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폐활량 검사는 간단하고 저렴한 폐질환의 선별 검사방법으로 흡연자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폐질환의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로 권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간단하고 저렴한 탁상용 폐활량 기기들이 공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기장애 소견을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탁상용 폐활량기와 병원 폐기능 검사실의 폐활량기의 폐활량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그 일치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탁상용 폐활량기의 임상환경에서의 정확성과 두 기기간의 임상적 상호 대체 허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경희의료원 건강검진 센터에서 HI-801기로 폐활량검사를 시행한 사람들 중 환기장애 소견을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실에서 Vmax spectra 22d 폐활량기로 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109명의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이 중 남자가 70명(64.2%)이었다. HI-801 기와 Vmax spectra 22d기로 측정한 폐활량 값들은 각각 FVC($3.03{\pm}0.62$ vs. $3.38{\pm}0.67L$), $FEV_1$($2.44{\pm}0.57$ vs. $2.61{\pm}0.58L$), PEFR($5.83{\pm}2.01$ vs. $7.70{\pm}2.11L/s$), FET($5.12{\pm}1.71$ vs. $6.68{\pm}1.11sec$), $FEF_{25%-75%}$($2.61{\pm}1.09$ vs. $2.48{\pm}1.08L/s$)였다. 두 기기간의 FVC, $FEV_1$, PEFR, $FEF_{25%-75%}$ 측정값의 상관 계수는 각각 r= 0.93, 0.94, 0.81, 0.84였으며, FVC, $FEV_1$은 Bland and Altman plot에서 95% 신뢰구간의 일치도 제한에서 각각 4%, 5% 만이 ${\pm}1.96SD$ 밖에 위치하였다. 결론: 탁상용 폐활량기인 HI-801 기는 병원 폐기능 검사실 Vmax spectra 22d 기와의 비교에서 높은 상관관계와 좋은 일치도를 보여, 탁상용 HI-801 기의 정확성을 알 수 있었으며, HI-801로 측정한 FVC, $FEV_1$ 값은 Vmax spectra 22d 기의 측정값을 임상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 national health care initiative recommends routine spirometry screening of all smokers over age 45 or patients with respiratory symptoms. In response to the recommendation, new, simple, and inexpensive desktop spirometer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widespread spirometric screening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도 다양한 탁상용 폐활량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임상환경에서의 그 정확성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기관에서는 HI-801 폐활량 기를 검진센터에서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미 검증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폐기능 검사실의 폐활량기와그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두 기기간의 일치도를 통해 정확도를 알아보고 임상적 대체 허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정된 FVC, FEV1, PEFR 값의 평균은 Vmax spectra 22d 기에서 좀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그 차이가 적었으며, FEV1/FVC, FEF25%-75%는 Vmax spectra 22d 기기 에서 더 낮게 측정되었으나 그 차이가 적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별검진에 이용되는 탁상용 폐 활량기의 임상환경에서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탁상용 폐활량기로 시행한 폐활량 검사에서 환기장애 소견을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실 폐활량기로 반복측정을 시행하여 두 기기간의 폐활량 측정값을 비교하여 일치도를 알아보고, 탁상용 폐활량기의 정확성과 임상적 대체 허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erguson GT, Enright PL, Buist AS, Higgins MW. Office spirometry for lung health assessment in adults: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National Lung Health Education Program. Chest 2000;117:1146-61 

  2.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Available from: http://www. who.int/whr/2002 

  3. Wise RA, Kanner RE, Lindgren P, et al. Connett JE, Altose MD, Enright PL, et al. The effect of smoking intervention and an inhaled bronchodilator on airways reactivity in COPD: the Lung Health Study. Chest 2003;124:449-58 

  4. Anthonisen NR, Connett JE, Kiley JP, Altose MD, Bailey WC, Buist AS, et al. Effects of smoking intervention and the use of an inhaled anticholinergic bronchodilator on the rate of decline of $FEV_1$ . JAMA 1994;272:1497-505 

  5. Miller MR, Hankinson J, Brusasco V, Burgos F, Casaburi R, Coates A, et al.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Eur Respir J 2005;26:319-38 

  6. American Thoracic Society. Standardization of spirometry, 1994 updat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2:1107-36 

  7. Korhonen H, Remes ST, Kannisto S, Hand-held turbine spirometer: agreement with the conventional spirometer at baseline and after exercise. Pediatr Allergy Immunol 2005;16:254-7 

  8. Maree DM, Videler EA, Hallauer M, Pieper CH, Bolliger CT. Comparison of a new desktop spirometer (Diagnosa) with a laboratory spirometer. Respiration 2001;68:400-4 

  9. Swart F, Schuurmans MM, Heydenreich JC, Pieper CH, Bolliger CT. Comparison of a new desktop spirometer (Spirospec) with a laboratory spirometer in a respiratory out-patient clinic. Respir Care 2003;48:591-5 

  10. Rebuck DA, Hanania NA, D'Urzo AD, Chapman KR. The accuracy of a handheld portable spirometer. Chest 1996;109:152-7 

  11. HI-801 $^{\circledR}$ Operator's Manual. Version 2.7. Tokyo, Japan: CHEST M.I., Inc; 2004 

  12. Vmax $^{\circledR}$ Operator's Manual. Yorba Linda, CA: Sensor Medics Corporation; 2003 

  13. Bland JM, Altman DG.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een two methods of clinical measurement. Lancet 1986;1:307-10 

  14. Schoh RJ, Fero LJ, Shapiro H, Aslor JP, Kaelin OJ, Rollins DR, Petty TL. Performance of a new screening spirometer at a community health fair. Respir Care 2002;47:1150-7 

  15. Robert ED, Katherine LV, Jennifer C, Shawn DA. Spirometry in primary care setting: Influence on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irflow obstruction. Chest 2005;128:2443-7 

  16. Izbicki G, Abboud S, Jordan P, Perruchoud AP, Bolliger CT. A comparison of a new transtelephonic portable spirometer with a laboratory spirometer. Eur Respir J 1999;14:209-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