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컷 설치류에서의 생식 노화
Reproductive Aging in Female Rodents 원문보기

발생과 생식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v.11 no.1, 2007년, pp.13 - 20  

이성호 (상명대학교 생명과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암컷 포유동물의 노화 과정에서 생식계는 체내 여러 시스템 가운데 가장 먼저 기능 저하가 나타난다. 생식 노화(reproductive aging) 과정 중인 암컷 포유동물은 비록 종 특이성이 있지만 주기성(cyclicity)의 소실과 같은 생식 능력의 감소와 함께 여러 기능들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궁극적으로 인간의 폐경 현상과 같은 생식 능력 상실이 나타난다. 본 증설은 암컷 포유동물의 생식호르몬 축, 특히 신경내분비 회로의 노화에 대한 정보들과 노화 연구에 유용한 설치류 모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암컷 설치류의 중년(middle age, 생후 $8{\sim}12$개월)은 인간의 폐경기 진입 직전에 해당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시상하부 GnRH 분비의 맥동성과 급등(surge)이 현저히 지연되기 시작하고, 곧 이어 뇌하수체 LH 분비의 맥동성과 급등이 역시 약화 내지 지연된다. 노화와 관련된 GnRH-LH 신경내분비 활성의 결손은 시상하부 GnRH 뉴런의 활성을 조절하는 여러 자극(예, glutamate)들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러한 '시상하부 결손(hypothalamic defects)'이 생식 노화의 주된 요인임을 지지하지만, inhibin과 같은 난소 요인의 변화 역시 생식 노화의 유도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생식 노화를 연구함에 유용한 몇몇 설치류 모델이 있다; FSH 수용체 녹아웃(follitropin receptor knockout; FORKO) 생쥐 모델의 경우는 homozygous(null) 뿐만 아니라 heterozygous(haploinsufficient) 상태도 노화에 따른 난자/난포의 고갈을 나타낸다. Dioxin/aryl hydrocarbon 수용체 녹아웃 (AhRKO) 생쥐 모델도 유사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생식 노화의 기작에 관한 연구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들, 예를 들어 호르몬 보충요법(HRT)의 장단점을 평가하고 안전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ll female mammals, reproductive system is one of the first biological systems to show age-related decline. Female mammals in reproductive aging, though the phenomena is somewhat species-specific, start to show declining fertility and changes of numerous physiological functions. This review wi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생식 노화 과정과 관련된 시상하부 결함의 증거들로, 노화에 따른 GnRH-LH 신경내분비 축의 활성 감소, GnRH 뉴런을 자극의 신호들의 노화에 따른 감소 현상, sex steroid 신호에 의한 되먹임 조절변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생식 노화의 연구에 유용한 몇몇 생쥐 모델을 언급하고자 한다.
  • 즉, 주기성이 없는 상태(acyclicity)에서 점차주기성(cyclicity)을 갖게 되는 과정이 사춘기 개시이며, 반대로 주기성을 상실하는 과정이 생식 노화로, 두 과정의 기저에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축의 활성 변화가 자리잡고 있다는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식 노화 과정과 관련된 시상하부 결함의 증거들로, 노화에 따른 GnRH-LH 신경내분비 축의 활성 감소, GnRH 뉴런을 자극의 신호들의 노화에 따른 감소 현상, sex steroid 신호에 의한 되먹임 조절변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생식 노화의 연구에 유용한 몇몇 생쥐 모델을 언급하고자 한다.
  • 가장 확실히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노화에 따른 생식계의 구조 및 기능의 변화를 편의상 생식 노화(reproductive aging)라 칭하기로 하고, 설치류인 흰쥐와 생쥐를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정보들을 소개한다. 비록 종 특이성이 있지만 암컷 포유동물의 경우, 생식 노화 현상은 일반적으로 주기성(cyclicity)의 상실, 난자/난포의 고갈에 따른 생식력의 점진적인 감소, 난자 질의 저하, 자궁의 결함 그리고 신경내분비 축(neuroiendocrine axis) 활성의 변화가 동반된다(Gostoff & Mahesh, 1975; Faddy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