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 연안의 초가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
Short-term Variations in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nd Heterotrophic Protozoa during the Early Fall Phytoplankton Blooms in the Coastal Water off Incheon,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29 no.2, 2007년, pp.101 - 112  

양은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최중기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1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인천연안 수역에서 발생된 초가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엽록소-$\alpha$ 농도의 분포는 $1.8-19.3\;{\mu}g\;l^{-1}$로 분포 하였으며, 첫 번째 대증식기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소형 엽록소-${\alpha}({\gt}20\;{\mu}m)$는 대증식기 동안에 엽록소-$\alpha$ 농도의 80% 이상을 차지하였고, 미소형 엽록소-${\alpha}(3-20\;{\mu}m)$ 대증식기 전과 대증식기 후에 전체의 42%를 차지하였으며, 대증식기 사이에는 극미소 엽록소-${\alpha}({\lt}3\;{\mu}m)$에 의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대증식기 사이에는 독립영양 극미소플랑크톤에 의해 우점 하였으며, 대증식기 전과 대증식기 후에는 독립영양 미소편모류에 의해 우점 하였고, 두 번의 대증식기에는 규조류에 의해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특히 대증식기에 관찰된 규조류의 개체수는 Chaetoceros pseudocrinitus와 Eucampia zodiacus에 의해 50% 이상 우점하였다. 종속영양 원생동물의 탄소량은 $8.2-117.8\;{\mu}gC\;l^{-1}$로 분포하였으며,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이 가장 높았던 직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종속영양 원생동물의 상대적인 기여도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군집구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빈섬모충류와 종속영양 와편모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대증식기에 우점 하였으며, 종속영양 원생동물 생물량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Protoperidinium spp.에 의해 우점하는 종속영양 유각와편모류는 첫 번째 대증식기에 가장 우점하였으며, Gyrodinium spp.로 구성된 종속영양 무각와편모류는 두 번째 대증식기에 가장 우점 하였다. 그외 Noctiluca scintilla는 첫 번째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 소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기 동안에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군집구 조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두 군집 사이에 잠재적인 피식-포식자의 관계가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조사기간 동안 종속영양 원생동물은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의 소멸과 관련된 중요한 섭식자로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amine the short-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and heterotrophic protozoa community structures with bloom events,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other day at one site in the coastal water off Incheon, Korea, from August 15-September 30, 2001. $Chlorophyll-{\alpha}$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01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인천연안 수역에서 발생된초가을 식 물플랑크톤 대증식 기 에 식 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엽록소-a 농도의 분포는 1.
  • 되게 고정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2시간 이내에 8-30 m/의 시료를 0.45 /zm nuclepore polycarbonate black filter로 여과하여 DAPI(Porter and Feig 1980)와 Primulin (Caron 1983)으로 염색한 후 형광 현미경(Nikon type 104)을 사용하여 독립영양 플랑크톤과 종속영양 플랑크톤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uv filter 아래에서 미소 편모류를 인식 하였으며 , 독립 영 양 미소편모류와 종속영 양 미소 편모류의 구분은 B filter 또는 G filter 하에서 붉은 빛을 발하는 엽록소(autofluorescence)의 유무로 결정하였다.
  • 45 /zm nuclepore polycarbonate black filter로 여과하여 DAPI(Porter and Feig 1980)와 Primulin (Caron 1983)으로 염색한 후 형광 현미경(Nikon type 104)을 사용하여 독립영양 플랑크톤과 종속영양 플랑크톤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uv filter 아래에서 미소 편모류를 인식 하였으며 , 독립 영 양 미소편모류와 종속영 양 미소 편모류의 구분은 B filter 또는 G filter 하에서 붉은 빛을 발하는 엽록소(autofluorescence)의 유무로 결정하였다. 미소 편모류의 탄소량은 체적을 구한 후 Bersheim and Bratbak(1987)의 전환값인 220 fgC ㎛-3을 이용하여 구하였디'
  • 극미소 및 미소플랑크톤의 생물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층 해수를 채수하여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최종농도 1%가 되게 고정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2시간 이내에 8-30 m/의 시료를 0.
  •  종속영양 원생동물 근집은 부4섬모충류, 종속영양 와편모류 및 종속영 양 미소편모류로 구분하였다. 부유심모중류는 피각이 없는 빈심모중류 (aloricate ciliates) 와 피각을 갖고 있는 유종심모충류(loricate ciliates)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종속영양 와편모류는 Protoperidinium 속과 같이 피각을 갖고 있는 종속영양 유각와편모류 (thecate dinoflagellate)와 Gyrodinium 속과 Gymnodinium 속과 같은 피각을 갖고 있지 않은 종속영양 무 각 와편모류(athecate dinoflagellate)로 구분하였디, .
  • 수온 및 염분은 Salmometer(YSI 3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질산염과 인산염 분석을 위하여 현장에서 채수한 해수를 10% 염산과 증류수로 세척된 60 m; 병에 담아 드라이 아이스에서 보관하여 실험실로 옮긴 후 영양염 자동 분석기 (NNA; Nutrients Auto Analyzer, Alliance, Evolution II)와 분광흡광기 (Milton Roy diode arrary, Spectronic 3000 arr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arsons et al. 1984).
  •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 독립영양 와편모류, 독립영양 미소편모류 및 독립영양 극미소 플랑크 돈(남세균과극미소 진핵편모류를 대상으로 계수하였음)으로 구분하여분석하였다. 종속영양 원생동물 근집은 부4섬모충류, 종속영양 와편모류 및 종속영 양 미소편모류로 구분하였다.
  • 관찰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규조류와 독립 영 양 와편모류로 나누어서 계수하였으며, 종속영양 원생동물은 섬모충류와 종속영 양 와편모류로 나누어 계수하였다. 원생동물의 탄소량을 구하기 위하여 현미경하에서 각 세포 크기를 측정한 후 세포 용적을 Edler(1979)의 방법에 따라구하였디.
  • 38腕 ㎍ l-1변화를 보였디' 본 조사는 인천 항만 부두에서 2001년 8월 15일부터 2001년 9월 30일까지 이틀 간격으로 만조시에표층 해수를 채수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시기는 엽록소2 농도와 크기별 엽 록소2 농도의 우점 률에 근거 하여 대 증식기 전 (Pre-bloom period), 첫 번째 대증식기 (First-bloom period), 대증식기 사이 (Inter-bloom period), 두 번째 대 증식기 (Second-bloom period), 대증식기 후 (Post-bloom period)로 구분하였다(Table 1).
  • 총 엽록소-a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층 해수를 채수하여 0.3-0.5/를 GF/F 여과지로 여과하였고, 크기별 엽록소-a 농도를 즉정호}기 위하여 0.5 Z의 해수를 각각 20/an 망과 PC membrane 여과지(<3 ㎛)에 걸러준 후 다시 GF/ F 여과지에 여과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실험실에서 UV- SpectrophotometerS 사용하여 엽록소-a 농도를 측정하였다(Parson et al.
  • 표층 해수 1000 m/을 채수하여 루골용액으로 최종농도 5% 되게 고정하였디' 고정된 시료는 실험실로 운반해 그증 1000 m/는 50㎖까지 가라앉게 한 후 SedgewickRafter chamber와 Uteromlil chamber를 사용하여 광학 현미경 (Nikon Type 104)과 전도 현미경 (Olympus IX 70)으로 관찰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규조류와 독립 영 양 와편모류로 나누어서 계수하였으며, 종속영양 원생동물은 섬모충류와 종속영 양 와편모류로 나누어 계수하였다.

대상 데이터

  • 5psu의 차이를 보여한강수의 영향을 직접반는 세어도 수역에 비해 담수의 영향을 적게 반는 수역으로 나타났디(양 2001). 또한 엽록소 -a 농도의 24시간 연속 관측 결과 3.02-4.38腕 ㎍ l-1변화를 보였디' 본 조사는 인천 항만 부두에서 2001년 8월 15일부터 2001년 9월 30일까지 이틀 간격으로 만조시에표층 해수를 채수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시기는 엽록소2 농도와 크기별 엽 록소2 농도의 우점 률에 근거 하여 대 증식기 전 (Pre-bloom period), 첫 번째 대증식기 (First-bloom period), 대증식기 사이 (Inter-bloom period), 두 번째 대 증식기 (Second-bloom period), 대증식기 후 (Post-bloom period)로 구분하였다(Table 1).
  • 조사정 점은 경 기만의 내만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심은 약 7-13 m로 수직 혼합이 활발한 수역이다(Fig. 1). 본 조사정점에서 1993년 10월에 1시간 간격으로 실시한 24시간의 연속관측 결과에 의하면 수온은 하루 동안에 약 1℃의 차이를 보였고, 염분은 약 2.

이론/모형

  • 5 Z의 해수를 각각 20/an 망과 PC membrane 여과지(<3 ㎛)에 걸러준 후 다시 GF/ F 여과지에 여과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실험실에서 UV- SpectrophotometerS 사용하여 엽록소-a 농도를 측정하였다(Parson et al. 1984).
  • 19 pgCzan-3 (Putt and Stoecker 1989)의 전환값을 사용하여 환산하였다. 와편모류의 탄소량은 Edler(1979)의 방법에 따라 용적을 구한 후 Menden-Deuer and Lessard(2000)의 실험 식인 Carbon(pg)= 0.216[volume. m3]0-939-g- 이용하여 각 세포의 탄소량을 구하였다.
  • 식물플랑크톤은 규조류와 독립 영 양 와편모류로 나누어서 계수하였으며, 종속영양 원생동물은 섬모충류와 종속영 양 와편모류로 나누어 계수하였다. 원생동물의 탄소량을 구하기 위하여 현미경하에서 각 세포 크기를 측정한 후 세포 용적을 Edler(1979)의 방법에 따라구하였디..
  • . 유종심모충류는 carbon(pg)=44.5+0.053 lorica volum(/zm3)(Verity and Langdon 1984)의 식에 따라 구하였으며, 피각이 없는 빈심모충류는 0.19 pgCzan-3 (Putt and Stoecker 1989)의 전환값을 사용하여 환산하였다. 와편모류의 탄소량은 Edler(1979)의 방법에 따라 용적을 구한 후 Menden-Deuer and Lessard(2000)의 실험 식인 Carbon(pg)=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송태윤. 1998. 경기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색소의 월간 변동. 이학석사 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06 p 

  2. 양은진. 2001. 인천연안 미소형 및 소형 동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이학박사 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86 p 

  3. 양은진, 최중기. 2003.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 II. 미소형 및 소형 동물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78-93 

  4.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243-250 

  5. 이원호, 명금옥, 유영두, 김경길, 정해진. 2005. 금강하구언 담수방류와 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주기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0, 154-163 

  6. 인하대학교 서해연안환경연구센터. 2002. 서해연안환경연구 센터 연구 보고서. 426 p 

  7. Archer, S.D., P.G. Verity, and J. Stefels. 2000. Impact of microzooplankton on the progression and fate of the spring bloom in fjords of northern Norway. Aquat. Microb. Ecol., 22, 27-41 

  8. Banse, K. 1992. Grazing, tempor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ncentrations, and the microbial loop in the open sea. p. 409-440. In: Primary Productivity and Biogeochemical Cycles in the Sea. eds. by P.G. Falkowski and A.D. Woodhead. Plenum, New York 

  9. Bernard, C. and F. Rassoulzadegan. 1994. Seasonal variations of mixotrophic ciliates in the northwest Mediterranean Sea. Mar. Ecol. Prog. Ser., 108, 295-301 

  10. Borsheim, K.Y. and G. Bratbak. 1987. Cell volume to cell carbon conversion factors for a bacterivorus Monas sp. enriched from sea waters. Mar. Ecol. Prog. Ser., 36, 171-175 

  11. Caron, D.A. 1983. Technique for enumeration of heterotrophic and phototrophic nanoplankton, use epifluorescence microscopy an comparison with other procedures. Appl. Environ. Microbiol., 4, 491-498 

  12. Choi, J.K. and J.H. Shim. 1986a.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J. Kor. Soc. Oceanogr., 23, 1-12 

  13. Choi, J.K. and J.H. Shim. 1986b.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J. Kor. Soc. Oceanogr., 23, 1-12 

  14. Claereboudt, M., J. Cote, J. Bonardelli, and J.H. Himmelman. 1994.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ize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Baie des Chaleurs, southwestern gulf of St. Lawrence, in relation to physical oceanographic conditions. Hydrobiologia, 306, 147-157 

  15. Durban, E.G., R.W. Krawiec, and T.J. Smayda. 1975. Seasonal studies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size fractions of phytoplankton in Narragansett Bay (USA). Mar. Biol., 32, 271-287 

  16. Edler, L. 1979. Phytoplankton and chlorophyll recommendations for biological studies in the Baltic Sea. Baltic Marine Biologists, p. 13-25 

  17. Frost, B.W. 1993. A modelling study of processes regulating plankton standing stock and production in the open subarctic Pacific Ocean. Prog. Oceanogr., 32, 17-56 

  18. Hansen, P.J. 1991. Quantitative importance and trophic role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in a coastal pelagic food web. Mar. Ecol. Prog. Ser., 73, 253-261 

  19. Heinbokel, J.F. 1978. Studies on the functional role of tintinnids in the Southern California Bight. II. Grazing rates of field populations. Mar. Biol., 47, 191-197 

  20. Irigoien, X., R. Head, U. Klenke, B. Meyer-Harms, D. Harbour, B. Niehoff, H.J. Hirche, and R. Harris. 1998. A high frequency time series at Weathership M, Norwegian Sea, during the 1997 spring bloom; feeding of adult female Calanus finmarchicus. Mar. Ecol. Prog. Ser., 172, 127-137 

  21. Jacobson, D.M. 1987. The ecology and feeding biology of thecat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h.D. Thesis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Joint Program, Woods Hole. 210 p 

  22. Jeong, H.J. 1999. The ecological roles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in marine planktonic community. J. Eukaryot. Microbiol., 46, 390-396 

  23. Jeong, H.J. and M.I. Latz. 1994. Growth and grazing rate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rotoperidinium spp. on red tide dinoflagellates. Mar. Ecol. Prog. Ser., 106, 173-185 

  24. Kiorboe, T. 1993. Turbulence, phytoplankton cell-size, and the structure of pelagic food webs. Adv. Mar. Biol., 29, 1-72 

  25. Lee, W.J. and J.K. Choi. 2000. The roles of heterotrophic protists in the planktonic community of Kyeonggi Bay, Korea. J. Kor. Soc. Oceanogr., 35, 46-55 

  26. Lee, W.J., K, Shin, P.G. Jang, M-C. Jang, and N.J. Park. 2005. Summer pattern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at a station in Jangmok Bay. Ocean Sci. J., 40, 109-118 

  27. Legendre, L. 1990. The significance of microbial algal blooms for fisheries and for the export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the oceans. J. Plankton Res., 12, 681-699 

  28. Levinsen, H., T.G. Nielsen, and B.W. Hansen. 1999.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arbon cycling on the western coast of Greenland during the stratified summer situation. II.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and ciliates. Aquat. Microb. Ecol., 16, 217-232 

  29. Mackas, D.L., K.L. Denman, and M.R. Abbott. 1985. Plankton patchiness: Biology in the physical vernacular. Bull. Mar. Sci., 37, 652-674 

  30. McManus, G.B. and M.C. Ederington-Cantrell. 1992. Phytoplankton pigments and growth rates, and microzooplankton grazing in a large temperate estuary. Mar. Ecol. Prog. Ser., 87, 77-85 

  31. Menden-Deuer, S. and E.J. Lessard. 2000. Carbon to volume relationships for dinoflagellates, diatoms and other protist plankton. Limnol. Oceangr., 45, 569-579 

  32. Miyaguchi, H., T. Fujiki, T. Kikuchi, V.S. Kuwahara, and T. Toda. 2006.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m of Noctiluca scintilla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waters of Sagami Bay, Japan. J. Plankton Res., 28, 313-324 

  33. Nielsen, T.G. and T. Kiørboe. 1994. Regulation of zo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on in a temperate, coastal ecosystem. 2. ciliates. Limnol. Oceanogr., 39, 508-519 

  34. Parson,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 p 

  35. Porter, K.G. and Y.S. Feig. 1980. The use of DAPI for identifying and counting aquatic microflora. Limnol. Oceanogr., 25, 943-948 

  36. Putt, M. and D.K. Stoecker. 1989. An experimentally determined carbon: volume ratio for marineoligotrichousciliates from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Limnol. Oceanogr., 34, 1097-1103 

  37. Rassoulzadegan, F. and M. Etienne. 1981. Grazing rate of the tintinnid Stenosoella ventricosa (Clap. & Lachm.) Jorg. on the spectrum of the naturally occurring particulate matter from a Mediterranean neritic area. Limnol. Oceanogr., 26, 258-270 

  38. Schluter, L. 1998. The influence of nutrient addition on growth rates of phytoplankton groups, and microzooplankton grazing rates in a mesocosm experiment. J. Exp. Mar. Bio. Ecol., 228, 53-71 

  39. Sime-Ngando, T., M. Gosselin, S. Roy, and J.P. Chanut. 1995. Significance of planktonic ciliated protozoa in the lower St. Lawrence Estuary: Comparison with bacterial, phytoplankton,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Aquat. Microb. Ecol., 9, 243-258 

  40. Smetacek, V. 1981. The annual cycle of protozooplankton in the Kiel Bight. Mar. Biol., 63, 1-11 

  41. Smith, S.L. and P.V.Z. Lane. 1988. Grazing of the spring diatom bloom in the New York Bight by the calanoid copepods Calanus finmarchicus, Metridia lucens and Centropages typicus. Cont. Shelf. Res., 8, 485-509 

  42. Stelfox-Widdicombe, C.E., S.D. Archer, P.H. Burkill, and J. Stefels. 2004. Microzooplankton grazing in Phaeocystis and diatom-dominated waters in the southern North Sea in spring. J. Sea. Res., 51, 37-51 

  43. Strom, S.L. and M.W. Strom. 1996. Microplankton growth, grazing,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northern Gulf of Mexico. Mar. Ecol. Prog. Ser., 130, 229-240 

  44. Strom, S.L., M.A. Brainard, J.L. Holmes, and M.B. Olson. 2001. Phytoplankton blooms are strongly impacted by microzooplankton grazing in coastal North Pacific waters. Mar. Biol., 138, 355-368 

  45. Suzuki, K., A. Tsuda, H. Kiyosawa, S. Takeda, J. Nishioka, T. Saino, M. Takahashi, and C.S. Wong. 2002. Grazing impact of microzooplankton on a diatom bloom in a mesocosm as estimated by pigment-specific dilution technique. J. Exp. Mar. Bio. Ecol., 271, 99-120 

  46. Tamigneaux, E., M. Mingelbier, B. Klein, and L. Legendre. 1997. Grazing by protists and seasonal changes in the size structure of proto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in a temperate nearshore environment(western Gulf of St. Lawrence, Canada). Mar. Ecol. Prog. Ser., 146, 231-247 

  47. Tiselius, P. and M. Kuylenstierna. 1996. Growth and decline of a diatom spring bloom: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formation of marine snow and the role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J. Plankton Res., 18, 133-155 

  48. Verity, P.G. and C. Langdon. 1984. Relationships between lorica volume, carbon, nitrogen and ATP content of tintinnids in Narragansett Bay. J. Plankton Res., 6, 859-868 

  49. Wassmann, P. 1998. Retention versus export food chains; processes controlling sinking loss from marine pelagic systems. Hydrobiologia, 363, 29-57 

  50. Yoo, J.K., S.H. Youn, and J.K. Choi. 2006. Temporal fluctu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ctiluca scintillans (Dinophyceae) in the coastal waters of Incheon, Korea. Kor. J. Environ. Biol., 24, 372-379 

  51. Youn, S.H. and J.K. Choi. 2003. Seasonal changes in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f Incheon. J. Kor. Soc. Oceanogr., 38, 111-1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