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지 종류 및 저장 조건에 따른 impactor의 부유세균 시료 채취 효율 평가
Evaluation of Impactor's Collection Efficiency on Airborne Bacteria by Type of Agar Media and Storage Condition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3 no.2 = no.95, 2007년, pp.145 - 149  

김기연 (신시내티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장규엽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재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치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업보건연구소) ,  이경종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nge of reduction rates of airborne bacteria concentration at 6 hrs, 12 hrs, 24 hrs and 48 hrs, which means a storage time until input of agar media into incubator after air sampling with an impactor. were 15-20%, 25-40%, 35-50% and 55-70%, respectively, compared to initial concentration. Typ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力 또한 작업장의 실내 공간 내 분포하고 있는 부유 세균을 관성 충돌법으로 포집하는 경우, 실제 현장 시료 채취 후 분석실까지의 운반 시간 및 보관 조건이 포집된 부유 세균의 활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과 국내외적으로아직까지 부유 세균에 의한 실내공기 오염 측정에 이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세균 배지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과학적 평가가 시급히 요구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부유 세균 포집용 배지의 종류 및 저장 조건에 따른 관성충돌기의 부유 세균 시료 채취 효율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작업 현장에서 관성충돌법으로 부유 세균 측정시 적정 수준의 측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unir, A. K., Einarsson, R. and Dreborg, S. : Allergen avoidance in a daycare center. Allergy 51, 36-41, 1995 

  2. Jaffal, A. A., Nsanze, H., Bener, A., Ameen, A. S., Banat, I. M. and Mogheth, A. A. : Hosptial airborne microbial pollution in a desert country. Environment International, 23, 167-172, 1997 

  3. Manuel, E. S., Edwin, K. S., Lars, A. H., Scott, T. W. and Juan, C. C. : Material history, sensitization to allergens and current wheezing, rhinitis, and eczema among children in Costa Rica. Pediatric Pulmonology, 33, 237-243, 2002 

  4. 박재범, 김기연, 장규엽, 김치년, 이경종 : 다중이용시설 내부에 분포하는 부유 진균의 입경별 농도 특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 36-45. 2006 

  5. 환경부 :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률. 2004 

  6. 조현종, 홍경심, 김지훈, 김현욱 : 일부 종합병원 내 영역별 공기 중 미생물 평가.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0, 115-125, 2000 

  7. 김윤신, 이은규, 엽무종, 김기영 :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실내공기중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8, 85-92, 2002 

  8. 이창래, 김기연, 김치년, 박동욱, 노재훈 : 종합병원내 부유 미생물 농도 및 환경 요인과의 상관성 조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5, 45-51, 2005 

  9. 김기연, 장규엽, 박재범, 김치년, 이경종 : 규제대상 다중이용시설내 부유세균의 분포 특성에 관한 현장 조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6, 1-10, 2006 

  10. Thorne, P. S., Niekhaefer, M. S., Whitten, P. and Donham, K. J. : Comparison of bioaerosol sampling methods in barns housing swin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58, 2543-2551, 1992 

  11. Lembke, L. L., Kniseley, R. N., Van Nostrand, R. C. and Hale, M. D. : Precision of the all-glass impinger and the Andersen microbial impactor for air sampling in solid waste handling facilitie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42, 222-225, 1981 

  12. Andersen, A. A. : New sampler for the collection, sizing, and enumeration of viable airborne particles. Journal of Bacteriology 76, 471-484, 1958 

  13. Stewart, S. L., Grinshpun, S. A., Willeke, K., Terzieva, S., Ulevicius, V. and Donnelly, J. : Effect of impact stress on microbial recovery on an agar surfac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1, 1232-1239, 1995 

  14. Grinshpun, S. A., Chang, C. W., Nevalainen, A. and Willeke, K. : Inlet characteristics of bioaerosol samplers. Journal of Aerosol Science 25, 1503-1522, 1994 

  15. Grinshpun, S. A., Mainelis, G., Trunov, M., Gorny, R. L., Sivasubramami, S. K., Adhikari, A. and Reponen, T. : Collection of airborne spores by circular single-stage impactors with small jet-to-plate distance. Journal of Aerosol Science 36, 575-591, 2005 

  16. Yao, M. and Mainelis, G. : Effect of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on enumeration of bioaerosols by portable microbial impactors. Journal of Aerosol Science 37, 1467-1483,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