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량에 집적된 유송잡물의 배수영향에 의한 홍수피해 분석
Flood Damage Estimation causing Backwater due to the Blockage by Debris in the Bridge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7 no.4, 2007년, pp.59 - 66  

김수전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재학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  이종설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  김지태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은 하천의 배수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산지하천에 시공된 교량은 유송잡물에 의한 폐색으로 인하여 교량 직상류부에 홍수피해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교각에 집적되는 유송잡물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홍수피해 규모를 확인하고자 대상하천에 대한 HEC-RAS 모형과 HEC-GeoRAS 모형을 구축하여 모의하였다. 교각에 집적된 유송잡물에 의한 폐색이 하천의 범람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가정하여 범람 시나리오 별로 부정류 모의를 실시한 결과 월류지점 및 홍수용량을 산정하였고, 이에 따라 대략적인 범람예상구역을 작성하였다. 그러나 범람구역의 침수면적과 침수심에 대하여 실제 분석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수치지형도와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범람예상구역을 재설정하고 수치고도자료 내에서 월류용량과 동일 용량의 침수면적과 침수심을 갖는 범람구역을 재작성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홍수피해 규모를 산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ridge crossing river is the one of the major factors causing backwater level rising. Furthermore, the bridges in the mountainous areas increase the flood damage in the upstream of the bridge due to the blockage by debris.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debris to the magnitude of flood dam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량의 개도비는 유송잡물에 의한 폐색 또는 토석류에 의한 하상고의 증가가 원인이 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소규모 교량에 있어서 홍수피해의 대부분은 산지하천에 집중되어 있으며 유송잡물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교각에 집적되는 유송잡물의 영향으로 어떠한 규모의 침수피해가 예상되며, 이러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는 홍수에 대응한 교량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로 교량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량 자체의 파괴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교량 등 하천횡단구조물이 하천 홍수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이 유송잡물에 의한 폐색에 의하여 예상되는 피해규모를 확인하고자 교각의 개수에 따른 범람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남양주 별내지구의 지형자료와 유출해석 자료를 이용하여 HEC-RAS 모형과 HEC-GeoRAS 모형을 구축하였고, 범람시나리오별 부정류 모의를 통해 제방을 월류하는 월류용량을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그리고 각 교량에 대하여 교각의 개수를 1개씩 줄이면서 표 2와 같은 범람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교각의 개수에 따라 경간장을 조절하여 일정 경간장을 확보하도록 교각을 재배치하였고 교각의 직경은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교량 단면에서의 부유잡물은 호주의 사례를 이용하여 HEC-RAS 모형에서 그림 3과 같이 고려할 수 있다.
  • 여기에서 덕송천내의 교량에 유송잡물이 걸리는현상을 가정할 수 있는데 호주의 설계사례를 이용하여 유송잡물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유송잡물은 발생 근원지에서 가장 가까운 상류의 교량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때 하류의 교량은 상류의 교량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교량이 각각 유송잡물의 영향을 받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그리고 각 교량에 대하여 교각의 개수를 1개씩 줄이면서 표 2와 같은 범람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 2m라 가정하고있고 형상은 흐름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룬다고 하였다. 뉴질랜드의 설계사례에서는 유송잡물의 집적모양이 흐름방향에 직각으로 삼각형 단면을 나타내고 이 단면의 최대 폭은 인접교각사이 길이의 반으로 최대 15m에 이르며 수직으로는 수심의 절반 또는 최소 3m의 두께로 교각을 따라 아래로 뻗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설계에 이용되는 최대 추정치 이상의 유송잡물이 교각에 집적된다면 교량의 붕괴로 배수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설계에 사용되는 유송잡물의 최대 추정치가 교량에 집적될 수 있는 한계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유송잡물의 집적 형상은 HEC-RAS 모형에서 적용이 용이(유송잡물의 형상이 사각형)한 호주의 설계사례를 이용하였다.
  • 같은 교량이라면 경간장이 길수록, 즉 교각의 개수가 작을수록 유송잡물에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덕송천내의 교량에 유송잡물이 걸리는현상을 가정할 수 있는데 호주의 설계사례를 이용하여 유송잡물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유송잡물은 발생 근원지에서 가장 가까운 상류의 교량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때 하류의 교량은 상류의 교량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교량이 각각 유송잡물의 영향을 받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주황, 윤병만, 류권규, 고택조 (2006) 군교각에 의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256-1260 

  2. 김채승, 윤창진 (1999) 지리정보체계(GIS 실습). 대영사 

  3. 윤병만, 최계운 (2004) 도시하천 종횡단 및 복개구조물 등의 수리영향 분석,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 FFC03-03 

  4. 이종설, 정재학, 김수전, 이호열 (2007) 교량 및 암거의 수리영향 분석,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pp. 571-574 

  5. 이충성, 최승안, 심명필, 김형수 (2005) 홍수피해액 산정시 내수배제를 감안한 예상침수구역 설정 방안,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지, 대한토목학회, pp. 2426-2429 

  6. 전상미, 박재현, 이주형, 곽기석 (2006) 유송잡물 차단 및 교량세굴 저감을 위한 희생말뚝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지, 대한토목학회, pp. 327-330 

  7. 한국수자원학회 (2000) 제8회 수공학웍샵교재 

  8. 한국토지공사 (2006) 남양주 별내지구 택지개발사업 재해영향평가서 

  9. AASHTO (1998)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second edition 

  10. National Association of Australian State Road Authorities (1976) NAASRA bridge design specification : Sydney 

  11.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5) Flow Transitions in Bridge Backwater Analysis 

  12.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1998) HEC-RAS Hydraulic Reference Manual Version 2.2 

  13.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5) Hydraulic Design of Highway Culverts. Publication No. FHWA-NHI-01-0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