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Spatio-Temporal Dynamics of Estuarine Wetlands Related to Watershed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Estuary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2 no.3 = no.120, 2007년, pp.344 - 354  

노백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강하구역에 위치한 33개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191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구습지를 추출하여 공간적 분포특성과 시기별 변동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또한 하계밀도, 유역의 위치 및 크기, 경사도, 평균표고 등 유역특성이 하구습지 분포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발사업 등 인위적 교란이 하구습지 훼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형도 분석결과, 하구습지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이 팽창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한강하구의 습지는 급속하게 훼손되었다. 표준유역의 위치에 따라 하구습지를 구성하는 퇴적물 구성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해안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갯벌(펄)의 구성비율이 높고 한강본류 및 지류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사구나 습지(식생군락)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역면적이 넓고 경사가 급하며 평균표고가 낮은 지역에서 하구습지는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1970년대 이후 하구습지는 인위적 교란이 높은 한강서울, 한강서해, 한강고양 권역에서 크게 훼손된 반면 군사적 이유로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된 임진강하류 및 한강하류 권역에서는 감소폭이 낮았다. 특히 지난 30여년 동안 인구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적인 토지피복 구성비율이 높아진 유역에서 하구습지의 훼손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tuarine wetlands for 33 watersheds in the Han River estuary were delineated on topographic maps from the 1910s, 1970s, and 2000s. Then, these data were used to address the issue of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Watershed characteristics such as drainage density, location, watersh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구습지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하천유역의 토지피복이나 토지이용, 지형 여건은 습지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Forman and Godron, 1986; Bedford, 1999), 한강하구에 대해 유역크기, 하계밀도, 형상계수, 경사도, 해발고도가 하구습지의 분포 및 훼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연구는 1) 한강하구 습지의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정량화하여 분석하고, 2) 하구습지의 훼손원인을 하천유역의 특성과 비교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 하구의 유역특성을 감안한 흐}.구습지의 분포를 살펴보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를 획득하고 또한 하구 습지복원에 있어 원형습지 (prototype wetland)의 모습을 살려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 하구습지의 공간적 분포와 유역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사업에 의해 훼손된 한강하구의 훼손되기 전의 원래 모습을 복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육상과 해양, 담수와 염수의 점이지대에 위치하여 독특한 기수생태계 특성을 지니고 있는 하구 습지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추이 분석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례지역으로 우리나라 4대강 가운데 유일하게 하구둑에 의해 흐}.구순환이 단절되지 않아 자연 하구의 모습을 간직한 한강 하구를 선정하였다.
  • 하구 습지의 형성은 해수면 변동이나 조석활동 등 해양환경의 영향과 하상구배, 유역면적 등 하천유역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Forman and Godron, 1986; Mitsch and Gosselink, 2000; 신영규, 윤광성, 2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에 위치한 33개 표준유역을 해양환경 및 유역특성을 감안하여 바다에 접한 유역, 한강 본류에 접한 유역, 그리고 한강 지류에 접한 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경사도, 평균표고, 하계밀도, 형상 계수 등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국토지리정보원, 2006, 1/2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 국토지리정보원 

  2. 권혁재, 2001, 지형학, 법문사, 서울 

  3. 노백호.이창희.남정호.김선희.김홍상.유승훈.이장룡.황진환.안소은.장원근.강상규.박주영.최희정.한은진.강수진.최유진, 2006, 지속가 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박경, 2004, 우리나라의 하구지형 및 경관변화. 하구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워크샵,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박의준, 2000, '해안습지 성장률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3), 153-168 

  6. 박의준.김성환.윤광성, 2005, '우리나라 대하천 상류 하천습지의 지형경관,' 지리학연구, 39(4), 469-478 

  7. 박희두, 2005,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습지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2(1), 1-12 

  8. 서종철.박경, 2005,' 지형을 고려한 해안습지 분류,'지리 학연구, 40(3), 339-351 

  9. 신영규.윤광성, 2005, '한강하구역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의 공간적 분포,' 한국지형학회지, 12(4), 13- 23 

  10. 양태진, 1998,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 경인문화사 

  11. 유재원, 1998, 서해중부 갯벌 저서동물 군집의 공간분포와 장기변동 패턴,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이민부.한욱.김남신.한주연.신근하.강철성, 2003, '다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만강 하류지역의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특성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4), 630-639 

  13. 이삼희.황승용, 2006, '한강하구 장항습지의 형성 과정,' 건설기술정보, 272, 17-22 

  14. 이창희.구도완.노태호.문현주.전성우.허경미, 2003, 하구역 환경보전 전략 및 통합환경관리방안 수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5. 정진순, 2004, '낙동강 하류의 습지 환경 변화 연구,' 지리과교육, 7, 179-197 

  16. 제종길.이재학.고철환, 1998, '갯벌연구: 현재와 미래,' 해양연구, 20(2), 57-61 

  17. 한강유역환경청, 2007, 한강하구 습지보전계획 수립 연구 보고서 

  18. 홍사욱.신경식. 1978. '한강하류계의 수질과 니토에 관한 이화학적 조사연구,'한국육수학회지, 16, 43-51 

  19. 환경부.국립환경연구원, 2005, 하구역 생태계 정밀조사 보고서 

  20. Bedford, B., 1996, The need to define hydrologic equivalence at the landscape scale for freshwater wetland mitigation, Ecological Applications, 6, 57-68 

  21. Bedford, B., 1999, Cumulative effects on wetland landscapes: links to wetland restor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ern Canada, Wetlands, 19, 775-788 

  22. Forman R.T.T., and Godron, M.,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3. Johnston, C.A., Detenbeck, N.E., and Niemi, G.J., 1990, The cumulative effect of wetlands on stream water quality and quantity: a landscape approach, Biogeochemistry, 10, 105-141 

  24. Mitsch, W.J., and Gosselink, J. G., 2000. Wetland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