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영역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s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Singapor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7, 2007년, pp.547 - 558  

이재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신광문 (서울대학교) ,  박종찬 (서울대학교) ,  김동훈 (서울대학교) ,  이성묵 (서울대학교) ,  김태일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실린 물리 영역의 탐구 활동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차기 과학과 교과서 탐구 활동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두 나라의 교과서 탐구 활동을 탐구 활동의 일반적인 특징과 참 과학 탐구(authentic scientific inquiry)의 반영 정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해 각각 Millar et al.(1998)의 탐구 활동 분석틀과 Chinn & Malhotra(2002)의 분석틀을 수정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 나라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탐구 활동의 목적 영역에서 한국은 내용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고, 싱가포르는 과정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다.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영역에서 싱가포르에는 한국에는 드문 '예상한 것 검증하기' 등의 사고 관련 활동이 있었으며, 탐구의 개방성 정도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높았다. 두 나라의 탐구 활동에서 참 과학 탐구를 반영하고 있는 정도에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국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연구 문제를 착안하는 활동이 전혀 없었으나 싱가포르에는 이러한 활동이 있었으며, 연구 설계 항목에서 한국의 탐구 활동에는 없는 변인 설정, 변인 통제 활동이 싱가포르에는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는 교과서 탐구 활동을 구성할 때 탐구 활동의 목적, 학생의 사고 관련 활동, 과제의 개방성 정도 등의 요소가 고르게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참 과학 탐구 요소를 적절히 반영할 필요가 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quiry activities in science textbooks' physics contents for Korean secondary schools with those of Singapore in order to provide a reference for further improvement of inquiry activitie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We analyzed inquiry activities using the 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과서 탐구 활동의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의 과학 교과서 탐구 활동 구성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싱가포르를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의 하나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싱가포르의 교육과정에서도 탐구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이다(Ministry of Education, 2001a, 2001b, 200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육부 (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3.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 및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4. 김주훈, 김영민, 이양락, 노석구 (1991). 교육 본질 추구를 위한 과학 교육 평가체제 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5. 김희경 (2003). 중학생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물리 탐구: 조건, 특징, 역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박순경, 조덕주, 채선희, 정윤경 (1999).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99-6-1 

  7. 박효순, 조희형 (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39-245 

  8.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2). 제7차 교육과정 7학년 과학 교과 생명 영역의 탐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50-559 

  9.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10. 이봉우 (2005).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탐구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73-884 

  11. 이승우 (2004). 중학교 2.3학년 교과서에 반영된 실제 과학 탐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한효순, 최병순, 강순민, 박종윤 (2002). '생각하는 과학' 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71-585 

  13. 홍미영 (2002).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및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의 국제 성취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36-344 

  14. 황성원, 박승재 (2001). 전기와 자기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제 유형에 따른 탐구 수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55-263 

  15.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16. Germann, P. J., Aram, R.. & Burke, G. (1996). Identify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17. Guthrie, J. T. (1981). Forms and functions of textbooks. Journal of Reading, March, 554-556 

  18. Heyworth, R. M. (2004a). Explore your world with science discovery1, Pearson Education South Asia Pte Ltd 

  19. Heyworth. R. M (2004b). Explore your world with science discovery2, Pearson Education South Asia Pte Ltd 

  20. Millar, R., Le Marechal, J-F. & Tiberghien, A. (1998). A map of the variety of labwork. Working Paper 1 from the European project: Labwork in Science Education 

  21. Ministry of Education (2001a). Curriculum planning & development division. Science Syllabus, Lower Secondary. Ministry of Education in Singapore 

  22. Ministry of Education (2001b). Curriculum planning & development division. Science Syllabus, Primary. Ministry of Education in Singapore 

  23. Ministry of Education (2006). Nurturing every child, flexibility & diversity in Singapore schools. Ministry of Education in Singapo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