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영양성분으로 EPA와 DHA 와 같은 오메가 3 고도 불포화지방산, 타우린 및 유리 필수 아미노산, 그리고 카로테노이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생리학적 기능성이 풍부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이용하여 술을 제조한 후, 품질을 평가하였다. 미더덕은 전체, 껍질, 살 부분으로 부위를 나누고, 오만둥이는 전체를 이용하여 각각 10, 20, 50 g을 알콜 함량 30%의 시판 과실주용 소주 250 mL에 첨가하여 4달간 숙성한 후 주정도, DPPH 라디칼 소거능, 색도측정,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제조한 각 술의 알콜 함량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오만둥이보다 미더덕이 조금 더 활성이 좋았으며, 미더덕의 부위별로는 살 부분이 가장 좋았다. 술의 색도는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는 경향,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서 미더덕, 오만둥이 술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Stycla claca (SC, miduduk in Korean) and Stycla plicata (SP, omangdungi in Korean) have been consumed as one of the most tasty seafood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Liquors were prepared by soaking SC (whole, tunic, or flesh part) and SP (whole) in soju (alcohol content 30%) for 4 month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lcohol contents of the liquor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SC and SP. Antioxidant activities revealed by a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at SC, especially flesh part, exhibited higher activity than SP in the liquors. Increasing the amount of SC and SP in liquors tended to decrease lightness and redness while increasing yellowness. In a sensory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iquors.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