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Delta Development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 Literature Survey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21 no.2 = no.75, 2007년, pp.22 - 34  

윤한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유창일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강윤구 ((주)삼성물산 건설부문 항만팀) ,  류청로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ing new research topics and closely examine the existing data on th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by analyzing various studies of the area, including ocean engineering, coastal engineering, ocean environmental engineering, geomorpho...

주제어

참고문헌 (52)

  1. 김기철, 양한섭, 김차겸, 문창호, 장성태 (1999). '수문개폐에 따른 낙동강 하구언 하류부의 해양물리환경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2권 제2호, pp 49-5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염분최고값은 고조 약 1시간 후(최고상향류 3시간 후)에, 그리고 염분최저값은 저조 약 1시간 후최고하향류 3시간 후)에나타난다고 제안하였다:하지만 하구언 건설후, 담수는 수문의 인위적인 개폐작용에 따라 방출되고 해수유입은 하구언에 의해 제한되어 수문을 열었을때 담수와 해수는 급격히 만나 염수쇄기의 형태로 성충화되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하구언 수문의 개폐는 하구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 중의 하나가 되었다(김기철 등, 1999).

  2. 김기현, 조진형, 박남준 (2000). '낙동강 하구역 퇴적물 중금속의 분포와 오염의 역사 추정',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5권, 제4호, pp 285-294 

  3. 김상호, 신승호, 양상용, 이중우 (2003). '낙동강 하구 사주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6권, 제3호, pp 26-36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이와 같은 지형변화를 수치실험으로 모의한 연구결과로는 파랑수치모형을 이용한 퇴적지역의 수치예측(김상호 등,2003), 3차원 해수유동모형을 이용한 하천수의 영향범위 예측(이종섭과 윤은찬, 2003; 이종섭 등, 2003), 실제 지형변화에 미치는해빈류의 영향 평가(김재중 등, 199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김상호등(2003)은 실제 지형변화와 수치 실험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하구언의 건설과 같은 인위적인 요소 외에 해빈류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4.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제34권, 제3호, pp 268-278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지리학적 관점에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과 광물분석을 통한 사주군 퇴적물의 기원 분석(김원형과 이형호, 1980; 김석윤과 하정수, 2(侦), 퇴적물의 기원과 입도분석을통한 사주 지형의 형성변천사(반용부, 1986; 1995), 낙동강 하구언 건설후 연안사주 지형변화(Kg 2005) 등이 수행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하구역 지형들은 인위적인 연안역 개발 공사에 따른 낙동강의 수력학적 특성변화를 반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지형 변화는 낙동강 하구는 물론 인접한 진해만까지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주변해역의 퇴적환경에 상당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김석윤과 하정수, 2001).

  5. 김원형, 이형호 (1980).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 운반 및 퇴적에 대한 고찰', 지질학회지, 16권 pp 180-188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지리학적 관점에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과 광물분석을 통한 사주군 퇴적물의 기원 분석(김원형과 이형호, 1980; 김석윤과 하정수, 2(侦), 퇴적물의 기원과 입도분석을통한 사주 지형의 형성변천사(반용부, 1986; 1995), 낙동강 하구언 건설후 연안사주 지형변화(Kg 2005) 등이 수행된 바 있다.

  6. 김재중, 김기철, 이정만 (1995).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9권, 제1호, pp 120-131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이와 같은 지형변화를 수치실험으로 모의한 연구결과로는 파랑수치모형을 이용한 퇴적지역의 수치예측(김상호 등,2003), 3차원 해수유동모형을 이용한 하천수의 영향범위 예측(이종섭과 윤은찬, 2003; 이종섭 등, 2003), 실제 지형변화에 미치는해빈류의 영향 평가(김재중 등, 199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김재중 등(1995)은 낙동강 유역은 건기와 우기의 구별이 뚜렷해서 낙동강 하구로 유입되는 유사의 대부분이 우기에 집중되며, 낙동강 흐}구언 건설로 인해 진우도와 대마등 근처의 유속이 약해져서 우기시에 강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부유사가 다대포 연안지역 방향으로 수송되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7. 권혁재 (1973).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연구', 지리학, 제8호, pp 8-23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오늘날 지형학자 또는 지질학자들 간에 가장 보편화된 삼각주의 정의는 Barrell(1912)의 정의로서,삼각주(Delta)란 영구적인 수괴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육성층(Land deposit)과 해성층(Marine deposit)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수면상에 나타나 있는 퇴적지형,을 나타낸다(권혁재, 1973).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27리 분포되어 있는 등의 사실에서 알 수 있다(권혁재, 1973).

  8. 노재영 (2004). 낙동강 유출수의 Plume 거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류청로, 장선덕 (1979). '낙동강 하구의 조석과 유동', 한국해양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71-77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하구로부터의 염수쇄기(Saltwaterwedge)의 길이는 소조기시 약 22km, 대조기시 약 16km로 추정하였으며, 염분의 영향범위는 소조기시 약 35km, 대조기시 약45km로 추정하였다(류청로와 장선덕, 1979; 장선덕 등, 1981).

  10. 류춘길 (2003). 낙동강 하구 일원에 분포하는 홀로세 해성 점토질 퇴적층의 토목지질학적 특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30p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Fig.4(b)에서와 같이 Lee et al.(2005)은 류춘길(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지역은 심도 약 30m를 중심으로 약 204)m의 중간층에서 점토광물이 많고 석영 및 장석의 함량이 적은 특징을보이는데 이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퇴적환경변화와 일치하는것으로 해석하였다.

  11. 박상길, 최병섭 (1997). '대하천 하구의 해빈류와 하구지형변이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7권, 제II-1호, pp 77-88 

  12. 반용부 (1984), '낙동강 하구의 간석지', 지리학연구, 제9권, pp 537-559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반용부(1984)는 낙동강하구 삼각주는 제4기 미고결상태의충적충으로 자갈(Gmvel), 모래 (Sand), 실트(Silt), 점토(Clay)로구성되어 있으며 Fig. 3과 같이 현재 낙동강 하구의 해수면으로부터 약 60m 깊이에 기반암이 있으며, 기반암의 표면은 상류에서 하류로 경사져 있고 그 위에 Gavel—Giavel & Sand—Sand or Silty sand一Silty clay—H21ay sand로 퇴적상이 변화한다고 보고하였다.

    낙동강 삼각주 퇴적의 구성물질이 되는 토사의 유입량을 정확히 추정한 연구결과는 찾아보기 힘드나, 반용부(1984)는 낙동강에 의하여 하구일대에 운반•

  13. 반용부 (1986).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 퇴적물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지리학적 관점에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과 광물분석을 통한 사주군 퇴적물의 기원 분석(김원형과 이형호, 1980; 김석윤과 하정수, 2(侦), 퇴적물의 기원과 입도분석을통한 사주 지형의 형성변천사(반용부, 1986; 1995), 낙동강 하구언 건설후 연안사주 지형변화(Kg 2005) 등이 수행된 바 있다.

  14. 반용부 (1995).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의 변화', 부산여자대학교논문집, 제40권, pp 155-19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지리학적 관점에서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과 광물분석을 통한 사주군 퇴적물의 기원 분석(김원형과 이형호, 1980; 김석윤과 하정수, 2(侦), 퇴적물의 기원과 입도분석을통한 사주 지형의 형성변천사(반용부, 1986; 1995), 낙동강 하구언 건설후 연안사주 지형변화(Kg 2005) 등이 수행된 바 있다.

  15. 부산광역시 (2004). 낙동강 하구 생태계모니터링, pp 9-19, pp 41-50 

  16.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2004). 낙동강 하구 오염해역 및 소형선 통항로 확보 준설연구용역 보고서 

    인용구절

    인용 구절

    그 사례로 항로매몰로 인한 어선 통항로의 협소화 및 수심저하 둥으로 1999년이후 2004년까지 총 19회의 해난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주변해역의 수심 감소로 인해 하천 방류수의 외해 유출 지연 및 인근저지대의 상습적인 침수발생 우려 고조, 매년 반복적으로 내습하는 태풍 및 이상폭우시 해안지역의 침수피해가 더욱 우려된다(부산광역시 강서구청, 2004).

  17. 서종철, 박경 (2006), '지형을 고려한 해안습지 분류', 지리학 연구, 제40권, 제3호, pp 339-351 

    인용구절

    인용 구절

    광의의 하구역에 포함될 수 있다(서종철과 박경, 2006).

    즉, 하천의 하구부에서는 파랑과 연안류의 작용뿐만 아니라 조류의 작용도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퇴적물의 유입속도가 퇴적물을 제거하고 분산시키는 속도보다 커야한다(서종철과 박경, 2006).

  18. 유창일 (2006). 낙동강 하구역 사주의 생성과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낙동강 하구역은 일반적으로 주변 환경의 기후, 강우,하천유량, 유입토사 등에 의해 육역으로부터의 영향뿐만 아니교신저자 윤한삼: 해역의 파랑 및 조석작용, 하구의 지형적 특징, 하구내부수심조건, 주변연안의 개발여건 등에 따라서 하구역내 수괴의거동이 다양하고 복잡해진다(유창일 등, 2006).

    하구역 삼각주 발달 주요 영향 요소전술한 바와 같이 낙동강 하구역은 주변 환경의 기후, 강우,하천유량, 유입토사 등에 의해 육역으로부터의 영향뿐만 아니라, 해역의 파랑 및 조석작용, 하구의 지형적 특징, 하구내부수심조건, 주변연안의 개발여건 등에 따라서 하구역내 수괴의거동이 다양하고 복잡해진다(유창일 등, 2006).

  19.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2005). '낙동강 하구의 진우도 사주 생성 및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 추겨l학술대회, pp 153-158 

  20.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 (2006). '해도분석을 통한 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 . 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6호, pp 54-60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낙동강 하구역은 일반적으로 주변 환경의 기후, 강우,하천유량, 유입토사 등에 의해 육역으로부터의 영향뿐만 아니교신저자 윤한삼: 해역의 파랑 및 조석작용, 하구의 지형적 특징, 하구내부수심조건, 주변연안의 개발여건 등에 따라서 하구역내 수괴의거동이 다양하고 복잡해진다(유창일 등, 2006).

    각 사주군의 생성년도는제 1사주군은 1904〜1916년, 제 2사주군은 1955〜1970년, 제 3사주군은 1983년〜19%년에 생성되었으며, 사주간의 이격거리는 3개의 사주군이 약 1.2〜 1.6 km의 일정한 거리로 발달하고있으며, 사주군과 사주군 사이에 조간대가 형성되어 지금의 낙동강 하구역의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유창일, 2006).

  21. 윤한삼, 이인철, 류청로 (2005). '낙동강 하구역내 사주간의 단면유량플럭스 수치모의',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8권, 제4호, pp 186-192 

  22. 이기철, 윤해순, 김승환, 남춘희, 옥진아 (1999). 'GIS와 원격 탐사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 습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라정보학회지, 제2권, 제3호, pp 1-1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기철 둥(1999)은 지리정보 시스템 및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 습지의 우점식물종인 갈대군락의 생산성에 근거한 습지생산력 지도 및 습지식생의 변화를 사전에 예측한 결과, 낙동강 하구 습지는 우점식물종인 갈대, 세모고랭이 및 혼합군락등의 식생(Vegetation)이 있는 지역과 사빈과 간석지 등 식물이없는 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면적은 간석지(Tidal flat), 세모고랭이군락(Sdrpus trigueter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혼합군락(Mixedcommunity), 사빈(Samd beach) 순으로 제시하였다.

  23. 오건환 (2001). 낙동강 하구 갯벌: 지형,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 출판부, pp 505-51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우리나라 대표적인 하구역(Estuary)인 낙동강 하구역의 경우하중도(Interdistributary island, Upper delta), 하중도의 전면에형성된 모래톱 (Shoal) 이 발달하여 형성되는 사주 (Barrier islands, Lower delta), 위 두 지형을 연결하는 간석지(Tidalflat, Intertidal zone)로 이루어져 있다(오건환, 2001).

    오건환(2001)은 삼각주 말단의 미지형배열은 삼각주가 하구 부근에 운반된 토사가 연안류와 조류의영향으로 퇴적되어 수중사주f사주^하중도一전면一<1사주一합성一흐}중도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달되어 온 결과라고 주장하고 이는 일반적인 갯벌지형 형성이론과는 달리 하구의 수로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밝혔다.

  24. 이유대, 김창원 (1990). '낙동강 하구역 퇴적환경 연구: 퇴적작용 및 중금속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제25권, 제4호, pp 182-188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렇게유입된 토사는 이유대와 김창원(1990)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주 퇴적물의 거동특성이 삼각주 지역별로 차이를 나타내는데부유(Suspension), 도약(Saltation), 소류(Bed load) 상태로 운반되었으며, 조간대는 주로 부유와 도약으로, 수로의 퇴적물은 거의 소류와 약간의 부유 상태로 운반되며, 사주의 경우 강한 파(SMEn so ^830F谚.6 CM diagram of the barrier island group in the NakdongRiver Estuary (Ban, 1985)도의 영향을 받으며 그 후방에 위치한 조간대는 약한 조류의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25. 이원환 (1975). '한국하구특성의 지형학적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23권, 제4호, pp 111-119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러한 하구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2가지로 분류되는데, 흐름(하천류 및 조류)과 토사이동 측면에서의 관점이 그것이다(이원환, 1975).

  26. 이인철, 유창일, 윤한삼 (2007). '낙동강 부정형적 사주발달과 환경인자간의 상관성 비교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0권 제1호 pp 13-20 

  27. 이종섭, 김가야, 박일흠, 주귀홍 (1994). '낙동강 하구둑 건설후의 하구사주 변이과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71-174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이상의 결과는 이종섭 등(1994)이 낙동강 하구 사주 변천은과거에는 조석에 의한 조류 및 하천유량과 입사파랑의 작용이평형을 이루었으나 수문설치로 인하여 조석의 영향이 크게 감소하고 오히려 파랑의 작용이 탁월한 하구지형의 형태로 변천되었다고 평가한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28. 이종섭, 윤은찬 (2003). '낙동강 하천플륨의 3차원 혼합거동해석',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4B호, pp 347-358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이와 같은 지형변화를 수치실험으로 모의한 연구결과로는 파랑수치모형을 이용한 퇴적지역의 수치예측(김상호 등,2003), 3차원 해수유동모형을 이용한 하천수의 영향범위 예측(이종섭과 윤은찬, 2003; 이종섭 등, 2003), 실제 지형변화에 미치는해빈류의 영향 평가(김재중 등, 199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29. 이종섭, 윤은찬, 백승우, 이재철 (2003). '홍수가 낙동강 하천 플륨의 3차원 거동해석', 한국수산학회지, 제36권, 제5호, pp 549-561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이와 같은 지형변화를 수치실험으로 모의한 연구결과로는 파랑수치모형을 이용한 퇴적지역의 수치예측(김상호 등,2003), 3차원 해수유동모형을 이용한 하천수의 영향범위 예측(이종섭과 윤은찬, 2003; 이종섭 등, 2003), 실제 지형변화에 미치는해빈류의 영향 평가(김재중 등, 199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30. 장석덕, 류청로, 이문옥, 이재철 (1981). '낙동강 하구의 염수운동', 한국해양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31-37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하구로부터의 염수쇄기(Saltwaterwedge)의 길이는 소조기시 약 22km, 대조기시 약 16km로 추정하였으며, 염분의 영향범위는 소조기시 약 35km, 대조기시 약45km로 추정하였다(류청로와 장선덕, 1979; 장선덕 등, 1981).

  31. 장성태, 김기철 (2006).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제11권, 제1호, pp 11-20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장성태와 김기철(2006)은 하구언 건설전 • 후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건설전에비해 흐름이 响졌고 조류가 흐름을 주도하던 혼합 기작이 담수의 방류가 주도하는 체계로 변하였으며, 이러한 담수의 방류는 하천유량의 정도에 따라 낙동강 하구언 하류부 담수의 거동과 혼합특성을 변화시켰으며 해수 순환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하였다.

  32. 전병일 (2005). '낙동강 하구언 건설 전 . 후의 기상환경 변화 특성', 환경영향평가, 제14권, 제3호, pp 135-145 

    원문보기 상세보기 타임라인에서 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대기환경 변화전병일(2005)은 흐}구언 건설전 •

  33. 주귀홍 (2002). 낙동강 하천유출수의 3차원 거동 해석,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채장원 (2007). '선항만과 낙동강 하구역-부산항 신항만 개발에 따른 해양수리현상 변화', 부경대 FOID2007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pp 13-33 

    인용구절

    인용 구절

    Fig. 7 Coastline variation of the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over the last 30 years(채장원, 2007)

    아울러 낙동강 하구역 사주 해안선 30년간 장기변화에 대해최근 채장원(2007)은 Fig. 7과 같이 진우도 신자도 백합등, 도요등의 위치별 해안선 발달속도를 제시하였다.

  35. 하정수 (2000).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 퇴적물의 특성 및 퇴적환경,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하구언 건설 후 낙동강 하구지역의 사질 함량(Sandcontents)이 연안 사주지역을 벗어난 지역까지 증가하였는데,그 원인으로 니질 퇴적물 유입량 감소에 의한 사질토의 상대적인 증가, 담수 유출량의 현격한 감소로 수력학적 에너지 변화가 발생하여 이 지역의 조류 및 연안류에 의한 사질 퇴적물의이동 등의 요인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하정수, 2000).

  36. 한건모, 김기철, 김재중 (1993). '명지녹산 해역 매립 후의 해수유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7권, 제1호, pp 441-454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한건모 등(1993)은 조석 주기의 유속과 염분 관측에 의해 낙동강 담수 플륨(Plume)에 대한 조석과 바람의 영향을 논하였는데, 낙동강 담수 플륨은 간헐적인 방출에 의해 연속적으로 그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고 패치(Patch) 형태를 띤다고 하였다.

  37. 홍석진, 이대인, 김동명, 박청길 (2000), '낙동강 하구해역에서의 단순 박스모델에 의한 물질수지',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3권, 제3호, pp 50-57 

    원문보기 상세보기
    인용구절

    인용 구절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Box형 모형을 적용한 낙동강 하구역의 물질수지 예측(홍석진 등, 2000; Yoon etal., 2005), 2차원 해수유동 수치실험을 통한 부유토사의 거동예측(김재중 등, 1995), 3차원 해수유동 수치실험을 통한 하천유출수 거동예측(주귀홍, 2002; 이종섭과 윤은찬, 2003; 이종섭 등,2003; 노재영, 2004), 외해 파랑입사에 따른 해빈류의 수치실험(박상길과 최병섭, 1997) 등이 있으며, 이는 수괴의 구조를 분석하고 거동을 파악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퇴적토사의 거동을예측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38. Ban, Y.B. (1985).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of the Nakdong-River DeIta',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10, pp 713-747 (in Korean) 

    인용구절

    인용 구절

    Stratigraphic description of sediment deposits at three station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Delta (Ban, 1985)

    이렇게유입된 토사는 이유대와 김창원(1990)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주 퇴적물의 거동특성이 삼각주 지역별로 차이를 나타내는데부유(Suspension), 도약(Saltation), 소류(Bed load) 상태로 운반되었으며, 조간대는 주로 부유와 도약으로, 수로의 퇴적물은 거의 소류와 약간의 부유 상태로 운반되며, 사주의 경우 강한 파(SMEn so ^830F谚.6 CM diagram of the barrier island group in the NakdongRiver Estuary (Ban, 1985)도의 영향을 받으며 그 후방에 위치한 조간대는 약한 조류의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39. Barrell, J. (1912). 'Criteria for Recognition of Ancient Delta Deposits', Bull. Geol. Soc. Amer., Vol 23, pp 377-446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오늘날 지형학자 또는 지질학자들 간에 가장 보편화된 삼각주의 정의는 Barrell(1912)의 정의로서,삼각주(Delta)란 영구적인 수괴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육성층(Land deposit)과 해성층(Marine deposit)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수면상에 나타나 있는 퇴적지형,을 나타낸다(권혁재, 1973).

  40. Davis, T.J. (1994). The Ramsar Convention manual-A Guide to the Convention on Wetland of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Ramsar Convention Bureau 

  41. Eun, G.Y.N., Chung, C.H. and Kim, D.J. (1998). 'A Comparative Study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through Coring Analysis in Yeongsan and Nakdong Estuaries',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 Society, 7(6), pp 889-893 (in Korean) 

    인용구절

    인용 구절

    Eulsukdo region(Eun et al., 1998)

  42. Garvine, R.W. (1977). 'Observations of the Motion Field of the Connecticut River Plume', J. Geophys. Res., Vol 82, pp 441-454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아울러 Garvine(1977)에 의하면 하구역에서는 하천유출수로 인해 외해역까지 저염의 담수 플륨(Plume)이 형성되며 주변 수괴와 전선을 형성하여 확산되고, 조류에의해 변동되는 양상이 뚜렷하다고 밝혔다.

  43. Hayes, D.P., Olin, T.J. and Fischenich, J.C. (2000). Wetlands Engineering Handbook, US Army Corps of Engineers, ERDC/EL TR-02-21 

    인용구절

    인용 구절

    하구역에 미치는 조수의중요성을 고려하여, Hayes et al.(2000)는 Dav缶(1994)의 해안분류체제를 도입한 후 하구역을 대조차(Spring range), 중조차(Mean range), 소조차(Neap range) 하구역으로 분류한 바 있다.

  44. Kim, H.M. (1988). 'Assessment of Tectonic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Naktong Delta, Korea',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9, No 1, pp 45-69 (in Korean) 

    인용구절

    인용 구절

    Lee(1993)는낙동강 하구 수역의 모래 퇴적물은 주로 수로와 사주 배후면에, 실트 퇴적물은 외해에 우세하게 분포하며 퇴적물 운반과정(a) 1987 year (Kiirv 1988)Fig. 5 Geological map of the Nakdong River Delta showing the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s(b) 1992 year (Lee, 1993)

  45. Kim, S.H. (2005).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J.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0, No 4, pp 416-427 (in Korean)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해안공학적 관점에서 지형변화원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하구언 건설전의 경우에는 본류를 통해 유출된 토사가 해안에서 해수와 혼합되어 외해로 밀려 나갔으나, 하구언 건설 이후에 홍수시와 간조시의 유출수가 해수와 급격히 만나게 되어 해수의 혼합, 즉 완충작용 없이 외해로 밀려 나가게 되었고, 이는만조시 다시 파랑의 작용으로 인하여 하구 지역으로 토■사를 이동’ 퇴적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Kim, 2005).

    낙동강 삼각주를 대상으로 지형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Kim(2005)은 항공사진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1987년, 19%년,20이년의 해안선을 추출하고 연안사주의 면적 및 해안선의 변화, 기하학적 중심인 도심의 이동방향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에 따르면 Table 1과 같다.

  46. Lee, Y.D. (199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bmarine Geology in Pusan Bay: Sedimentation Proces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J.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14, No 1, pp 67-74 

    인용구절

    인용 구절

    Fig. 5는 Kim(1988)과 Lee(1993)의 낙동강 하구역의 표층퇴적물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시대적으로퇴적물의 공간분포가 변화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Lee(1993)는낙동강 하구 수역의 모래 퇴적물은 주로 수로와 사주 배후면에, 실트 퇴적물은 외해에 우세하게 분포하며 퇴적물 운반과정(a) 1987 year (Kiirv 1988)Fig. 5 Geological map of the Nakdong River Delta showing the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s(b) 1992 year (Lee, 1993)

    Lee(1993)는낙동강 하구 수역의 모래 퇴적물은 주로 수로와 사주 배후면에, 실트 퇴적물은 외해에 우세하게 분포하며 퇴적물 운반과정(a) 1987 year (Kiirv 1988)Fig. 5 Geological map of the Nakdong River Delta showing the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s(b) 1992 year (Lee, 1993)

  47. Lee, S.K, Hwang, J.Y., Kim J.S. and Um, J.G. (2005). 'Correlation Between Engineering Properties and Mineralogy of Clay Sediments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J. Miner. Soc. Korea, Vol 18, No 2, pp 93-107 (in Korean) 

    인용구절

    인용 구절

    또한 Fig.4(b)에서와 같이 Lee et al.(2005)은 류춘길(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지역은 심도 약 30m를 중심으로 약 204)m의 중간층에서 점토광물이 많고 석영 및 장석의 함량이 적은 특징을보이는데 이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퇴적환경변화와 일치하는것으로 해석하였다.

  48. Perillo, G.M.E. (1995). Geomorphology and Sedimentology of Estuaries, Elsevier, Amsterdam 

    인용구절

    인용 구절

    Estuary는 연안의 반폐쇄된 수역으로서,그 범위는 조수의 영향이 미치는 곳까지 이르며, 외해와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연결되고 있어 해수의 유입이 자유롭게일어나며, 육상에서 유출된 담수에 의해 해수가 희석되는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염분에 적응한 생물들이 일생의 일부또는 전부를 유지하는 장소를 일컫는다(Perillo, 1995).

  49. Reineck, H.E. and Singh, L.B. (1980).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lag, pp 549 

    인용구절

    인용 구절

    특흐], 시추심도 2.0m부터 2.5m 사이 구간에서 나타나는 식물파편이 다량 포함된 검은 니질층은 식생이 발달한 소택지나 늪지환경에서 형성을(Traveise, 1988), 시추심도 9.5〜 10.3m 사이의패각충은 해안선 근처에서 파도의 침식작용에 의한 형성(Reineck and Singh, 1980)을 특징적으로 나타내었다.

  50. Shepard, F.P. and Inman, D.L. (1950). 'Nearshore Circulation Related to Bottom Topography and Wave Refraction', Trans. Am. Geophys. Union, Vol 34, No 4, pp 555-565 

    인용구절

    인용 구절

    Shepard and Inman(1950)은 취송류,경사류,관성류(Inertia current), 조류를 해안류(Coastal current) 라 하였고, 파랑에 의한 흐름을 해빈류 계통 (NearshoreYurrentsystem)이라 하였다.

  51. Traverse, A. (1988). Paleopalynology, Unwin-Hyman, P.600 

    인용구절

    인용 구절

    특흐], 시추심도 2.0m부터 2.5m 사이 구간에서 나타나는 식물파편이 다량 포함된 검은 니질층은 식생이 발달한 소택지나 늪지환경에서 형성을(Traveise, 1988), 시추심도 9.5〜 10.3m 사이의패각충은 해안선 근처에서 파도의 침식작용에 의한 형성(Reineck and Singh, 1980)을 특징적으로 나타내었다.

  52. Yoon, H.S., Lee, I.C. and Ryu, C.R. (2005). 'Numerical Simulation for Net-water Flux of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8, No 4, pp 186-192 (in Korean) 

    인용구절

    인용 구절

    Noksan region(Lee et al., 2005)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Box형 모형을 적용한 낙동강 하구역의 물질수지 예측(홍석진 등, 2000; Yoon etal., 2005), 2차원 해수유동 수치실험을 통한 부유토사의 거동예측(김재중 등, 1995), 3차원 해수유동 수치실험을 통한 하천유출수 거동예측(주귀홍, 2002; 이종섭과 윤은찬, 2003; 이종섭 등,2003; 노재영, 2004), 외해 파랑입사에 따른 해빈류의 수치실험(박상길과 최병섭, 1997) 등이 있으며, 이는 수괴의 구조를 분석하고 거동을 파악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퇴적토사의 거동을예측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