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체공급계 재순환배관의 성능시험 및 계산
Performance Test and Calculation of Recirculation Line in Propellant Feed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추진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11 no.2 = no.39, 2007년, pp.9 - 17  

권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어팀) ,  조남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어팀) ,  정용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어팀) ,  한상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제어팀) ,  김영목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발사체추진기관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체공급계 추진제공급시스템의 재순환배관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극저온 추진제로 액체 산소를 사용하고 재순환촉진용 분사가스로는 헬륨을 사용하여 탱크 얼리지가 대기압 상태인 경우와 4 bars로 가압된 경우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자연재순환의 발생여부와 헬륨분사량에 따른 액체산소의 재순환량 변화 및 배관 내부 온도분포를 파악하였고, 주어진 규격의 배관시스템에 대한 적정 헬륨분사량과 터보펌프 전단의 추진제 온도상승 정도를 살펴보았다. 시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순환배관의 성능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시험과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formance test of recirculation line in propellant feeding system was carried out. Liquid oxygen was used as cryogenic propellant and helium was used as recirculation promotion gas. Tests were done in cases at atmospheric pressure and at pressure of 4 barg in the ullage space of propellant 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정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규모가 큰 시험 설비에서는 열량의 출입관계를 계산에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려우므로, 시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 프로그램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계산 프로그램의 작성 과정을 언급하고 기준 조건으로 삼은 시험데이터와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 나타났다[4]. 본 연구에서는 추진기관 공급계 시험 설비를 통하여 실유체인 액체산소를 작동유체로 하여 재순환 배관의 주요성능인 터보펌프 입구에서의 액체산소 온도 상승폭 및 적절한 헬륨 분사량을 살펴보았다. 실제로 공급배관과 재순환배관 내의추진제 밀도차로 인한 자연적인 재순환 발생과 헬륨 분사량에 따른 액체산소의 순환량 및 배관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 실제로 공급배관과 재순환배관 내의추진제 밀도차로 인한 자연적인 재순환 발생과 헬륨 분사량에 따른 액체산소의 순환량 및 배관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재순환배관의 경로가 터보펌프 후단, 즉 종단밸브의 전단에 위치할 경우 엔진부 공급계의 냉각(chill-down)에 관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재순환 배관의 경로를 터보펌프가 장착되리라 예상되는 지점의 전단에 위치시킴으로써 터보 펌프로 유입되는 액체산소의 온도를 관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가설 설정

  • 탱크 내부 추진제의 밀도는 배관시스템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높이차에 의한 수두압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성충화에 의한 온도 차이를 무시하고 탱크 내부가 완전 혼합된다고 가정하여 액체산소의 대표온도를 측정하여 밀도 값을 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E. Ring, Rocket Propellant and Pressurization Systems,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 J., 1964 

  2. G. L. Perry, J. D. Suter and S. G. Turner, "Advanced Liquid Oxygen Propellant Conditioning Concept Testing", NASA Technical Memorandum, 108477, 1995 

  3. L. Zhang, W. S. Lin, X. S. Lu and A. Z. Gu, "Geysering Inhibiting Research for Single Feeding-line in Cryogenic Propellant Transfer System", Cryogenics, Vol. 44, 2004, pp.643-648 

  4. 권오성, 조남경, 정용갑, 길경섭, 하성업, "터보펌프 전단 극저온 추진제 온도 conditioning 방안에 대한 연구", 제6회 우주발사체기술 심포지움 자료집, 2005, pp.120-125 

  5. 정용갑, 김유, "극저온 헬륨가스 가압시스템에 대한 온도특성 연구(I)", 한국추진공학회지, 제9권 제3호, 2005, pp.66-73 

  6. N. K. Cho, O. S. Kwon, Y. M. Kim and S. K. Jeong, "Investigation of Helium Injection Cooling to Liquid Oxygen under Pressurized Condition", Cryogenics, Vol. 46, No. 11, 2006, pp.778-793 

  7. P. S. Larsen, J. A. Clark, W. O. Randolph and J. L. Vaniman, "Cooling of Cryogenic Liquid by Gas Injection", Advanced Cryogenic Engineering, Vol. 8, 1962, pp.507-520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