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주택의 출입구 및 이동공간의 디자인 기준에 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Design Guidelines for Entrance, Corridor and Stairway of the Elderly Housing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8 no.5, 2007년, pp.45 - 52  

이지숙 (국립 군산대학교 주거 및 실내계획)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ographic profile of the households will shift towards the 'older elderly'. There are need upgrading existing housing and new housing in aspect of floor plan, accessories, facilities and so on.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the policy and standards of housing design for the aged and disabl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택의 특성상 한번 시공되고 나면, 개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노인주거디자인에 관련된 기준들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관련 기준들이 혼돈 없이 설계단계에서부터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기준을 분석하고 이것을 외국의 기준과 비교분석 고자 한다.
  • 증가하는 노인가구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구의 복지 선진국들은 재가복지로 방향을 전환해 왔다. 그래서 노인주거문제를 노인거주시설보다 노인 용 주택의 신축이나 일반주택의 개조 차원에서 해결하려고 한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 매우 빠른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노인들을 모두 시설에 수용하기에 많은 현실적인 문제가 수반되고 있다.
  • 다수 제정하였다. 이들 기준들과 외국의 지침들을 비교하면서 노인주택 디자인에 대한 기준들 간의 차이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공간은 실내외 공간을 연결하면서, 이동할 때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는 이동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0 cm 이하가 되도록 하고, 계단코가 없으며, 채색 등으로 디딤판과 챌판이 구별되게 하고, 계단코에 미끄럼 방지재를 설치하되 디딤판 및 챌판의 면을 일치시켜 발이 걸리지 않게 할 것을 지정하였다. 조명은 골고루 밝게할 수 있도록 채광창을 이용하거나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계단의 시작과 끝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핸드레일은 계단 양쪽에 모두 설치하는 것이 좋고, 디딤판과 챌판의 모서리가 명확히 구분되도록 조명을 하거나 색채구분을 하는 것이 좋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교부 주거환경팀(2006), 고령자를 위한 공동주택 신축기준(안) 

  2. 건교부택지개발팀(2006), 고령자용 국민 임대주택 시설기준 

  3. 건교부(2006), 주택성능등급 인정 및 관리기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4-14호 

  4.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2004), 고령사회에 대비한 주거 환경 개선방안, 보건복지부 

  5. 권오정(1997),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조절에 관한 연구-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17(1), 1-17 

  6. 권혁삼.최은희.박준영(2006), 고령자를 고려한 공동주택 관련 법규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주택도시, 91호, pp. 1-12 

  7. 김영주.권오정.박남희(2006), 노인가구의 자립생활증진을 위한 주택개조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노인가구의 주택개조실태와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4(6), 79-93 

  8. 대한인간공학회(2004),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보고서(2차년도 최종보고서) 

  9. 유재우 외(2006), 장애인 인체치수 및 동작패턴 측정조사 사업보고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10. 정경희.오영희.석재은.도세록.김찬우.이윤경.김희경(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정책 보고서 2005-0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통계청(2005), 2006 한국의 사회지표 

  12. 한국표준협회(2003), 휠체어-최대전체치수 KSPISO 7193:2003, Online Available: http://www.standard.go.kr/code02/user/0B/03/SerKS-View.asp 

  13. KS기준(2006), KSP1509 고령자 배려 주거시설 설계치수 원칙 및 기준 PI509:2006 

  14. ANSI (1980), ANSI AI17.1-Specifications for Making Buildings and Facilities Accessible to and Usable by the Physically Handicapped, New York,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Inc., 1980 

  15. Raschko, B. B. (1991), Housing interiors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New York: VNR 

  16. United States ATBCB (1991), ufas2-retrofit manual: Unifrom Federal Accessibility Standards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