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젖소의 산유 능력에 따른 번식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축산과학원 시험우사에서 사육중인 젖소를 이용하여 분만 후 유즙중 P4농도를 분석하였고, 전문경영체농장 22개 소에서 사육중인 젖소에 대한 번식 기록을 이용하여 고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 이상)와 평균 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이하)의 번식 성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젖소의 분만 후 progesterone peak는 고능력 및 평균 능력우의 경우에 각각 $38.8{\pm}11.1$ 및 $39.6{\pm}9.7$일로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분만 후 첫 발정까지의 일수는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99.4{\pm}2.1$일 및 $117.7{\pm}4.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11.6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고(p<0.01), 분만 후 수태까지의 일수도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145.9{\pm}3.8$일 및 $165.9{\pm}6.5$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0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그리고 분만 간격은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 우가 각각 $421.5{\pm}4.0$일 및 $448.4{\pm}7.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6.9일 연장되었다(p<0.01).
본 연구는 젖소의 산유 능력에 따른 번식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축산과학원 시험우사에서 사육중인 젖소를 이용하여 분만 후 유즙중 P4농도를 분석하였고, 전문경영체농장 22개 소에서 사육중인 젖소에 대한 번식 기록을 이용하여 고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 이상)와 평균 능력우(305일 유량 10,000 kg이하)의 번식 성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젖소의 분만 후 progesterone peak는 고능력 및 평균 능력우의 경우에 각각 $38.8{\pm}11.1$ 및 $39.6{\pm}9.7$일로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분만 후 첫 발정까지의 일수는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99.4{\pm}2.1$일 및 $117.7{\pm}4.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11.6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고(p<0.01), 분만 후 수태까지의 일수도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145.9{\pm}3.8$일 및 $165.9{\pm}6.5$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0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그리고 분만 간격은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 우가 각각 $421.5{\pm}4.0$일 및 $448.4{\pm}7.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6.9일 연장되었다(p<0.0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average (less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and high yielding (more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Holstein cattle at commercial dairy herds (n=22). Data on milk progesterone (10 to 60 days postpartum), days to p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average (less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and high yielding (more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Holstein cattle at commercial dairy herds (n=22). Data on milk progesterone (10 to 60 days postpartum), days to post-partum estrous, days to post-partum conception, service per conception and calving interval were recorded for two consecutive years. Post-partum milk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days to reach peak milk progesterone concentration were similar in high and average yielding cows. High yielding cows took more days to show signs of first postpartum estrous than average yielding cows. Post-partum conception was 20 days earlier in average yielding cows than high yielding cows. Artificial insemination per conception was similar between average and high yielding cows. Calving interval was 26.9 days longer in high yielding cows compared to average yielding cows. In conclusion, better reproductive and feeding management may help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igh yielding dairy cattle in commercial dairy far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average (less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and high yielding (more than 10,000 liters milk in 305 days) Holstein cattle at commercial dairy herds (n=22). Data on milk progesterone (10 to 60 days postpartum), days to post-partum estrous, days to post-partum conception, service per conception and calving interval were recorded for two consecutive years. Post-partum milk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days to reach peak milk progesterone concentration were similar in high and average yielding cows. High yielding cows took more days to show signs of first postpartum estrous than average yielding cows. Post-partum conception was 20 days earlier in average yielding cows than high yielding cows. Artificial insemination per conception was similar between average and high yielding cows. Calving interval was 26.9 days longer in high yielding cows compared to average yielding cows. In conclusion, better reproductive and feeding management may help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igh yielding dairy cattle in commercial dairy farm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연구자에 따라서는 산유 능력이 번식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Bonczek 등, 1992; Harrison 등, 1990)와 그렇지 않다는 견해(McGowan 등, 1996; Legates와 Myers, 1988)가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조사 연구에서는 고능력우와 평균 능력우의 번식 성적을 비교분석하여 산유 능력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함으로써 효율적인 번식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한다.
본 연구는 젖소의 산유 능력에 따른 번식 성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축산과학원 시험우사에서 사육중인 젖소를 이용하여분만 후 유즙중 P4농도를 분석하였고, 전문경영체농장 22개소에서 사육중인 젖소에 대한 번식 기록을 이용하여 고능력우(305일 유량 10, 000 kg 이상)와 평균 능력우(305일 유량 10, 000kg이화)의 번식 성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부실한 개체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고능력 젖소의 유 생산 수준은 연구자에 따라 9, 100-10, 814 kg의 범위로 그 기준에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Harrison 등, 1990; Legates와 Myers, 1988), 본 연구에서는 305일 유량을 기준으로 10, 000 kg이상 생산하는 젖소를 고능력우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번식 기록에 바탕을 두고 분만 후 첫 발정 일 수(분만 후 발정이 재귀된 시점), 분만 후 수태까지의 일수(분만 후 수태된 시점), 수태당 인공수정 횟수(분만 후 수태까지 수정된 횟수) 및 분만 간격(전 산차 분만부터 다음 산차 분만까지의 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4. Progesterone 분석
분만 후 난소의 활동 재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만 후10일째부터 60일째까지 50일간 유즙을 채취하여 radioimmu- noassay(RIA) 방법으로 유즙중 progesterone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조사 분석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전문 경영체 농장 22개소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 우의 산유 능력과 번식 기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고 능력 우와 평균 능력우의 유즙중 progesterone농도는 축산과학원에서 사육되고 있는 착유우중 고능력우 4두 및 평균 능력우 5두 계 9두를 공시하였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실험 자료의 통계 처리는 MINITAB™ 을 이용하여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성능/효과
유즙중 progesterone 농도를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고능력우 및 평균 능력우의 분만 후 progesterone peak를 나타내는 일수는 각각 38.8±11.1 및 39.6±9.7일로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고능력우와 평균 능력우에 있어서의 발정 재귀가 분만 후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됨을 시사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Stevenson과 Britt(1979)는 적어도 2회 연속하여 시료를 분석한 P4 농도가 1.
고능력 및 평균 능력 젖소에 있어서 분만 후 첫 발정까지의 일수는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균 능력우 및 고 능력 우가 각각 99.4±2.1일 및 117.7±4.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 우에 비하여 17.6일 정도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0.01).
고능력 및 평균 능력 젖소에 있어서 분만 간격은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균 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421.5±4.0 일 및 448.4±7.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6.9 일 연장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젖소의 산유 능력에따른 공태 기간에 대하여 조사한 Harrison 등(1990)의 결과에서 고능력우와 평균 능력우의 공태 기간이 217일 및 74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고 하였고, Bonczek 등(1992)의 조사 결과에서도 각각 110일 및 99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2. 분만 후 첫 발정까지의 일수는 평균 능력우 및 고 능력 우가 각각 99.4±2.1일 및 117.7:냐.2일로 고능력우가 평균능력 우에 비하여 17.6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고(p< 0.01), 분만 후 수태까지의 일수도 평균 능력우 및 고 능력 우가 각각 145.9±3.8일 및 165.9±6.5일로 고 능력 우가 평균 능력우에 비하여 20일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그리고 분만 간격은 평균 능력우 및 고 능력 우가 각각 421.
참고문헌 (16)
Bonczek RR, Richardson DO and Moore ED. 1992. Correlated responses in reproduction accompanying selection for milk yield in Jersey. J. Dairy Sci., 75: 1154-1160
Butler WR and Smith RD. 1989. Interrelationships between energy balance, and post partum reproductive function in dairy cattle. J. Dairy Sci., 72:767-783
Harrison RO, Ford SP, Young JW, Conley AJ and Freeman AE. 1990. Increased milk production versus reproductive and energy status of high producing dairy cows. J. Dairy Sci., 73:2749-2758
McGowan MR, Veerkamp RF and Anderson L. 1996. Effects of genotype and feeding system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airy cattle. Livest. Prod. Sci., 46:33-40
Shrestha HK, Nakao T, Higaki T, Suzuki T and Akita M. 2004. Resumption of postpartum ovarian cyclicity in high-producing Holstein cows. Theriogenology, 61:637-649
Staples CR, Thatcher WW and Clark JH. 1990. Relationships between ovarian activity and energy balance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high producing dairy cows. J. Dairy Sci., 73: 938-947
Stevenson JS and Britt JH. 1979. Relationships among luteinizing hormone, estradiol, progesterone, glucocorticoids, milk yield, body weight and postpartum ovarian activity in Holstein cows. J. Anim. Sci., 48:570-577
Stevenson JS and Britt JH. 1980. Models for prediction of days to first ovulation based on changes in endocrine and nonendocrine traits during the first two weeks postpartum in Holstein cows. J. Anim. Sci., 50: 103-110
Stevenson JS, Kobayashi Y and Thompson FN. 1999.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airy cows in various programmed breeding systems including ovsynch and combination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d prostaglandin $F_2{\alpha}$ . J. Dairy Sci., 82:506-51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