므로 현대 건축에서 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중심으로 실내 환경오염 실태와 이로 인한 인체 피해 정도를 살펴보고 현재 국내 친환경 제품 현황을 중심으로 건축 재료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 최소화를 위한 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는 건축 재료 외에 온도나 습도, 환기 등 실내 환경 조절을 통한 방안과 둘째는 재료 자체를 Eco- Safe 즉,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을 통한 근본적인 대처방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에 실제 소비자들의 선택을 돕고 체계적 분류를 위해 국내 시장에 판매 및 생산되는 재료를 중심으로 친환경 자제들도 함께 제시해 보려고 한다.
  • 이에 건축재료에 의한 유해물질의 성질과 배출 특성 등을 고려하여 건축재료의 선정 시 반영하여 적정한 물리적 성능을 가지면서 유해성이 적은 화학적 성능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이번 장은 실내를 구성하는 주요 구조 건축 재료와 부위별 주요 공사 마감재의 특징과 유해성, 오염물질 방출특성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센터에서 연구 과제로 이루어진 다양한 건축마감재의 유해성을 검사한 실험데이터를 포함한 연구 결과보고서,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실내공기질 관련자료, 웰빙 관련 방송자료, 논문, 기타 건축, 웰빙 관련 기사, 기업제품 카탈로그 등의 종합적인 내용 분석 방법에 의해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다양한 실내 환경오염 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건축 재료에 의한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본다. 둘째, 건축 부위별로 실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 재료를 찾아보고 그 유해성을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경인.김광희, 이제는 집도 웰빙이다, 도서출판 대가, 2004 

  2. 마사오 이노우에, 김현중 역, 새집증후군의 실체와 대응전략, 한국목재 신문사, 2004 

  3. 송현진.김득현 저, 새집증후군을 아십니까? - 새집증후군의 법률적 조명, 법률출판사, 2005 

  4. 안옥희, 주거환경학, 기문당, 2002 

  5. 이송미, 공해천국 우리집, 소담출판사, 2004 

  6. 이현숙, 콘크리트 아파트에서 건강하게 사는 49가지 방법, 이지북, 2005 

  7. 일본건축학회편, 김현중 역, 새집증후군 대책의 바이블, 선진문화사, 2004 

  8. 임만택, 실내환경 오염과 알레르기의 대책, 한국건축학회, 건축 2005.5 

  9. 유영식, 화학물질과민증, 새집증후군, 알레르기, 도서출판 대학서림, 2004 

  10. 에노모토 가오르, 이윤하 역, 새집증후군, 알펍, 2004 

  11. 정동효, 생활 속의 곰팡이, 유한문화사, 2000 

  12. 후나세 슌스케, 엄영근 옮김, 콘크리트 주택에서는 9년 일찍 죽는다, 한국 목재 신문사, 2004 

  13. 강승모.박기덕, 공동주택에 있어 친환경 실내디자인의 국내 추이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4권 1호, 2005.2 

  14. 강승모, 실내디자인에 있어 환경친화성 재료 사용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NO40. 2003.10 

  15. 김강석 외 3인,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와 정책방안 연구, 한국 환경 정책.평가 연구원, 2001.12 

  16. 김윤신, 겨울철 실내공기오염 관리방안, 환경보전 325권, 2000 

  17. 김태현.김병곤, 시멘트를 이용한 Eco- Safe건재의 신기술, 세라미스트, 제9권3호, 2006.6 

  18. 백용규, 웰빙문화 정착을 위한 공기환경, 대한 설비공학회, 설비저널, 2006 

  19. 이언구, 신축공동주택의 실내 공기환경 개선방안, 대림기술정보, 2004.12 

  20. 조완제 외 3인, 공동주택의 실내공기 환경개선 방안연구, 주택도시연구원, 2003 

  21. 한국공기청정협회,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선정관련 연구, 환경부, 2003.1 

  22. 메드시티 http://www.medcity.com 

  23. 아토피아이 http://www.rexairkorea.com/in/atopy_1.htm 

  24. 환경부홈페이지 www.m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