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요소비료의 손실에 미치는 요인
Factors Controlling the Losses of Urea through Ammonia Volatilizatio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0 no.1, 2007년, pp.77 - 82  

김수정 (강원대학교) ,  양재의 (강원대학교) ,  조병욱 (강원대학교) ,  김정제 (강원대학교) ,  신용오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의 휘산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토양에서 일어나는 질소 손실의 주된 기작이다. 암모니아 휘산은 다양한 토양과 환경의 조건 및 비료관리 방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소비료 의존도가 높은 채소들도 휘산된 암모니아 가스에 의해 피해를 받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토에 시용된 요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 휘산량을 측정하였고, 이에 미치는 요소비료 시용량, 관개시기, 및 온도 등의 비료관리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했다. 암모니아 휘산은 요소를 시용한 뒤 약 3일 후에 시작되었으며, 약 2주 후에 최대에 도달하였다. 17일 후, 휘산된 암모니아태 질소의 양은 200, 400, $600kg\;N\;ha^{-1}$ 의 시용량에서 각각 3.0, 4.4, 그리고 8.0 kg 이었다. 이들 휘산량은 시용된 질소가 15.0, 10.9, 및 13.0% 가 손실된 것과 상응한다. 온도가 5, 8, 22, $28^{\circ}C$ 일때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5, 21, 75, $87kg\;N\;ha^{-1}$ 이였다. 요소비료를 시용한 뒤 0, 5, 10 mm의 물을 관개한 경우,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21.3, 21.2, $16.6kg\;N\;ha^{-1}$ 이었다. 한편, 요소를 시용한 후 5 mm를 관수한 경우의 질소 휘산량은 $10.44kg\;N\;ha^{-1}$ 로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요소비료를 권장량을 표토와 혼합, 온도가 낮을 때 그리고 요소비료를 시용후 즉시 관개하는 방안이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질소 손실을 최소화 하는 비료관리 방안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ization of ammonia from N fertilizer is the major mechanism of N losses that occur naturally in all soils and is influenced by numerous soils, environmental and N fertilizer management factors. Vegetables are often damaged by $NH_3$ gas volatilized from the high rates of N fertili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However, no guideline for the fertilizer management in this respect is recommended. In this study, the volatilized ammonia from the surface of the soil, treated with urea, was measured in order to assess the factors that favorably lead to the NHvolatilization.

대상 데이터

  • Experimental device and treatments A vinyl film chamber with a lid on top was built on the surface of the soil in the field as shown in Fig. 1. The ammonia gas trapped and collected in beakers filled with boric acid (H3BO3) solu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Kjeldahl distillation method (NIAST, 2000b).
  • Study site and fertilization The experimental site was a field located in Woodu-dong, Chuncheon, Kangwon. The soil on the field is of Ihyeon soil series (coarse silty, mixed, mesic family of Dystric Fluventic Eutrochrepts) (Alluvial soils).

이론/모형

  • Since soil moisture contents might make some changes for the volatilization of urea, different irrigation practices were introduced; no irrigation, irrigation of 5 and 10 mm before urea application and irrigation of 5 mm after urea placement at rate of 400 kg ha-1 at 22℃. Concentrations of ammonia trapped at 10, 20 and 30 cm above the soil surface were analyzed for N by Kjeldahl distillation method. Amounts of NH3 N volatilized from urea were assessed based on ammonia concentration trapped in the beaker and converted to the rate of volatilization at each level of urea application.
  • 1. The ammonia gas trapped and collected in beakers filled with boric acid (H3BO3) solu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Kjeldahl distillation method (NIAST, 2000b). The trapping beakers were placed at the rings on the supporting stand at heights of 0, 10, 20, and 30 cm above the soil surfa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yrouty, C. A., L. E. Sommers, and D. W. Nelson. 1988. Ammonia volatilization from surface applied urea as affected by several phosphoroamide compounds. Soil Sci. Soc. Am. J. 52:1173-1178 

  2. Brady, N. C. and R. R. Weil. 2002.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3th ed). p. 272 315, 543-591.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3. Cameron, K. C. 1992. Nitrogen in Soil. p. 307-317. In R. W. Fairbridge (ed.) Encyclopedia of Earth System Sciences, vol 3. Academic Press Inc. London, Great Britain 

  4. Cho, B.O. 1999. Characterization of soil fertility and management practices of alpine soils under vegetable cultivations.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5. Ferguson, R. B., D. E. Kissel, J. K. Koelliker, and W. Basel. 1984. Ammonia volatilization from surface applied urea: Effect of hydrogen ion buffering capacity. Soil Sci. Soc. America J. 38:578-582 

  6. Freedman, B. 1992. Acid Rain. p. 7. In M. Yelles (ed.) Encyclopedia of Earth System Sciences. vol 1. Academic Press Inc. London, Great Britain 

  7. Haynes, R. J. 1992. Nitrification. p. 287-317. In R. W. Fairbridge (ed.) Encyclopedia of Earth System Sciences, vol 3. Academic Press Inc. London, Great Britain 

  8. Havlin, J. L., J. D. Beaton, S. L. Tisdale, and W. L. Nelson. 2005. Soil fertility and fertilizers: an introduction to nutrient management (7th ed). p. 97-159.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9. Khalil, M. I., U. Schmidhalter, and R. Gutser. 2005. Urea super granules in a cambisol: N transformations, $N_{2}O$ and $NH_{3}$ emissions at two soil water regimes. p. 1122-1123. In C. J. Li et al. (ed.), Plant nutrition for food security, human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singhua University Press, China 

  10. Khalil, M. I., U. Schmidhalter, and R. Gutser. 2006. $N_{2}O$ , $NH_{3}$ , and $NO_{x}$ emissions as a function of urea granule size and soil type under aerobic conditions. Water Air Soil Poll. 175:127-148 

  11. Jung, Y. S., S. K. Ha, B. O Cho, and H. J. Lee. 1996. Use of phosphate coated urea to decrease ammonia volatilization loss from direct seeded rice field at early stage. Korean J. Soil Sci. Fert. 29:8-14 

  12. Mengel, K., and E. A. Kirkby. 2001. Principles of plant nutrition (5th ed). p. 397 434.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13. NIAST. 2000a.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p. 394-39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4. NIAST. 2000b. Methods of analyses for soils and plants. p. 107-1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5. PPI (Potash and Phosphate Institute). 2003. Soil fertility manual. Chapter 3. Nitrogen, Norcross, GA, USA 

  16. Ro, H. M., W. J. Choi, and S. I. Yun. 2003. Uptake and recovery of urea-15N blended with different rates of composted manure. Korean J. Soil Sci. Fert. 36:376-383 

  17. Rodriguez, S. B., A. Alonso-Gaite, and J. Alvarez-Benedi. 2005. Characterization of nitrogen transformations, sorption and volatilization processes in urea fertilized soils. Vadose Zone J. 4:329-336 

  18. Sommer, S. G., J. K. Scjoerring, and O. T. Denmead. 2004. Ammonia emission from mineral fertilizers and fertilized crops. Adv. Agron. 82:557-6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