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지역 대기 중 초미세먼지(PM$_{2.5}$)의 오염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of Pohang Area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0 no.3, 2008년, pp.302 - 313  

백성옥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허윤경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박영화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항지역 대기 중 PM$_{2.5}$의 물리 화학적 성분들의 농도분포특성을 파악하여 PM$_{2.5}$에 대한 배출원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PM$_{2.5}$농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료채취지점은 포항지역 내의 대조적인 두 지점인 공업지역과 주거지역에서 각 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시료채취는 2003년 3월부터 12월에 걸쳐서 계절별 10$\sim$15일 동안 고용량공기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24시간 연속 채취였다. PM$_{2.5}$ 시료에 함유된 화학성분들은 산추출하여 ICP와 이온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PM$_{2.5}$의 전체평균은 공업지역이 36.6 $\mu$g/m$^3$, 주거지역에서 30.6 $\mu$g/m$^3$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두 지점 모두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다음으로 겨울철, 가을철, 여름철의 순으로 나타났다. 두 측정지점에서 PM$_{2.5}$ 중 가장 많이 함유된 화학성분들은 이차생성입자를 형성하는 성분인 NO$_3^-$, SO$_4^{2-}$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농도는 공업지역에서 4.2 및 8.6 $\mu$g/m$^3$, 주거지역에서 3.7 및 6.9 $\mu$g/m$^3$로 나타났다. 반면, 공업지역에서는 Fe, Mn, Cr 등의 금속성분 농도가 주거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나 공업지역이 철강산업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항지역 대기 중 PM$_{2.5}$의 농도 변동에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업지역과 주거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도로 비산먼지와 이차생성입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변동이 전체 PM$_{2.5}$ 농도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항지역 PM$_{2.5}$에 대한 주요 발생원의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MB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공업지역의 경우 기여도가 큰 발생원은 토사 및 도로상의 비산먼지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이차생성입자, 자동차, 해염입자, 금속산업의 순을 보였으며 주거지역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국내에서 측정된 먼지시료를 대상으로 CMB 모델링 수행 시 그 적용한계성과 문제점 등을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fine particles, so called PM$_{2.5}$, to identify the affecting sources, and to estimate quantitatively the source contributions of PM$_{2.5}$. Ambient air sampling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two sit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PM2.5에 함유된 각종 화학성분을 추출·분석자료와 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PM2.5의 농도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를 해석하여 포항 지역의 PM2.5의 특성을 발생원과 연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M2.5 시료에서 추출 분석된 각종 화학성 분의 농도를 공시험에 의한 filter blank값들에 대하여 각각 보정하였다. 또, 화학성분의 추출법에 의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공급하는 대기 부유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의 표준참조물질(Standard Reference Material)인 SRM 1648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역 PM2.5의 계절적, 지역적 농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4계절에 걸쳐 주변 환경이 대조적인 공업지역과 주거지역을 대변할 수 있는 두 지점을 선정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공업지역으로는 포항 철강산업단지 특성을 대표하는 대송면 제내리(대송초등학교)를, 주거지역은 두호동(농업인 회관)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포항지역의 대기환경 중 PM2.5에 대한 오염도 측정과 지역적, 계절별로 PM2.5의 물리·화학적 성분의 분석을 통하여 PM2.5의 오염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5의 특성을 발생원과 연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PM2.5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각종 평가 및 해석을 근거로 포항지역의 PM2.5 특성을 평가하여 인근 주요 배출원에 대한 향후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각종 화학종과 오염원 분류표 선택을 시행착오 방식으로 다양한 조합을 구성하여 반복적으로 시도하였으며, 시료에 대한 배출원 기여도 계산 결과가 수렴되지 않을 경우 수렴반복횟수를 늘려 모델링을 시도하였다.20) 분석 항목의 농도에 대한 측정불확도는 분석시의 기본적 오차인 10%를 가정하여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두 측정지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6개 주요 발생원의 PM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산염이나 질산염과 같은 입자상 물질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이러한 대기 중의 입자상 물질들은 다양한 발생원으로부터 배출되고 있는데 이를 대별하면 토사의 재비산이나 해염입자 등의 자연적 발생원과 산업활동, 자동차, 난방용 연료 사용 등과 같은 인위적 발생원으로 구분할수 있다. 이외에도 황산염이나 질산염과 같은 입자상 물질은 이미 배출된 가스상 물질로부터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통하여 이차적으로 생성되기도 한다.1) 따라서 어느 임의의 지역에서 유발되고 있는 입자상 물질로 인한 대기오염의 원인과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관리 대책의 수립및 배출원 규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오염원에 대한 정량 정성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들 각 발생원이 어느 정도 오염도에 기여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대기 중의 입자상 물질을 배출하는 발생원은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이 중에서 오존오염은 수도권지역이 특히 심하며, 하절기에만 발생한다는 시 · 공간적인 제한성이 있는 반면에 미세먼지 문제는 전국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특정된 계절에 관계없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더욱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 중의 입자상 물질들은 다양한 발생원으로부터 배출되고 있는데 이를 대별하면 토사의 재비산이나 해염입자 등의 자연적 발생원과 산업활동, 자동차, 난방용 연료 사용 등과 같은 인위적 발생원으로 구분할수 있다. 이외에도 황산염이나 질산염과 같은 입자상 물질은 이미 배출된 가스상 물질로부터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통하여 이차적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U.K.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Expert Panel on Air Quality Standards : Particles," United Kingdom of HMSO, London(1995) 

  2. 황인조, 김동술, "PMF 모델을 이용한 대기 중 PM-10 오염원의 확인,"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6), 701-717(2003) 

  3. 신은상, 최민규, 선우 영, 정용삼, "서울지역의 $PM_{10}$ 중 미량원소의 특성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5), 363-372(2002) 

  4. 최민규, 여현구, 임종억, 조기철, 김희강, "강화에서의 $PM_{2.5}$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6), 573-583(2000) 

  5.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ir Quality Criteria for Particulate Matter, Volume I," EPA Report No.600/P_99/002aF, Research Triangle Park, NC(2004) 

  6. Haper, S. L., Walling, J. F., Holland, D. M., and Pranger, L. J., "Simplex optimization of multi-element ultrasonic extrac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s," Anal. Chem., 55(9), 1553-1557(1983) 

  7. 최진수, 전찬준, 백성옥, "구미지역 대기 중 부유분진 농도측정 및 발생원별 기여도 추정," 대한환경공학회지, 20(4), 519-532(1998) 

  8. 유수영, 최금찬, 김기현, "ICP-MS와 AAS를 이용한 대기 입자상 표준물질(SRM 1648)금속성분의 정량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4), 423-430(2005) 

  9. 국립환경과학원, "시화반월지역 유해대기오염물질 조사연구," 국립환경과학원 연구보고서, p. 416(2006) 

  10. 나광삼, 김용표, 진현철, 문길주, "울산 대기 중의 입자상, 기체상 물질의 수용성 이온 성분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4(4), 281-292(1998) 

  11. 기상청 황사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yellow.metri.re.kr(2003) 

  12. Chow, J. C., "Measurement methods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for suspended particles," JAWMA, 45(5), 320-382(1995) 

  13. Harrison, R. M., Deacon, A. R., and Jones, M. R., 'Sources and processes affecting concentrations of $PM_{10}$ and $PM_{2.5}$ particulate matter in Birmingham,' Atmos. Environ., 31(24), 4103-4117(1998) 

  14. Zhuang, H., Chan, C., Fang, M., and Wexler, A. S., "Size distributions of particulate sulfate, nitrate, ammonium at a coastal site in Hong Kong," Atmos. Environ., 33, 43-853(1999) 

  15. 한진석, 김영성, 문광주, 안준영, 김정은, 류정윤, 김영준, 공부주, 이석조, "2001년 11월 오염시기와 2002년 봄황사시기 제주도 고산에서의 미량원소 농도 변화,"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2), 143-151(2004) 

  16. 정용삼, 문종화, 김선하, 박광원, 강상훈, 조승연, "중성자 방사화분석법과 Gent SFU 샘플러를 이용한 도시와 농촌 지역의 대기분진 관측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5), 453-467(2000) 

  17. 영남대학교 부설 환경문제연구소, "포항지역 대기환경대책 수립을 위한 입자상물질 발생원 조사 연구," 대구지방환경청보고서, pp. 87-89(1990) 

  18. 백성옥, 황승만, "주성분/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대구지역 대기중 부유분진의 발생원별 특성평가,"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3), 179-190(1992) 

  1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ome page, http://www.epa.gov/scram001(2003) 

  20. 김미현, "대기환경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분포 특성과 영향인자,"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110-111(2004) 

  21. 황인조, 김태오, 김동술, "PMF 방법론을 이용한 수원지역 PM-10의 오염원 확인,"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7(2), 133-145(2001) 

  22. Park, S. S., Bae, M. S., and Kim, Y. J.,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particles in the Sihwa area, Korea," JAWMA, 51, 393-405(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