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불소함유 접착필름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
PREVENTIVE EFFECT OF FLUORIDE-CONTAINING ADHESIVE FILM MADE BY NANO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5 no.4, 2008년, pp.662 - 670  

박덕용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치아 우식증 예방효과를 기존의 전문가 불소 도포 제재인 APF gel 및 불소 바니쉬와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소의 법랑질 시편에 APF gel(60 seconds taste$^{(R)}$, 1.23% APF, PASCAL, USA)과 불소 바니쉬(CavityShield$^{TM}$, 5% sodium fluoride, Ominii Pharmaceuticals, USA), 그리고 최근 개 발된 3% 불소 함유 필름, 5% 불소 함유 필름 시제품을 도포한 후 인공 우식을 유발시켜 표면미세경도와 병소깊이를 측정하 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표면미세경도의 차이는 II군, IV군, III군, I군의 순으로 컸으며, I군은 II군, III군, IV군에 비해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나, II군, III군, IV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병소 깊이의 차이는 II군이 가장 컸으며(P<0.05), I군이 가장 작았다(P<0.05). III군과 IV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새로 개발된 불소 전달 시스템인 불소 함유 필름은 불소 젤보다 치아 우식증 예방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소 바니쉬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luoride containing adhesive film on prevention of enamel demineralization. Eighty bovine enamel blocks were divided randomly into 4 groups of 25: (1) APF gel applied ; (2) CavityShield$^{TM}$ applied; (3) 3% fluoride fil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불소와 gelatin의 혼합물을 첨가한 고분자 제재인 methylcellulose를 이용하여 얇은 접착성 필름을 만든 후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불소함유 필름은 무색, 무취, 무미의 생체친화적 제재로 치아에 접착력이 좋으며 오랫동안 유지되어 불소의 방출이 오랜 기간 동안 서서히 이루어지므로 타 제제에 비해 치아우식예방효과가 우수할 것이라는 점을 가설로 설정하고 기존의 불소도포 제재인 APF gel, 불소 바니쉬 등과 비교하여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불소와 gelatin의 혼합물을 첨가한 고분자 제재인 methylcellulose를 이용하여 얇은 접착성 필름을 만든 후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불소함유 필름은 무색, 무취, 무미의 생체친화적 제재로 치아에 접착력이 좋으며 오랫동안 유지되어 불소의 방출이 오랜 기간 동안 서서히 이루어지므로 타 제제에 비해 치아우식예방효과가 우수할 것이라는 점을 가설로 설정하고 기존의 불소도포 제재인 APF gel, 불소 바니쉬 등과 비교하여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실험실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필름 형태의 새로운 불소 delivery system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치아 우식증 예방효과를 기존의 전문가 불소 도포 제재인 APF gel 및 불소 바니쉬와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소의 법랑질 시편에 APF gel(60 seconds tast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소를 이용한 우식 예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금까지 알려진 불소의 우식 예방효과는 탈회에 대한 치아구조의 저항성 증가, 재광화 과정의 촉진, 미생물의 효소 작용 억제, 고농도의 불소에 의한 불화칼슘의 침착 등으로 보고되어 있다1,2). 이런 불소를 이용한 우식 예방법에는 불화된 상수도수를 섭취하는 방법과 불소 보조제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불소 치약, 불소 양치액, 전문가 불소 도포법 등이 있다3). 이 중 전문가 불소 도포법은 도포방법과 과정이 정확하고, 고농도의 불소를 우식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게 선별적으로 적용하므로 다른 방법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도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치아 우식은 어떻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가? 치아 우식은 섭취한 음식물에 존재하는 탄수화물이 치태 내의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유기산이 형성되고, 생성된 유기산이 치아 경조직의 무기질을 탈회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소아 및 청소년의 경우, 성인에 비해 우식 유발율이 높은 음식을 자주 섭취하고 있고, 구강위생능력도 떨어져 우식 이환율이 높으며, 한번 발생한 초기 우식병소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APF gel을 이용한 전문가 불소 도포법은 어떤 단점을 지니고 있는가? 3%로 알려져 있어 임상에서 널리 쓰이며, 적용법은 보통 트레이 속에 APF gel을 담아 4분 정도 구강 내에 적용한다. 그러나 국소 도포시 트레이의 구강내 조작성이 어려우며, 인공 감미료를 첨가 하였다고 하나 신맛이 나며, 과도한 양의 불소를 섭취 할 수 있어 전신적 독성 가능성이 있고, 복합레진 수복물의 표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orowitz HS, Heifetz SB : The current status of topical fluorides in preventive dentistry. J Am Assoc, 81: 166-177, 1970. 

  2. Kirkegaard E : In vitro fluoride uptake in human dental enamel from various fluoride solutions. Caries Res, 11: 16-23, 1997. 

  3. 대한소아치과학회 : 소아.청소년 치과학. 신흥인터내셔널, 서울, 99-108, 1999. 

  4. Whitford GM : The physiological and toxi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uoride. J Dent Res, 69:539-549, 1990. 

  5. Beltran-Aguilar ED, Goldstein JW, Lockwood SA : Fluoride varnishes. A review of their clinical use, cariostatic mechanism, efficacy and safety. JADA, 131: 589-596, 2000. 

  6. Toumba KJ, Curzon MEJ : A clinical trial of a slowreleasing fluoride device in children. Caries Res, 39:195-200, 2005. 

  7. Gabre P, Ellefesen B, Birkhed D : Oral retention of fluoride from a mucosa adhesive paste( $Orabase^{TM}$ ) supplemented with NaF-a pilot study. Oral Health Prev Dent, 3:159-163, 2005. 

  8. Wu H, Zhang ZX, Xhao HP : Preparation of sodium fluoride-loaded gelatin microspheres, characterization and cariostatic studies. J Microencapsul, 21:889-903, 2004. 

  9. 최후균, 이용복, 사홍기 등: 신기술 의약품 개발. 도서출판신일상사, 서울, 135-151, 2002. 

  10. 송태희, 김철재 : 칼슘을 첨가한 셀룰로우스 식용필름의 이화학적 특성.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99-105, 1999. 

  11. Birkeland JM : The effect of pH and the interaction of fluoride and saliva ions. Caries Res, 7:11-18, 1973. 

  12. Ten Cate JM : Review on fluoride, with special emphasis on calcium fluoride mechanisms in caries prevention. Eur J Oral Sci, 105:461-465, 1997. 

  13. Mellberg JR, Chomicki WG : Fluoride uptake by artificial caries lesions from fluoride dentifrices in vivo. J Dent Res, 62:540-542, 1983. 

  14. Fejerskov O, Thylstrup A, Larsen MJ : Rational use of fluorides in caries prevention. A concept based on possible cariostatic mechanisms. Acta Odontol Scnad, 39:241-249, 1981. 

  15. Larsen MJ, Jensen SJ : An X-ray diffraction and solubility study of equilibration of human enamelpowder suspensions in fluoride-containing buffer. Arch Oral Biol, 30:471-475, 1985. 

  16. Pinkham JR : Infancy through adolscence (2nd) , W.B.Saunders company, Philadelphia, 192-205, 1994. 

  17. 김종배, 최유진, 백대일 등 : 예방치과학. 고문사, 서울, 107-123, 1990. 

  18. Wei SH, Yiu CK : Evaluation of the use of topical fluoride gel. Caries Res, 27:29-34, 1993. 

  19. Kula K, Nelson S, Thomson V : In vitro effect of APF gel on three composite resins. J Dent Res, 62: 846-849, 1983. 

  20. Petersson L.G, Twetman S, Pahhonmov G.N : The efficiency of semiannual silane fluoride varnish applications: A two-year clinical study in preschool children. J Public Health Dent, 58: 57-60, 1998. 

  21. Holm AK : Effect of fluoride varnish (Duraphat) in preschool children. Community Dent Oral Epidermiol, 7:241-245, 1979. 

  22. Peyron M, Matsson L, Birkhed D : Progression of ap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and the effect of Duraphat treatment. Scand J Dent Res, 100:314-318, 1992. 

  23. Vaikuntam J : Fluoride varnishes : should we be using them? Pediatr Dent, 22:513-516, 2000. 

  24. Beltran-Aguilar ED, Goldstein JW, Lockwood SA. : Fluoride varnishes: a review of their clinical use, cariostatic mechanism, efficacy and safety. J Am Dent Assoc, 131: 589-596, 2000. 

  25. Mandel ID : Fluoride varnishes - A welcome addiction. J Public Health Dent, 54:67, 1994. 

  26. Hicks J, Wild T, Flaitz CM, et al. : Fluoride varnishes and caries development in primary tooth enamel: An in vitro study. ASDC J Dent Child, 68:304-310, 2001. 

  27. Berg J, Riedy CA, Tercero A : Patient and parental perception of new fluoride varnish. Compend Contin Educ Dent, 27:614-618, 2006. 

  28. Todd MA, Staley RN, Kanellis MJ, et al. : Effect of a fluoride varnish on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orthodontic bracke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6:159-167, 1999. 

  29. White DJ, Featherstone JD : A longitudianl microhardness analysis of fluoride dentifrice effects on lesion progression in vitro. Caries Res, 21:502-512, 1987. 

  30. Featherstone JD, Ten Cate JM, Shariati M, et al. : Comparison of artificial caries-like lesions by quntitative microradiography and microhardness profiles. Caries Res, 17:385-391, 1983. 

  31. 성권, 이재천, 김영재 : Fluoride varnish와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이 인공 우식병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세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1:212-222, 2004. 

  32. 설재헌, 오유향, 이난영 :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인접면 우식증의 진단.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1:236-246, 2004. 

  33. Gokalp S, Baseren M : Use of laser fluorescence in monitoring the durability and cariostatic effects of fluoride and chlorhexidine varnishes on occlusal caries: a clinical study. Quintenssence Int, 36:183-189, 2005. 

  34. Isaksson M, Bruze M, Bjorkner B, et al. : Contact allergy to Duraphat. Scan J Dent Res, 101:49-51, 1993. 

  35. 김광현, 한세현, 김종철 : Fluoride varnish와 aciduated phosphate gel이 인공우식 병소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8:159-165, 2001. 

  36. Retief D. H, Sorvas P. G, Bradley E. L, et al. : In vitro fluoride uptake, distribution and retention by human enamel after 1- and 24- hour application of various topical fluoride agents. J Dent Res, 59:573-582, 1980. 

  37. Featherstone J.D.B, Glena R, Shariati M, et al. : Dependence of in vitro demineralization of apatite and remineralization of dental enamel on fluoride concentration. J Dent Res, 69:620-625,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