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산만과 가덕수로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원소와 저서성 유공충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nd Benthic Foraminifera on Surface Sediments in Masan Bay and Gadeog Channel,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29 no.3, 2007년, pp.233 - 244  

우한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조진형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최재웅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ne surface sediments from Masan Bay and Gadeog Channel were taken for grain size and geochemical and foraminiferal analyses in August 2002. The sediments consist of mud with 7.29-8.54 $\phi$ in mean grain size. Average concentrations of Al, Fe and Mn are higher in Gadeog Channel tha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원소와 저서성 유공충 특성을 이용하여 2002년 마산만의 해저환경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과 저서성 유공충 군집을 분석하였으며, 1996년 마산만 중금속 함량과 유공충 특성과의 비교를 통하여 저서환경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Eg.: Eggerella adven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시환, 김창식, 박광순. 1989. 연안환경보전기술 개발연구. 한국해양연구소, BSPG 00083-242-4. p. 163-238 

  2. 마산시. 1994. 마산만 준설에 따른 해양환경 종합 모니터링. 경남대학교 환경문제 연구소. 264 p 

  3. 박성민, 이연규, 우한준, 조진형, 정창수. 2002. 부산만의 퇴적물 특성 및 저서성 유공충 분포. 고생물학회지, 18, 27-41 

  4. 박재국. 2006. 하수처리장 방류가 반 폐쇄성 연안 방류해역 수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50 p 

  5. 우한준, 김효영, 정갑식, 천종화, 김성은, 추용식. 1999. 마산만 퇴적환경 오염에 따른 저서성 유공충 분포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 144-154 

  6. 우한준, 박성민, 정창수. 2002. 행암만의 퇴적환경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p. 315-323 

  7. 우한준, 조진형, 정갑식, 정창수, 권수재, 박성민. 2003. 중금속 원소와 유공충을 이용한 마산만 퇴적물의 오염 역사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4(7), 635-649 

  8. 이종현, 이정석, 김범수, 이창복, 고철환. 1988. 경기만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 103-111 

  9. 이희준, 조형래, 추용식, 박장준, 왕야핑. 2002. 진해만의 부유퇴적물 기원과 이동.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p. 325-329 

  10. 조경제, 최만영, 곽승국, 임성호, 김대윤, 박종규, 김영의. 1998.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4), 193-202 

  11. 조영길, 류상옥, 구영경, 김주용. 2001. 새만금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성분원소 함량과 지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1), 27-34 

  12. 한국해양연구소. 1996. 해저층 퇴적물 이동 관측 및 예측기술. BSPN 00302-933-5. 259 p 

  13. 한국해양연구원. 2003. 연안역에서의 육지와 해양 상호작용연구(1) 남해 동부연안역의 영양물질 유입과 생물생산력 개발 환경조성 기반 기술. BSPE 827-01-1493-4. 505 p 

  14. 해양수산부. 1999. 갯벌 생태계 조사 및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BSPM 99035-00-1228-3. 875 p 

  15. 해양수산부. 2000. 갯벌 생태계 조사 및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BSPM 00072-00-1308-3. 1203 p 

  16. 해양수산부. 2002. 갯벌 생태계 조사 및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BSPM 16100-1465-3, 885 p 

  17. 현상민, 이태희, 최지성, 최동림, 우한준. 2003. 광양만 및 여수해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오염.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4), 380-391 

  18. Ahn, I.Y., Y.C. Kang, and J.W. Choi. 1995. The influence of industrial effluents on intertidal benthic communities in Panweol, Kyeonggi Bay (Yellow Sea) on the west coast of Korea. Mar. Pollut. Bull., 30, 200-206 

  19. Alve, E. 1991. Benthic foraminifera in sediment cores reflecting heavy metal pollution in Sorfjord, western Norway. J. Foram. Res., 21, 1-19 

  20. Alve, E. 1995. Benthic foraminiferal responses to estuarine pollution: A review. J. Foram. Res., 25, 190-203 

  21. Alve, E. and F. Olsgard. 1999. Benthic foraminiferal colonization in experiments with copper-contaminated sediments. J. Foramin. Res., 21, 1-19 

  22. Boltovskoy, E. and R. Wright. 1976. Recent Foraminifera. Dr. W. Junk. Hague. 515 p 

  23. Burone, L., N. Venturini, P. Sprechmann, P. Valente, and P. Muniz. 2006. Foraminiferal responses to polluted sediments in the Montevideo coastal zone, Uruguay. Mar. Pollut. Bull., 52, 61-73 

  24. Buzas, M.A. and T.G. Gibson. 1969. Species diversity: benthonic foraminifera in western north Atlantic. Science, 163, 72-75 

  25. Collins, E.S., D.B. Scott, P.T. Gayes, and F.S. Medioli. 1995. Foraminifera in Winyah bay and north inlet marshes, South Carolina: Relationship to local pollution sources. J. Foram. Res., 25, 212-223 

  26. Debenay, J.P., E. Tsakiridis, R. Soulard, and H. Grossel. 2001. Factors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foraminiferal assemblages in Port Joinville Harbor (Ile d'Yeu, France): The influence of pollution. Mar. Micropaleon., 43, 75-118 

  27. Hong, G.H., Y.A. Park, and K.W. Lee. 1983. Partitioning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Jinhae Bay, Korea. J. Oceanol. Soc. Kor., 18, 180-184 

  28. Hong, J.S. 1987. Sum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Oceanogr. Soc. Kor., 22, 246-256 

  29. Hong, J.S. and J.H. Lee. 1983.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 Oceanogr. Soc. Kor., 18, 69-179 

  30. Howe, H.V. 1941. The use of soap in the preparation of samples for micropaleontological study. J. Paleontol., 15, 691 

  31. Jeong, K.S., J.H. Cho, J.H. Lee, and K.H. Kim. 2006. Accumulation history of anthropogenic heavy metals (Cu, Zn, and Pb) in Masan Bay sediments, Southeastern Korea: A role of chemical front in the water column. Geosci. J., 10, 445-455 

  32. Khim, J.S., K. Kannan, D.L. Villeneuve, C.H. Koh, and J.P. Giesy. 1999.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from Masan Bay, Korea: 1. Instrumental Analysis. Environ. Sci. Technol., 33, 4199-4205 

  33. Kwon, Y.T., C.W. Lee, and B.Y. Ahn. 2001. Sedimentation pattern and sediments bioavailability in a wastewater discharging area by sequential metal analysis. Microchem. J., 68, 135-141 

  34. Lee, S.H. and K.W. Lee. 1983.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Jinhae Bay. J. Oceanogr. Soc. Kor., 18, 49-54 

  35. MacArther, R.H. and J.W. MacArther. 1961. On bird species diversity. Ecology, 42, 544-598 

  36. Park, S.C. and K.S. Chu. 1991. Dispersal pattern of riverderived fine-grained sediments on the inner shelf of Korea Strait. p. 231-240.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K. Takano, ed. Elsevier Oceanography Series 54. Elsevier, Amsterdam 

  37. Park, S.C., S.K. Hong, and D.C. Kim. 1996.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deposits on the inner shelf of the South Sea of Korea. Mar. Geol., 131, 219-232 

  38. Park, Y.A. 1985. Late Quaternary sediment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southeast coast of Korea, a further evidence of relict sediment. J. Oceanogr. Soc. Kor., 20, 55-61 

  39. Resig, J.M. 1960. Foraminiferal ecology around ocean outfalls off southern California. p. 104-121. In: Waste Disposal in the Marine Environment. Pergamon Press, London 

  40. Schafer, C.T. 1973. Distribution of foraminifera near pollution sources in Chaleur Bay. Water, Air Soil Poll., 2, 219-233 

  41. Scott, D.B., F.S. Medioli, and C.T. Schafer. 2001. Monitoring in Coastal Environments using Foraminifera and Thecamoebian Indicators. Cambridge Univ. Press. 177 p 

  42. Sen Gupta, B.K. 1999. Modern Foraminifera. Kluwer Academic Pub., Dordrecht. 371 p 

  43. Setty, M.G.A.P. 1982. Pollution effects monitoring with foraminifera as indices in the Thana Greek, Bombay Area. Int. J. Environ. Stud., 18, 205-209 

  44. Walton, W.R. 1952. Techniques for recognition of living foraminifera. Contrib. Cushman Found. Foramin. Res., 3, 56-60 

  45. Yang, D.B. and G.H. Hong. 1982. Nutrients and chlorophyll-a variations at a fixed station during the red tides in the Jinhae Bay. J. Oceanogr. Soc. Kor., 17, 19-26 

  46. Yanko, V., A. Arnold, and W. Parker. 1999. Effect of marine pollution on benthic foraminifera. p. 217-235. In: Modern Foraminifera. ed. by B.K. Sen Gupta. Kluwer Academic Pub., Dordrecht 

  47. Zalesny, E.R. 1959. Foraminifera ecology of Santa Monica Bay, California. Micropaleontology, 5, 101-1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