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시 콘크리트 요소 폭렬영향성 고찰
Review of Spatting Effect on Concrete Element in Fir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1 no.2 = no.66, 2007년, pp.54 - 63  

김형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및 설비연구부) ,  한상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및 설비연구부) ,  최승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 및 설비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내화성능이 내재되어 있다고 여겨지나, 이것은 화재시 콘크리트의 낮은 열전달 특성으로 인해 폭렬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화재사고사례를 분석한 결과 콘크리트 폭렬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은 심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크리트 폭렬에 관한 선진 연구 성과의 이론적 고찰 및 실험결과의 분석 검토를 토대로 국내에 상대적으로 미흡한 화재시 콘크리트의 거동특성 및 폭렬현상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화재조건에서의 성능 설계법을 제시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폭렬 기초연구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폭발성 폭렬현상은 고온 영역 하에서 공극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단면을 감싸는 인장응력보다 박리되고자 하는 압력이 커지게 되어 $200^{\circ}C{\sim}400^{\circ}C$에서 발생하게 된다. 폭렬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요소는 수분함유량, 공극(수증기에 의한) 압력, 변형에 의한 응력변화(하중비), 가열비(화재강도) 등으로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crete is generally accepted to have good inherent fire resistance. It mainly relies on the assumption that concrete has low heat-transfer characteristic and spatting does not occur during the course of a fire. However, the significant numbers of fire accidents have shown in recent years that in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론적 고찰 및 실험결과 분석 . 검토를 토대로 국내에 상대적으로 미흡한 화재시 콘크리트의 거동특성 및 폭렬현상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국내 폭렬관련내화실험 수행에 관한 향후과제 및 연구방향을 제안하여 성능적 분석수행기술과 화재조건에 따른 대응설계지침 및 기법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콘크리트 폭렬요인들의 영향성 분석을 수행하여 관련 인자들과 폭렬특성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콘크리트 폭렬 요인은 콘크리트 자체의 재료적 특성인 골재특성, 투수성, 수분함유량, 물시멘트비, 재령, 실험체 크기 및 인장강도 등이 있으며, 콘크리트 고온 가열시에 유발되는 수증기압력, 공극압력 등이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폭렬의 선진외국의 이론적 고찰 및 실험결과 분석 . 검토를 토대로 국내에 상대적으로 미흡한 화재시 콘크리트의 거동특성 및 폭렬현상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국내 폭렬관련내화실험 수행에 관한 향후과제 및 연구방향을 제안하여 성능적 분석수행기술과 화재조건에 따른 대응설계지침 및 기법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폭렬 현상에 대하여 발생 과정과 원인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콘크리트의 폭렬 발생원인은 구성 재료의 열-수 역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 그 종류는 크게 Progress Spalling 과 Explosive Spalling으로 분류된다.

가설 설정

  • 콘크리트에 적용된 골재에 따라 폭렬특성 비교 실험을 실시한 결과, 열팽창 계수가 큰 규산질 골재 콘크리트가 석회질 골재 콘크리트보다 폭렬이 더 잘 발생하는 경향을 갖는다고 강도의 경우엔 규산질 골재 콘크리트가 탄산염 골재 콘크리트보다 비열이 작기 때문에 폭렬현상이 더 잘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12) 그러나, 폭렬현상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골재 종류 한 가지 변수가 폭렬현상을 유발하는 절대적인 요인은 될 수 없다고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ttp://www.nema.go.kr/data/statistic/list.jsp 

  2. BS 5950. PART8: Code of Practice for the Fire Protection of Structural Steelwork. British Standards Institute 

  3. T. Harada, 'Strength, Elasticity and Thermal Properties of Concrete Subjected to Elevated Temperatures', ACI, SP-34, V.1, pp.393(1972) 

  4. Y. Ichikawa and G.L. England, 'Prediction of Moisture Migration and Pore Pressure Build-up in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pp.245-259(2004) 

  5. K.D. Hertz,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pp.103-116(2003) 

  6. J.W. Dougill, 'A Note on the Mechanisms of Spalling in Concrete', Appendix to Fire Research Memorandum (No.70), Joint Fire Research Organization, Boreham Wood(1972) 

  7. Y. Anderberg, 'Spalling Phenomena of HPC and OC', NIST Workshop on Fir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Gaithersburg(1997) 

  8. Z.P. Bazant and W. Thonguthai, 'Pore Pressure in Heated Concrete Walls: Theoretical Prediction',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pp.6776(1979) 

  9. 최승관 외 25인., '신개념 NATM Composite 라이닝공법 개발 보고서(1차년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6) 

  10. J.A. Purkiss, W.A. Moris, and R.J. Connolly, 'Fire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Correlation of Analytical Methods with Observed Experimental Behaviour, in Interflam 96',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eds. Franks C. and Grayson S., 26-28 March, St John's College, Cambridge, Interscience Communications, pp.531-541(1996) 

  11. J. Lindgard and T.A. Hammer, 'Fire Resistance of Structur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A Literature Survey with Focus on Spalling',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Sci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By: Chandra S.; Berntsson L. William Andrew Publishing/Noye(2002) 

  12. F. Arita, K. Harada, and K. Miyamoto, 'Thermal Spalling of High-performance Concrete during Fire',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Structures in Fire, Christchurch, March(2002) 

  13. Y. Sertmehemetoglu, 'On the Mechanism of Spalling of Concrete under Fire Conditions', Ph.D. Thesis, King'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1997) 

  14. U. Danielsen, T.A. Hammer, H. Justnes, and S. Smeplas, 'Marine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Hydrocarbon Fires', SINTEF-report no STF65 A88064, Trondheim, pp.48(1988) 

  15. H. Justnes and E.A. Hansen, 'LWA Concrete for Floaters, SP4 Hydrocarbon Fire Resistance, Report 4.1-A Theoretical Evaluation based on Material Technology', SINTEF Report no. STF65 F90009, Trondheim, pp.4(1990) 

  16. L. Bostrom, U. Wickstrom, and B. ADL-Zarrabi, 'Effect of Specimen Size and Loading Conditions on Spalling of Concrete',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Workshop on Structures in Fire, Ottawa, Canada, pp.235-248(2004) 

  17. U.M. Jumpannen, 'Effect of Strength on Fire behaviour of Concrete', Nordic Concrete Research, 1989. Publication No.8 

  18. L.T. Phan, 'High-strength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An Overview', Proceedings of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Utilization of High Strength/High Performance Concrete, Leipzig, Germany, pp.501-518(2002) 

  19. A.A.A. Zaman and P.J. Sullivan, 'Explosive Spalling of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Concrete Structures and Technology Research Report, Imperial College, London(1970) 

  20. H.L. Malhotra, 'Fire Resistance of Structural Concrete Beams', Fire Research Note No.741, Joint Fire Research Organization, Borehamwood(1969) 

  21. T.J. Sharp, 'The Influence of Elevated Temperatures on the Physical behaviour of Water in Concrete', Ph.D. Thesis, King'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1971) 

  22. O. Kontani, 'Experimental Determination and Theoretical Prediction of Pore Pressure in Sealed Concrete at Sustained High Temperatures', Ph.D. Thesis, Northwestern University(1994) 

  23. P. Kalifa, G. Chene, and C. Galle, 'High-Temperature behaviour of HPC with Polypropylene Fibres from Spalling to Micro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1, pp.1487-1499(2001) 

  24. C. Meyer-Ottens, 'The Question of Spalling of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of Standard Concrete under Fire Loading', Ph.D. Thesis, Technical University of Braunschweig, German(197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