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해에 의하여 생기는 시멘타이트설, 석출 시멘타이트와 기계적으로 불안정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와의 조합설, 오스테나이트 입계로의 불순물 원소 편석과 석출 시멘타이트와의 조합 설 등이 점차적으로 제안되기에 이르렀다. 본 기술 자료에서는 저온 템퍼링 취성에 관련하여 발표된 주요 문헌에 따라 이의 취성 현상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였다.
  • 4340 강은 300 M 강에 비하여 Si 량이 낮기 때문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해와 취화 발생은 저온에서 템퍼링 할 때 일어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저온 템퍼링시의 발생 기구를 제안하였다. 즉, 퀜칭 할 때 래스 경계에 잔류한 오스테나이트의 대부분은 400℃ 근방의 템퍼링에 의해 열분해 되어 시멘타이트로 석출한다.

가설 설정

  • 1. 템퍼링 과정에서 마르텐사이트 래스 경계와 구오스테나이트 입계에 시멘타이트가 석출하는 것이 취성 발생의 근본 원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화가 매우 심한 300°C 템퍼링에서의 파단면은 어떤 형태인가? 그리고 350°C 근방의 템퍼링에서는 이러한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분해하여 래스 경계에 시멘타이트로 석출하고, 이것이 취성 발생의 원인이라고 하였다. 취화가 매우 심한 300°C 템퍼링에서의 파단면은 의벽개 (Quasicleavage) 형태이다. 또 이러한 취화 구역에서는 래스와 파켓(Packet)의 경계에 탄화물이 형성되기 때문에 파괴는 이의 경계에 따라 진행된다.
350°C 취성, 500°F 취성의 원인으로 제기된 설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취화 현상을 저온 템퍼링 취성(Tempered Martensite Embrittlement: TME), 또는 350°C 취성, 500°F 취성 등으로 부르고 있다. 저온 템퍼링 취성의 원인으로서는 1946년 Grossman[1]에 의하여 연구가 시작되어 구오스테나이트(Prior austenite) 입계로의 시멘타이트(Cementite) 석출 설이 제기되었고, 그 후 1950년대 까지 이 이론이 지지 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에 이르러 전자 현미경의 암시야 상에 의한 미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Retained austenite) 및 탄화물의 동정, Auger 분광법에 의한 입계 면의 불순물 원소의 정량,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파면 관찰 등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을 구사한 새로운 정보가 얻어지게 되었다.
퀜칭한 강을 템퍼링 할 경우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퀜칭(Quenching)한 강을 템퍼링(Tempering) 할 경우, 250~400°C의 온도 범위에서 충격치가 낮아지는 현상이 알려져 있으며, 또 파괴인성치도 이러한 템퍼링 온도 구역에서 저하하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취화 현상을 저온 템퍼링 취성(Tempered Martensite Embrittlement: TME), 또는 350°C 취성, 500°F 취성 등으로 부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A. Grossman, : Trans. AIME, 167 (1946) 39 

  2. B.S. Lement, B.L. Averbach, and M. Cohen : Trans. ASM, 46 (1954) 851 

  3. L.J. Klingler, WJ. Barnett, R.E Frohmberg, and A.R. Troiano : Trans. ASM, 46 (1954) 1557 

  4. C.J. Altstetter, M. Cohen, and B.L. Averbach : Trans. ASM, 55 (1962) 287 

  5. G. Thomas : Met. Trans., 9A (1978) 439 

  6. H.K.D.H. Bhadenshia and D.Y Edmonds : Met. Sci., 13 (1979) 325 

  7. J.P. Materkowski and G. Krauss : Met. Trans., 10A (1979) 1643 

  8. M. Sarikaya, A.K. Shingan, and G. Thomas : Met. Trans., 14A (1983) 1121 

  9. H. Kwon and C.H. Kim : Met. Trans., 14A (1983) 1389 

  10. R.M. Horn and R.O. Ritchie : Met. Trans., 9A (1978) 1039 

  11. C.L. Briant and S.K. Banerji : Met. Trans., 10A (1979) 123 

  12. C.L. Briant and S.K. Banerji : Met. Trans., 10A (1979) 1729 

  13. N. Bandyopadhyay and C.J. McMahon Jr. : Met. Trans., 14A (1983) 1313 

  14. C.L. Briant and S.K. Banerji : Met. Trans., 10A (1979) 1151 

  15. C.L. Briant and S.K. Banerji : Met. Trans., 12A (1981) 3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