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dying properties of the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Neolitsea sericea Koidz on Hanji, the dye materials were prepared from the extraction methods using $1{\ell}$ of hot water and alkaline solution with 40 g of leaves, bark, and wood each. K/S values and H (V/C) 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적으로 분석.검증하고 품질이 우수한 전통한지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규명함으로써 천연염색의 원천기술 확립 및 용도개발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미 이용 임산염료 수종을 이용한 천연염료 소재의 개발 및 다변화를 목적으로, 참식나무잎, 수피, 목부를 이용하여 천연염료 추출 및 염색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검증하고 품질이 우수한 전통한지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규명함으로써 천연염색의 원천기술 확립 및 용도개발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강인숙, 송화순, 유효선, 이정숙, 정혜원. 염색의 이해, pp.1-32, 교문사, 서울 (2005) 

  2. 남성우. 천연염색의 이론과 실제(1), pp.1-15, 보성문화사, 서울 (2000) 

  3. 이상극, 조현진, 김윤근, 이학주, 강하영. 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Koidz) 수피의 염착물질 분석. 목재공학 34(3):64-72 (2006) 

  4.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p.379, 향문사, 서울 (1993) 

  5. 조경래. 천연염료와 염색, pp. 3-36, 형설출판사, 서울 (2004) 

  6. 조현진, 이상극, 강하영, 최돈하, 최인규. 천연염료자원 탐색 및 염색특성(I) -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Makino) 추출물의 pH에 따른 염색특성 -. 한국임산에너지학회 25(1):18-23 (2006) 

  7. 조현진, 이상극, 강하영, 최돈하, 최인규. 천연염료자원 탐색 및 염색특성(II) - 염색조건에 따른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Makino) 추출물의 염색특성 -. 한국임산에너지학회 25(2):22-27 (2006) 

  8. 홍성천, 변수현, 김삼식. 원색한국수목도감, p.93, 계명사, 서울 (1987) 

  9. 황은경, 김문식, 이동수, 김규범. 매염제에 따른 색상 변화에 관한 연구(I) - 울금과 소목의 혼합염색 -. 한국섬유공학회지 35(8):490-497 (1998) 

  10. Komae, H. and N. Hayashi. Palmitone and phytosterols from Neolitsea sericea. Phytochemistry 10:1953-1954 (1971) 

  11. Sharma, M. C., T. Ohira and M. Yatagai. Lanostane triterpenes from the bark of Neolitsea sericea. Phytochemistry 37:201-203 (1994) 

  12. Yano, K., T. Akihisa, R. Kawaguchi, T. Tamura and T. Matsumoto. 24-Methylene-25-methylcycloartanol and $24{\alpha}-ethyl-5{\alpha}-chlestan-3{\alpha}-ol$ from Neolitsea sericea. Phytochemistry 31:1741-1746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