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젖소의 산유 능력에 따른 번식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축산과학원 시험우사에서 사육중인 젖소를 이용하여 분만 후 유즙중 P4농도를 분석하였고, 전문경영체농장 22개 소에서 사육중인 젖소에 대한 번식 기록을 이용하여 고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 이상)와 평균 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이하)의 번식 성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젖소의 분만 후 progesterone peak는 고능력 및 평균 능력우의 경우에 각각 $38.8{\pm}11.1$$39.6{\pm}9.7$일로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분만 후 첫 발정까지의 일수는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99.4{\pm}2.1$일 및 $117.7{\pm}4.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11.6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고(p<0.01), 분만 후 수태까지의 일수도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145.9{\pm}3.8$일 및 $165.9{\pm}6.5$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0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그리고 분만 간격은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 우가 각각 $421.5{\pm}4.0$일 및 $448.4{\pm}7.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6.9일 연장되었다(p<0.01).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average (less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and high yielding (more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Holstein cattle at commercial dairy herds (n=22). Data on milk progesterone (10 to 60 days postpartum), days to p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연구자에 따라서는 산유 능력이 번식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Bonczek 등, 1992; Harrison 등, 1990)와 그렇지 않다는 견해(McGowan 등, 1996; Legates와 Myers, 1988)가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조사 연구에서는 고능력우와 평균 능력우의 번식 성적을 비교분석하여 산유 능력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함으로써 효율적인 번식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한다.
  • 본 연구는 젖소의 산유 능력에 따른 번식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축산과학원 시험우사에서 사육중인 젖소를 이용하여분만 후 유즙중 P4농도를 분석하였고, 전문경영체농장 22개소에서 사육중인 젖소에 대한 번식 기록을 이용하여 고능력우(305일 유량 10, 000 kg 이상)와 평균 능력우(305일 유량 10, 000kg이화)의 번식 성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nczek RR, Richardson DO and Moore ED. 1992. Correlated responses in reproduction accompanying selection for milk yield in Jersey. J. Dairy Sci., 75: 1154-1160 

  2. Butler WR and Smith RD. 1989. Interrelationships between energy balance, and post partum reproductive function in dairy cattle. J. Dairy Sci., 72:767-783 

  3. Freeman AE. 1986. Genetic control of reproduction and lactation in dairy cattle. Proc. 3rd World Congr. Genet. Appl. Livest. Prod., 11:3 

  4. Hady PJ, Domecq JJ and Kaneene JB. 1994. Frequency and precision of body condition scoring in dairy cattle. J. Dairy Sci., 77:1543-1547 

  5. Harrison RO, Ford SP, Young JW, Conley AJ and Freeman AE. 1990. Increased milk production versus reproductive and energy status of high producing dairy cows. J. Dairy Sci., 73:2749-2758 

  6. Legates JE and Myers RM. 1988. Measuring genetic change in a dairy herd using a control population. J. Dairy Sci., 71: 1025-1033 

  7. McGowan MR, Veerkamp RF and Anderson L. 1996. Effects of genotype and feeding system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airy cattle. Livest. Prod. Sci., 46:33-40 

  8. Robinson JJ, Ashworth CJ, Rooke JA, Mitchell LM and McEvoy TG. 2005. Nutrition and fertility in ruminant livestock.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DTD5), 1-16 

  9. Roche JF, Mackey D and Diskin MD. 2000. Reproductive management of postpartum cows. Anim. Reprod. Sci., 60-61: 703-712 

  10. Shrestha HK, Nakao T, Higaki T, Suzuki T and Akita M. 2004. Resumption of postpartum ovarian cyclicity in high-producing Holstein cows. Theriogenology, 61:637-649 

  11. Staples CR, Thatcher WW and Clark JH. 1990. Relationships between ovarian activity and energy balance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high producing dairy cows. J. Dairy Sci., 73: 938-947 

  12. Stevenson JS and Britt JH. 1979. Relationships among luteinizing hormone, estradiol, progesterone, glucocorticoids, milk yield, body weight and postpartum ovarian activity in Holstein cows. J. Anim. Sci., 48:570-577 

  13. Stevenson JS and Britt JH. 1980. Models for prediction of days to first ovulation based on changes in endocrine and nonendocrine traits during the first two weeks postpartum in Holstein cows. J. Anim. Sci., 50: 103-110 

  14. Stevenson JS, Kobayashi Y and Thompson FN. 1999.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airy cows in various programmed breeding systems including ovsynch and combination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d prostaglandin $F_2{\alpha}$ . J. Dairy Sci., 82:506-515 

  15. 농림부. 축산연구소. 2006. 2005년 가축개량 관련자료. 발간등록번호 (11-1390271-000034-10). 상록사. pp. 57 

  16. 백광수, 박성재, 박수봉, 김현섭, 이현준, 이왕식, 전병순, 안병석, 김재기, 정경용, 손준규. 2005. 분만 후 젖소에 있어서 $PGF_2{\alpha}+PGF_2{\alpha}$ +CIDR Program적용에 의한 발정 유기시 BCS의 영향.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0:279-2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