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신화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Disaster Mythology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7 no.4, 2007년, pp.31 - 39  

김만재 (강릉대학교 지역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난 신화란 "과학적으로 실시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잘못이라고 입증된, 재난 발생시 인간 행동에 관한 믿음"으로서, 이제까지 재난 연구자들은 무수한 재난 신화를 발견하였다. 49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공포, 약탈, 범죄, 대피, 무력감 등의 재난 신화에 대한 믿음이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약탈을 제외하고 공무원들은 일반인들보다는 재난 신화를 믿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은 공포와 대피 신화를 믿는 비율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노인층이 대피와 무력 신화, 20대와 30대는 약탈 신화를 믿는 퍼센트가 높게 나타났으며, 방재 관련 부서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공무원들이 그렇지 않은 공무원들보다 공포, 약탈, 범죄 신화에 관한 믿음이 낮을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재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재난 신화에 대한 연구가 선행 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aster mythology is "beliefs about human behavior in disaster that have been proven to be wrong through scientifically conducted research studies." Disaster researchers have discovered a series of disaster myths. The results of research survey based on 491 individuals confirm prior research re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재난 신화의 개념, 유형및 근원을 제시하고, 미국에서 이미 입증된 다섯 가지대표적 재난 신화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재난 발생시인간 행위에 대한 믿음을 분석한 후, 결론에서는 재난신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효과적인 재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조사된 연구에 기반하여재난 신화의 현황을 파악하려고 시도하였다. 미국에서는 지역사회 재난 교육 가이드에서도 재난 신화를 언급할 정도로 재난 신화는 보편적 개념으로 정착되었으나(American Red Cross, 1992), 우리나라에서는아직까지 생소한 편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재난 신화에 관한 기존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재난 신화의 현황과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응답자들이어떻게 재난 신화를 믿게 되었는가에 대해서는 별도의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가설 설정

  • 10. 역할 포기: 재난이 발생한 동안, 대부분의 재난관리자들은 식구들과 있기 위하여 일터를 떠날것이다.
  • 14. 위기 관리자로서의 군(軍) : 위기 관리자가 되기위한 가장 훌륭한 훈련은 군경험이다.
  • 2. 대피장소: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공 대피소로 피난한다.
  • 6. 전염: 재난이 발생하면, 공포와 비이성적 행동은전염된다. 한 사람이 극도의 공포에 압도되어 비명을 지르는 것 같은 비이성적 행동을 하면, 전집단이 히스테릭하게 된다.
  • 8. 심리적 의존: 대부분의 재난 희생자들은 너무나쇼크를 받아서 구조 요원에게 심리적으로 의존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릉시 (2006) 강릉시 2006년 통계연보 

  2. 강릉시 (2007) 자연재난의 행동 표준화 MANUAL 

  3. 권건주 (2007) 풍수해 발생시 기관별 역할 및 공조체제. 희망제작소 재난관리연구소 제3차 세미나. pp. 73-83 

  4. 권혜선 (2006) 재난보도의 연성화 경향 연구: 고베지진과 태풍 카트리나 국내보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5. 김만재 (2005) 자연재난 보도의 특성 분석: 태풍 루사의 사례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5권, 제3호, pp. 1-9 

  6. 이동호, 김성호 (2006) 엑셀을 활용한 현대통계학. 서울경제경영 

  7. 이영우 (2005) 침수지역 주민의 피난대응과 최적의 정보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삼척대학교 

  8. American Red Cross (1992) Community disaster education guide. American National Red Cross, Washington, D.C. 

  9. Barton, A.H. (1970) Communities in disaster. Anchor, New York 

  10. Cornwell, B., Harmon, W., Mason, M., Merz, B. and Lampe, M. (2001) Panic or Situational Constraints? The Case of the M/V Estonia.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19, No. 1, pp. 5-25 

  11. CNN. (2005) New Orleans Will Force Evacuations. September 7, 2005. (www.cnn.com/2005/US/09/06/katrina.impact/) 

  12. Drabek, T.E. (1986) Human system responses to disaster: an inventory of sociological findings. Springer, New York 

  13. Drabek, T.E. (1996) Social dimensions of disaster. FEMA instructor guide. FEMA Management Institute, Emmitsburg 

  14. Drabek, T.E. (2000) Pattern Differences in Disaster-Induced Employee Evacu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18, No. 2, pp. 289-315 

  15. Drabek, T.E., Tamminga, H.L., Kilijanek, T.S. and Adams, C.R. (1981) Managing multiorganizational emergency responses: emergent search and rescue networks in natural disasters and remote area settings.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Colorado 

  16. Dynes, R., Quarantelli, E.L. and Kreps, G.A. (1981) A perspective on disaster planning. Disaster Research Center,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io 

  17. Fischer, H.W.III. (1998) Response to disaster: fact versus fiction and its perpetuation-s ociology of disaster.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Lanham, Maryland 

  18. Fritz, C.E. and Marks, E.S. (1954) The NORC Studies of Human Behavior in Disaster. The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10, pp. 26-41 

  19. Goltz, J.D. (1984) Are the News Media Responsible for the Disaster Myths? A Content Analysis of Emergency Response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2, pp. 345-368 

  20. Peacock, W.G., Morrow, B.H. and Gladwin, H. (1997) Hurricane Andrew: ethnicity, gender and the sociology of disaster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1. Quarantelli, E.L. (1960) Images of Withdrawal Behavior in Disasters: Some Basic Misconceptions. Social Problems, Vol. 8, pp. 68-79 

  22. Quarantelli, E.L. (1985) Realities and Mythologies in Disaster Films. Communications II, pp. 31-44 

  23. Quarantelli, E.L. (1987) Disaster Studies: An Analysis of the Social historical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Research in the Area.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5, pp. 285-310 

  24. Quarantelli, E.L. (1994) Looting and antisocial behavior in disasters. Preliminary Paper #205. Disaster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Delaware 

  25. Quarantelli, E.L. and Dynes, R.R. (1972) Images of disaster behavior: myths and consequences. Working Paper #37. Disaster Research Center, The Ohio State University 

  26. Reckdahl, K. (2006) Do You Know What It Means to Myth New Orleans? Independent weekly, Aug 23 2006 

  27. Rottman, S.J. (2000) Individual and community disaster education course. FEMA instructor guide. FEMA Management Institute, Emmitsburg 

  28. Scanlon, T.J. (1988) Disaster's Little Known Pioneer: Canada's Samuel Henry Prince.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6, pp. 213-232 

  29. Schoch-Spana, M. (2005) Public Responses to Extreme Events: Top 5 Disaster Myths. Resources for the future first wednesday seminar. Homeland Security, the Environment, and the Public 

  30. Tierney, K.J., Bevc, C. and Kuligowski, E. (2006) Metaphors Matter: Disaster Myths, Media Frames and Their Consequences in Hurricane Katrina.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 604, No. 1, pp. 57-81 

  31. Wenger, D.E., Dykes, J.D., Sebok, T.D. and Neff, J.L. (1975) It' s a Matter of Myth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Individual Insight Into Disaster Response. Mass Emergencies, Vol. 1, pp. 33-46 

  32. Wenger, D.E. and Friedman, B. (1986) Local and National Media Coverage of Disaster: A Content Analysis of the Print Media's Treatment of Disaster Myths.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Vol. 4, pp. 27-5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