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산만에서 부유원생동물의 연구
Studies on Marine Heterotrophic Protists in Masan Bay,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29 no.4, 2007년, pp.401 - 410  

이원제 (경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신경순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이재도 ((주)월드이엔지 기술연구소 해양생물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해양원생동물의 연구는 1990년대 초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주로 원생동물의 분포와 섭식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마산만 표영 환경에서의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의 분포,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의 상호작용과 원생동물과 식물플랑크톤의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토의하였다. 마산만에서 종속영양 미소편모류의 현존량은 평균 $1.2{\times}10^3\;cells\;mL^{-1}$, 종속영양 와편모류는 평균 $7.9{\times}10^4\;cells\;mL^{-1}$, 섬모충류는 평균 $4.0{\times}10^4\;cells\;L^{-1}$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엽록소-a 농도,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의 현존량은 유기물 유입이 많은 내만 정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종속영양 미소편모류는 박테리아 이차생산의 약 69%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나 박테리아 생물량을 조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소형부유동물은 미소조류 및 박테리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섭식율(평균 24%)로 인해 이들 생물군집들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마산만에서 원생동물은 박테리아와 미소조류의 성장을 조절하고 이들의 생물량을 상위영양단계로 직접 전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종속영양 미소편모류는 마산만에서 박테리아의 주 포식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마산만은 후생동물 먹이망보다 미세생물 먹이망이 상당히 잘 발달된 곳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study of marine heterotrophic protists started in the late 1980s, and since the early 1990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marine environments. In this articl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protists and the biotic interactions(bacteria-protists, phytoplank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산만에서 원생동물의 연구사례가 많지 않은 관계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였다. 국내 해양원생동물의 연구는 섬모충류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 국내에서 해양원생동물의 연구는 1990년대 초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주로 원생동물의 분포와 섭식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마산만 표영 환경에서의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의 분포,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의 상호작용과 원생동물과 식물플랑크톤의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토의하였다. 마산만에서 종속영양 미소편모류의 현존량은 평균 1.
  •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약 2년간 마산만에서 조사된 원생동물의 생물량을 보고하고 그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떠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지 대해 간단히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김요혜, 이준백. 2003. 제주도 남부해역의 부유성 섬모충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59-69 

  2. 박남주. 1995. 한국 연안의 미세생물 먹이망내에서 종속영양와편모류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29 p 

  3. 심재형, 박수영, 조병철, 이원호. 1995a.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섬모충류에 의한 박테리아 섭식에 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30, 426-435 

  4. 심재형, 신윤근, 조병철. 1993.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의 박테리아 및 식물플랑크톤의 역할과 상호관계. 한국해양학회지, 28, 107-113 

  5. 심재형, 윤성화, 윤상선, 최동한, 조병철. 1995b.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와 박테리아 섭식. 한국해양학회지, 30, 413-425 

  6. 양은진, 최중기. 2003.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 II. 미소형 및 소형 동물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78-93 

  7. 양은진, 최중기, 현정호. 2003. 경기만 수역에서 미세생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연구 I. 박테리아와 종속영양 미소편모류.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 44-57 

  8. 이승민. 2005. 남해 및 동중국해의 미세생물분포와 먹이망구조.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88 p 

  9. 이원제. 1993. 경기만 유영생태계에서 부유원생동물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81 p 

  10. 이원제. 2007. 옥계만 단일정점에서 극미소 및 미소플랑크톤의 시간적 분포. 한국환경과학회지, 16, 855-863 

  11. 정해진, 박종규, 김재성, 김성택, 윤주이, 김수경, 박용민.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3. 1997 년도 종속영양성 와편모류와 섬모류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 37-46 

  12. 정해진, 유영두, 김재성. 2002. 전북 새만금 남쪽해역의 유해성 적조 연구 발생연구 2. 1999년도 여름-가을 종속영양성 와편모류와 섬모충류의 시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7, 140-147 

  13. 한국해양연구소. 1998. 진해 마산만 수질환경 관리모델 개발 (II). BSPE 98703-01-1147-2 

  14. 한국해양연구소. 1999. 진해 마산만 수질환경 관리모델 개발 (III). BSPE 99750-00-1238-2 

  15. 한명수, 유광일. 1983a. 진해만의 쌍편모조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제1보: 유각류와 무각류. 해양연구소보, 5, 37-47 

  16. 한명수, 유광일. 1983b. 진해만의 쌍편모조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제2보: 페리디니움목. 해양연구소보, 5, 49-67 

  17. Andersen, P. and T. Fenchel. 1985. Bacterivory by microheterotrophic flagellates in seawater samples. Limnol. Oceanogr., 30, 198-202 

  18. Andersson, A., U. Larsson, and A. Hagstrom. 1986. Sizeselective grazing by a microflagellate on pelagic bacteria. Mar. Ecol. Prog. Ser., 33, 51-57 

  19. Azam, F., T. Fenchel, J.G. Field, J.S. Gray, L.A. Meyer-Reil, and F. Thingstad. 1983. The ecological role of watercolumn microbes in the sea. Mar. Ecol. Prog. Ser., 10, 257-263 

  20. Bell, R.T. and J. Kuparinen. 1984. Assessing phytoplankton and bacterioplankton production during early spring in Lake Erken, Sweden. Appl. Environ. Microbiol., 48, 1221-1230 

  21. Berninger, U.-G., D.A. Caron, R.W. Sanders, and B.J. Finlay. 1991. Heterotrophic flagellates of planktonic communities, their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study. p. 39-56. In: The biology of free-living heterotrophic flagellates. ed. by D.J. Patterson and J. Larsen. Clarendon Press, Oxford 

  22. Bird, D.F. and J. Kalff. 1984. Empirical relationships between bacterial abundnace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in fresh and marine waters. Can. J. Fish. Aquat. Sci., 41, 1015-1023 

  23. Bloem, J., C. Albert, M.-J.B. Bar-Gilisen, T. Berman, and T.E. Cappenberg. 1989. Nutrient cycling through phytoplankton, bacteria and protozoa, in selectively filtered Lake Vechten Water. J. Plankt. Res., 11, 119-131 

  24. Bratbak, G., M. Heldal, S. Norland, and T.F. Thingstad. 1990. Viruses as partners in spring bloom microbial trophodynamics. Appl. Environ. Microbiol., 56, 1400-1405 

  25. Carlough, L.A. and J.L. Meyer. 1989. Protozoans in two southeastern blackwater rivers and their importance to trophic transfer. Limnol. Oceanogr., 34, 163-177 

  26. Caron, D.A. and B.J. Finlay. 1994. Protozoan links in food webs. Prog. Protozool., 125-130 

  27. Caron, D.A., J.C. Goldman, O.K. Andersen, and M.R. Dennett. 1985. Nutrient cycling in a microflagellate food chain: II. Population dynamics and carbon cycling. Mar. Ecol. Prog. Ser., 24, 243-254 

  28. Cho, B.C., J.K. Choi, C.S. Chung, and G.H. Hong. 1994. Uncoupling of bacteria and phytoplankton during a spring diatom bloom in the mouth of the Yellow Sea. Mar. Ecol. Prog. Ser., 115, 181-190 

  29. Cho, B.C., J.H. Shim, and G.H. Hong. 1998.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in July 1997 in the vicinity of Tokdo, East Sea. J. Korean Soc. Oceanogr., 33, 205-211 

  30. Cho, B.C., S.C. Na, and D.H. Choi. 1998. Active ingestion of fluorescently labeled bacteria by mesopelagic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in the East Sea, Korea. Mar. Ecol. Prog. Ser., 206, 23-32 

  31. Choi, J.K., S.K. Kim, J.H. Noh, and K.C. Park. 1995. The study on the grazing rate of protozooplankton in the microbial food web of Inchon coastal waters. J. Korean Soc. Oceanogr., 30, 458-466 

  32. Choi, D.H., S.C. Na, Y.C. Park, S.H. Huh, and B.C. Cho. 1999. Chracteristics of microbial abundance in hypoxic water of brackish Lake Shiwa. J. Korean Soc. Oceanogr., 34, 236-240 

  33. Epply, R.W., S.G. Horrigan, J.A. Fuhrmana, E.R. Brooks, C.C. Price, and K. Sellner. 1981. Origi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outhern California coastal waters: Experiments on the role of zooplankton. Mar. Ecol. Prog. Ser., 6, 149-159 

  34. Fenchel, T. 1987. Ecology of protozoa: The biology of freeliving phagotrophic protists. Science Tech Publishers, Medison 

  35. Fenchel, T. and P.R. Larsson. 1988. The functional biology of Strombidium sulcatum, a marine oligotrich ciliate (Ciliophora, Oligotrichina). Mar. Ecol. Prog. Ser., 48, 1-15 

  36. Gasol, J.M. and D. Vaque. 1993. Lack of coupling between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and bacteria: A general phenomenon across aquatic system? Limnol. Oceanogr., 38, 657-665 

  37. Goldman, J.C., D.A. Caron, O.K. Anderson, and M.R. Dennett. 1985. Nutrient cycling in a microflagellate food chain: I. Nitrogen dynamics. Mar. Ecol. Prog. Ser., 24, 231-242 

  38. Han, M.-S., S.-W. Kim, and Y.-O. Kim. 1991. Influence of discontinuous layer o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Masan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 459-471 

  39. Jeong, H.J. 1988. An ecological study on marine tintinnids (ciliated protozoa; Order Tintinnida) in Cheonsu Bay, Korea. MsD Thesis, Seoul University. 60 p 

  40. Jeong, H.J. 1994. Predation effects of the calanoid copepod Acartia tonsa on a population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Protoperidinium cf. divergens in the presence of co-occurring red-tide dinoflagellate prey. Mar. Eco. Prog. Ser., 111, 87-97 

  41. Jeong, H.J., J.S. Kim, J.Y. Park, J.H. Kim, S. Kim, I. Lee, S.H. Lee, J.H. Ha, and W.H. Yih. 2005. Stoeckeria algicida n. gen., n. sp. (Dinophyceae) from the coastal waters off Southern Korea: Morphology and small subunit ribosomal DNA gene sequence. J. Eukaryot. Microbiol., 52, 382-390 

  42. Jeong, H.J., J.S. Kim, S. Kim, J.Y. Song, I. Lee, and G.-H. Lee. 2004. Strombidinopsis jeokjo n. sp. (Ciliophora: Choreotrichida) from the coastal waters off western Korea: morphology and small subunit ribosomal DNA gene sequence. J. Eukaryot. Microbiol., 51, 451-455 

  43. Jeong, H.J., C.W. Lee, W.H. Yih, and J.S. Kim. 1997. Fragilidium cf. mexicanum, a thecate mixotrophic dinoflagellate which is prey for and a predator on cooccuring thecat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Protoperidinium cf. divergens. Mar. Ecol. Prog. Ser., 151, 299-305 

  44. Kim, J.S. and H.J. Jeong. 2004. Feeding by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Gyrodinium dominans and G. spirale on the red-tide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nimum. Mar. Ecol. Prog. Ser., 280, 85-94 

  45. Landry, M.R. and A. Clavet. 2004. Microzooplankton production in the oceans. ICES J. Mar. Sci., 61, 501-507 

  46. Landry, M.R. and R.P. Hassett. 1982. Estimating the grazing impact of marine micro-zooplankton. Mar. Biol., 67, 283-288 

  47. Latz, M.I. and H.J. Jeong. 1996. Effects of red tide dinoflagellate diet and cannibalism on the bioluminescence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s Protoperidinium spp. Mar. Ecol. Prog. Ser., 132, 275-285 

  48. Laybourn-Parry, J. and J. Parry. 2000. Flagellates and the microbial loop. p. 216-239. In: The flagellates: Unity, diversity and evolution. ed. by B.S.C. Leadbeater and J.C. Green. Taylor & Francis, London and New York 

  49. Lee, J.-B. and K.-I. Yoo. 1990. Dynamics and seasonal succession of dinoflagellate community in Masan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25, 106-116 

  50. Lee, J.-B. and K.-I. Yoo. 1991.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Masan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26, 304-312 

  51. Lee, W.J. 2002. Some free-living heterotrophic flagellates from marine sediments of Inchon and Ganghwa Island, Korea. Korean J. Biol. Sci., 6, 125-143 

  52. Lee, W.J. and J.K. Choi. 2000. The role of heterotrophic protists in the planktonic community of Kyeonggi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35, 46-55 

  53. Lee, W.J. and D.J. Patterson. 2002. Abundance and biomass of heterotrophic flagellates,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sediments of Botany Bay. Microb. Ecol., 43, 467-481 

  54. Lee, W.J, N.J. Park, and J.K. Choi. 2002. Abundance of heterotrophic- and photosynthetic dinoflagellates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abundance in Korean coastal waters during summer 1994. J. Korean Soc. Oceanogr., 37, 201-211 

  55. Lee, W.J., K. Shin, P.G. Jang, M.-C. Jang, M. Chang, and N.J. Park. 2005. Summer pattern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at a station in Jangmok Bay. Ocean Sci. J., 40, 109-117 

  56. Lei, Y., J.K. Choi, K. Xu, and W. Petz. 2005a. Morphology and infraciliature of three species of Metaurostylopsis (Ciliophora, Stichotrichia): M. songi n. sp., M. salina n. sp., and M. marina (Kahl 1932) from sediments, saline ponds, and coastal waters. J. Eukar. Microbiol., 52, 1-10 

  57. Lei, Y., K. Xu, and J.K. Choi. 2005b. Holosticha hamulata n. sp. and Holosticha heterofoissneri Hu and Song, 2001, two urostylid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from intertidal sediments of the Yellow Sea. J. Eukar. Microbiol., 52, 310-318 

  58. Park, J.S. and B.C. Cho. 2002. Active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in the hypoxic water-column of the eutrophic Masan Bay, Korea. Mar. Ecol. Prog. Ser., 230, 35-45 

  59.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gamon Press, Oxford 

  60. Pomeroy, L.R. 1974. The ocean's food web, a changing paradigm. BioScience, 24, 499-504 

  61. Porter, K.G., E.B. Sherr, B.F. Sherr, M. Pace, and R.W. Sanders. 1985. Protozoa in planktonic food webs. J. Protozool., 32, 409-415 

  62. Sanders, R.W., D.A. Caron, and U.-G. Berninger. 1992. Relationships between bacteria and heterotrophic nanoplankton in marine and fresh waters: An inter-ecosystem comparison. Mar. Ecol. Prog. Ser., 86, 1-14 

  63. Sherr, B.F. and E.B. Sherr. 1984. Role of heterotrophic protozoa in carbon and energy flow in aquatic ecosystems. p. 412-423. In: Current Perspective in Microbial Ecology. ed. by M.J. Klug and C.A. Redd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64. Sherr, E.B. and B.F. Sherr. 1988. Role of microbes in pelagic food webs: A revised concepy. Limnol. Oceanogr., 33, 1225-1227 

  65. Sherr, B.F., E.B. Sherr, and R.D. Fallon. 1987. Use of monodispersed, fluorescently labeled bacteria to estimate in situ protozoan bacterivory. Appl. Environ. Microbiol., 53, 958-965 

  66. Small, L.F., M.R. Landry, R.W. Eppley, F. Azam, and A.F. Carlucci. 1989. Role of plankton in the carbon and nitrogen budgets of Santa Monica Basin California. Mar. Ecol. Prog. Ser., 56, 57-74 

  67. Stoecker, D.K. and N.K. Sanders. 1985. Differential grazing by Acartia tonsa on a dinoflagellate and a tintinnid. J. Plankt. Res., 7, 85-100 

  68. Stout, J.D. 1980. The role of protozoa in nutrient cycling and energy flow. p. 1-50. In: Advances in microbial ecology. ed. by K.C. Maeshall. Plenum Press, New York 

  69. Yoo, K.I., D.Y. Kim, and Y.O. Kim. 1988. Taxonomical studies on tintinnids (Protozoa: Ciliata) in Korean coastal waters. 1. Chinhae Bay. Korean J. Syst. Zool., 4, 67-90 

  70. Yoo, K.I. and Y.O. Kim. 1990. Taxonomical studies on tintinnids (Protozoa: Ciliata) in Korean coastal waters 2. Yongil Bay. Korean J. Syst. Zool., 6, 87-122 

  71. Yoo, K. and J.B. Lee. 1987. On the trophic correlation between tintinnids and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20, 230-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