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ZnSe/CdSe/ZnSe 단일양자우물의 광발광 특성
Photoluminescence of ZnSe/CdSe/ZnSe Single Quantum Well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6 no.3, 2007년, pp.192 - 196  

박재규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  오병성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  유영문 (국가기록원 프로세스혁신팀) ,  윤만영 (중부대학교 정보통신학과) ,  김대중 (목원대학교 테크노과학연구소) ,  최용대 (목원대학교 광전자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t wall epitaxy 방법으로 우물층의 두께를 바꾸어가며 ZnSe/CdSe/ZnSe 단일 양자우물을 성장하였다. 양자우물층의 두께는 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광발광의 세기와 반치폭의 변화로부터 양자우물층의 임계두께는 약 $9{\AA}$임을 알 수 있었다. 우물층의 두께가 임계두께 보다 작을 때 광발광과 PLE 스펙트럼의 비교로부터 stoke's shift를 확인하였고, 이는 엑시톤 결합 에너지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우물층의 두께에 대한 광발광 피크의 에너지 이동은 이론치와 잘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nSe/CdSe/ZnSe single quantum wells with different well thickness were grown by hot wall epitaxy. The quantum well thicknesses were measured by TEM. The critical thickness of single quantum well layer was found to be about $9{\AA}$ from the intensities and the full-width at half maximum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ZnSe를 장벽층 물질로, CdSe를 우물층 물질로 하는 type-I 인 CdSe/ZnSe 양자우물 구조를 성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GaAs(100) 기판 위에 Cd Se 층의 두께를 바꾸어가며 ZnSe/CdSe/ZnSe 단일양자우물(single quantum well, SQW) 구조를 성장하였다. 우물층의 두께는 tunneling electron microscopy(TEM)를 즉정하여 결정하였고, 광발광 특성 및 photoluminescence excitation (PLE)를 측정하였다.
  • 광발광 측정을 위하여 여기광으로 He-Cd 레이저(325 nm)를 사용하였고, PLE 측정을 위해서는 Xenon Lamp(lOOOW)를 사용하였다. 냉각 장치로는 헬륨 기체 순환 폐쇄 저온 장치를 사용하였고, 광발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초점거리 0.85 m인 이중 분광기(double monochromator)와 PMT(photo-multiplier tube)를 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dSe/ZnSe 단일 양자우물을 우물 층의 두께를 바꾸어 가며 성장하였고, tunneling electron mi- croscopy(TEM)으로 구조적 특성과 광발광, photolu­ minescence excitation(PLE) 등을 즉정하여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GaAs(100) 기판 위에 Cd Se 층의 두께를 바꾸어가며 ZnSe/CdSe/ZnSe 단일양자우물(single quantum well, SQW) 구조를 성장하였다. 우물층의 두께는 tunneling electron microscopy(TEM)를 즉정하여 결정하였고, 광발광 특성 및 photoluminescence excitation (PLE)를 측정하였다. 광발광 측정을 위하여 여기광으로 He-Cd 레이저(325 nm)를 사용하였고, PLE 측정을 위해서는 Xenon Lamp(lOOOW)를 사용하였다.
  • 단일 양자 우물을 성장하였다. 우물층의 성장률은 TEM을 측정하여 0.8 A/s로 결정하였다. 우물 층에 의한 피크의 위치는 우물층의 두께가 얇을수록 높은 에너지로 이동(청색천이)하였다.

대상 데이터

  • 우물층의 두께는 tunneling electron microscopy(TEM)를 즉정하여 결정하였고, 광발광 특성 및 photoluminescence excitation (PLE)를 측정하였다. 광발광 측정을 위하여 여기광으로 He-Cd 레이저(325 nm)를 사용하였고, PLE 측정을 위해서는 Xenon Lamp(lOOOW)를 사용하였다. 냉각 장치로는 헬륨 기체 순환 폐쇄 저온 장치를 사용하였고, 광발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초점거리 0.

이론/모형

  • Hot wall epitaxy 방법으로 우물층의 두께가 다른 CdSe/ZnSe 단일 양자 우물을 성장하였다. 우물층의 성장률은 TEM을 측정하여 0.
  • 네모난 양자우물을 가정하고, 유효 질량 근사법(effective mass approximation)을 이용하여 전자와 양공간의 에너지를 계산하였으며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Venkatachalam, D. Mangalaraj, and S. K. Narayandass, Physica B: Condensed Matter 393, 47 (2007) 

  2. N. T. Pelekanos, J. Ding, M. Hagerott, and A. V. Nurmikko, Phys. Rev. B 45, 6037 (1992) 

  3. N. T. Pelekanos, H. Haas, N. Magnea, H. Mariette, and A. Wasiela, Appl. Phys. Lett. 61, 3154 (1992) 

  4. V. Pellegrini, R. Atanasov, A. Tredicucci, and F. Beltram, Phys. Rev. B 51, 5171 (1995) 

  5. L. M. Hernandez-Ramirez and I. Hernandez- Calderon, Phys. stat. sol. (b) 220, 205 (2000) 

  6. R. Cingolani, P. Prete, D. Greco, P. V. Giugno, M. Lomascolo, and L. Calcagnile, Phys. Rev B, 5176 (1995) 

  7. W. Shan, S. J. Hwang, and Z. W. Zhu, J. Appl. Phys. 74, 5699 (1993) 

  8. P. Diaz-Arendibia, I. Hernandez-Calderon, and M. C. Tanargo, Microelectronics Journal 31, 443 (2000) 

  9. J. Ding, H. Jeon, A. V. Nurmikko, H. Luo, and J. K. Furdyna, Appl. Phys. Lett. 57, 2756 (1990) 

  10. M. A. Haase, J. Qiu, J. M. Depuydt, and H. Cheng, Appl. Phys. Lett. 59, 1272 (1991) 

  11. H. Jeon, J. Ding, W. Patterson, W. Xie, and R. L. Gunshor, Appl. Phys. Lett. 59, 3619 (1991) 

  12. J. Y. Jen, T. Tsutsumi, I. Souma, Y. Oka, and H. Fujiyasu, Jpn. J. Appl. Phys. 32, L1542 (1993) 

  13. H. J. Lozykowski and V. K. Shastri, J. Appl. Phys. 69, 3235 (1991) 

  14. H. Zajicek, P. Juza, E. Abramof, O. Pankratov, and H. Sitter, Appl. Phys. Lett. 62, 717 (1993) 

  15. O. Madelung, M. Schulz, and H. Weiss, Numerical Data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in science and Technology, Vol 17(Springer-Verlag Berlin?Heidelberg?New York, 1982), p207 

  16. M. C. Netti, M. Lepore, A. Adinolfi, R. Tommasi, and I. M. Catalano, J. Appl. Phys. 80, 2908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