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소형 전기장치에 의한 미세 전류가 치아이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lectrical current from a micro-electrical device on tooth movement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38 no.5, 2008년, pp.337 - 346  

김동환 (개원의) ,  박영국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학교실) ,  강승구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정치료 본질인 치아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기계적 힘외의 다른 자극원으로서 전기적 자극에 대한 효용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초소형 전기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이 교정적 치아이동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교정용 미니 스크류를 식립한 성인 여성 교정 환자 7명의 상악 견치 후방 견인 시 실험측에 150 gm의 기계적 교정력 외에 $20{\mu}A$의 직류 전류를 공급하는 초소형 전기 장치를 고안, 제작, 장착하여 견치의 근원심에 1일 5시간씩 4주간 전류 자극을 흘리고, 대조측에는 기계적 자극만을 가한 후, 매 주간 치아 이동량을 측정하여 치아이동에 있어서 전기자극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치아이동률에 있어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1, 2째주에서 33%, 3, 4째주에서 21,4% 증가된 치아이동을 보였다. 실험군의 평균 치아 이동량은 1, 2째주가 3, 4째주에 비하여 컸으며, 그 차이는 각각 47%, 24% 증가된 치아 이동량을 보였다. 실험을 통하여 미세 전류가 적용되어 치아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 임상적으로 실증되었다. 생물학적으로 최적의 치아이동을 계획하여 치료계획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은 기계적 교정력과 전기자극을 동시에 가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n exogenous electric current to the alveolar bone surrounding a tooth being orthodontically treated can enhance tooth movement in human and to verify the effect of electric currents on tooth movement in a clinical aspect. Methods: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해 증가된 골 개조 활성을 관찰하였다. 연구는 그 연장 선상에서 동일한 전기장치를 사용하여 실제 임상에서 이전 실험동물에서 시행되었던 전류 자극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하였다.
  • 이 연구는 그동안 실험 동물상에서 입증된 치아 이동에 미치는 미세전류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실증하는 데 있다. 성인 여성 환자 7명을 대상으로 상악견치 후방 견인 시에 실험군에는 150 gm의 기계적 자극 외에 20“ A의 전기적 자극을 간헐적으로 동시에 가하고, 대조군에는 기계적 자극만을 가한 뒤 매주 견치 후방 이동량을 측정하여 총 4주 동안의 상악 견치 후방 이동량을 계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umrind S. A reconsideration of the propriety of the "pressure-tension" hypothesis. Am J Orthod 1969;55:12-22 

  2. Mostafa YA, Weaks-Dybvig M, Osdoby P. Orchestration of tooth movement. Am J Orthod 1983;83:245-50 

  3. Fukada E, Yasuda I. On the piezoelectricity effect of bone. J Physiol Soc Japan 1957;12:1158-62 

  4. Bassett CA, Becker RO. Generation of electrical potentials by bone in response to mechanical stress. Science 1962;137: 1063-4 

  5. Bassett CA. Electrical effects in bone. Sci Am 1965;213:18-25 

  6. Brighton CT, Friedenberg ZB. Electrical stimulation and oxygen tension. Ann N Y Acad Sci 1974;238:314-20 

  7. Lavine LS, Shamos MH, Moss ML. The influence of electric current on bone regeneration in vivo. Acta Orthop Scand 1971;42:305-14 

  8. Jorgensen TE. The effect of electric current on the healing time of crural fractures. Acta Orthop Scand 1972;43:421-37 

  9. Masureik C, Ericksson C. Preliminary clinic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small electrical currents on the healing of jaw fractures. Clin Orthop Relat Res 1977;124:84-91 

  10. Brighton CT, Friedenberg ZB, Mitchell EI, Booth RE. Treatment of nonunion with constant direct current. Clin Orthop Relat Res 1977;124:106-23 

  11. Cochran GV, Pawluk RJ, Bassett CA. Stress generated electric potentials in the mandible and teeth. Arch Oral Biol 1967;12:917-20 

  12. Zengo AN, Pawluk RJ, Bassett CA. Stress-induced bioelectric potentials in the dentoalveolar complex. Am J Orthod 1973;64:17-27 

  13. Zengo AN, Bassett CA, Pawluk RJ, Prountzos G. In vivo bioelectric potentials in the dentoalveolar complex. Am J Orthod 1974;66:130-9 

  14. Kubota K, Yoshimura N, Yokota M, Fitzsimmons RJ, Wikesjo ME. Overview of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osteogenesis and alveolar bone. J Periodontol 1995;66:2-6 

  15. Jacobs JD, Norton LA. Electrical stimulation of osteogenesis in pathological osseous defects. J Periodontol 1976;47:311-9 

  16. Gerling JA, Sinclair PM, Roa RL. The effect of pulsating electromagnetic fields on condylar growth in guinea pigs. Am J Orthod 1985;87:211-23 

  17. Narkhede PR. A histologic evaluation of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osteogenic changes following placement of blade-vent implants in the mandible of rabbits. J Oral Implantol 1998;24:185-95 

  18. Davidovitch Z, Finkelson MD, Steigman S, Shanfeld JL, Montgomery PC, Korostoff E. Electric currents, bone remodeling,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I. The effect of electric currents on periodontal cyclic nucleotides. Am J Orthod 1980; 77:14-32 

  19. Davidovitch Z, Finkelson MD, Steigman S, Shanfeld JL, Montgomery PC, Korostoff E. Electric currents, bone remodeling,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II. Increase in rate of tooth movement and periodontal cyclic nucleotide levels by combined force and electric current. Am J Orthod 1980; 77:33-47 

  20. Davidovitch Z, Steigman S, Finkelson MD, Yost RW, Montgomery PC, Shanfeld JL, et al. Immunohistochemical evidence that electric currents increase periosteal cell cyclic nucleotide levels in feline alveolar bone in vivo. Arch Oral Biol 1980; 25:321-7 

  21. Davidovitch Z, Korostoff E, Finkelson MD, Yost RW, Montgomery PC, Steigman S, et al. Effect of electric currents on gingival cyclic nucleotides in vivo. J Periodontal Res 1980; 15:353-62 

  22. Hashimoto H. Effect of micro-pulsed electricity on experimental tooth movement. Nippon Kyosei Shika Gakkai Zasshi 1990;49:352-61 

  23. Park SJ, Lee YJ, Park YG. A study on the e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by the miniature electric device on the tooth movement and tissue remodeling. Korea J Orthod 2003;33:279-91 

  24. Shamos MH, Lavine LS. Piezoelectricity as a fundamental property of biological tissues. Nature 1967;213:267-9 

  25. Braden M, Bairstow AG, Beider I, Ritter BG. Electrical and piezoelectrical properties of dental hard tissues. Nature 1966;212:1565-66 

  26. Marino A, Gross BD. Piezoelectricity in cementum, dentin and bone. Archs Oral Biol 1989;34:507-9 

  27. Davidovitch Z, Shanfield JL. Cyclic AMP levels in alveolar bone of orthodontically-treated cats. Archs Oral Biol 1975;20: 567-74 

  28. Norton LA, Rodan GA, Bourret LA. Epiphyseal cartilage cAMP changes produced by electrical and mechanical pertubations. Clin Orthop Relat Res 1977;124:59-68 

  29. Spadaro JA. Electrically stimulated bone growth in animals and man.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Orthop Relat Res 1977;122:325-32 

  30. Beeson DC, Johnston LE, Wisotzky J. Effect of constant currents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the cat. J Dent Res 1975;54:251-4 

  31. Stark TM, Sinclair PM. Effect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7;91:91-104 

  32. Bassett CA, Pawluk RJ, Pilla AA. Acceleration of fracture repair by electromagnetic fields. A surgically noninvasive method. Ann N Y Acad Sci 1974;238:242-62 

  33. Friedenberg ZB, Roberts PG Jr, Didizian NH, Brighton CT. Stimulation of fracture healing by direct current in the rabbit fibula. J Bone Joint Surg Am 1971;53:14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