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 면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ndbar and Vegetation Area Altera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1 no.12, 2008년, pp.1163 - 1172  

박봉진 (한국수자원공사 댐.유역관리처 하천유역팀) ,  장창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이삼희 (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정관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댐 건설 전 후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의 면적변화, 변화지수, 변화정도와 경년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사주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전의 사주면적은 하천면적의 38 %이었으나, 댐 건설후에는 21 %로 17 %가 감소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9921{\sim}2.9528$ 이었다. 식생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전의 식생면적은 하천면적의 11 %이었으나, 댐 건설후에 24 %로 13 %가 증가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8908{\sim}12.0736$ 이었다.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의 사주와 식생의 경년변화를 분석한 결과, 사주면적은 연 $42,600m^2$씩 감소 하였으나 식생면적은 연 $51,700m^2$ 씩 증가하여, 사주면적의 감소 보다 식생면적의 증가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rea variation, index and degree of alteration, temporal variation of the sandbar and vegetation were analyzed using aerial photographs during the pre and post dam construc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Analysis result of the sandbar area was decreased 17 %. Sandbar area was 38 %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리나라는 하천의 사주와 식생 변화에 관한 조사와 연구가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양강댐 등 21개 댐을 대상으로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의 면적변화, 변화지수, 변화정도와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 면적의 경년변화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과 수치지도, 현장조사, 비행촬영 정보 등을 모두 활용 분석 하여, 사주와 식생의 면적변화에 관한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하는 목적으로 충분한 정도를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항공사진 분석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분석결과는 103m²의 단위로 제시하였다.
  • , 1989). 본 연구는 댐 하류하천에서 사주와 식생의 면적 변화에 국한하여 시행되었다. 따라서 향후 댐 하류하천의 사주 발달과 소멸과정과 사주내 식생의 종 다양성, 우점도, 천이 과정 등을 정밀조사 하여 댐이 하류하천의 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댐의 목적은 무엇인가? 댐은 홍수기 동안 일시적으로 유입하는 홍수량을 저류하여 하류하천의 홍수를 조절하고, 갈수기 동안 발전과 안정적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댐으로 인하여 하류하천의 유량변화는 모래와 자갈로 형성된 이동상 사주를 고정화시키고 식생확대의 원인이 되고 있다(Shafroth et al.
사주는 무엇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가? 사주는 물과 유사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 하천의 형태중 하나이며 사련, 사구와 같은 소규모 하상형태에서 규모가 확대된 중규모 하상형태로써 지속적인 이동과 형태변화를 거듭한다. 그러나 댐 등과 같은 하천의 시설물과 유역의 인위적인 변화로 유발되는 유량과 유사 변화는 사주의 이동성이 둔화되고, 하도내 사주형태와 식생 분포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최성욱 등, 2004; Gordon and Meentemeyer, 2006).
해외의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외국에서는 Shafroth et al.(2002)이 미국의 Arozona의 댐 건설로 교란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Williams River와 댐의 영향을 받지 않는 Santa Maria River의 하천식생의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Gordon and Meentemeyer(2006)가 California 유역 Russian River의 Warm Springs 댐 건설과 토지이용 변화가 하류하천의 지형과 식생변화에 미치는 시간적 공간적 영향을 분석 · 제시 하였고, Richard et al.(2005)은 미국 Wyoming주 Snake River의 Jackson Lake 댐 건설에 따라 하류하천에 홍수터의 지형과 식생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Vanloocy and Martin (2005)은 Southwestren Kansas의 Cimarron River가 첨두 홍수량 감소로 하폭이 감소하고 하천 식생이 증가하였다고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Jang and Shimizu(2007)는 식생의 밀도증가에 따른 저수로의 변동특성을 실내실험 및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건설기술연구원 (2000). 하도특성과 식생의 상관관계 분석, 건기연 2000-094 

  2. 김진만, 이대영, 김경민, 최봉혁 (2007). “낙동강 유역하상재료의 공학적 특성평가.” 인천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하천복원 연구회, 하천환경 학술 심포지엄논문집, 하천환경학회, pp. 445-452 

  3. 박봉진, 강기호, 정관수 (2008). “수문변화 지표법에 의한 다목적댐의 유량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7호, pp. 711-723 

  4. 우효섭 (2004). 하천수리학, 청문각 

  5. 이삼희 (2007). “이동상 수로모형을 통한 만곡부 모래사주의 거동특성 분석.” 2007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679-1683 

  6. 이삼희 옥기영 (2007). “이동상 하도의 모래사주에서 토양조사를 통한 식생역 발달과정.” 2007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50-1062 

  7. 이진원, 김형섭, 우효섭 (1993). “댐건설로 인한 5대강본류의 유황변화 분석.” 한국토목학회논문집, 한국토목학회, 제13권, 제3호, pp. 79-91 

  8. 장창래(2006). “하천의 지형변동과 식생.” 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39. No. 12, pp. 52-58 

  9. 장창래, 정관수 (2006). “사행하천에서 사주의 이동특성에 관한 수치실험.”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2B호, pp. 209-216 

  10. 최성욱, 윤병만, 유효섭, 조강현 (2004). “댐건설에 의한 유황변화에 따른 하류 하도에서 하천지형학적 변화 및 식생피복의 변화 : 황강 합천댐 사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호, pp. 55-66 

  11. Choi, S. U., Yoon, B. M., Woo, H.S. (2005). "Effects of Dam-Induced Flow Regime Change on Downsream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Hwang River, Kore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1, pp. 315-325 

  12. Egger, G. (2007). "Floodplain Vegetation Models and Application in River Restoration." KICT, The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River Environment, pp. 41-66 

  13. Gordon, E., Meentemeyer, R.K. (2006). "Effects of Dam Operation and Land Use on Stream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Vegetation." Geomorphology, Vol. 82, pp. 412-429 

  14. Graf, W. L. (2006). "Downstream Hydrologic and Geomorphic Effects of Large Dams on American Rivers." Geomorpholog, Vol. 79, pp. 336-360 

  15. Henriksen, J. A., Heasley, J., Kennen, J. G., Niewsand, S. (2006). "Users' Manual for the Hydroecological Integrity Assessment Process Software(including the New Jersey Assessment Tools)." U.S. Geological Survey, Biological Resources Discipline, Open File Report2006-1093 

  16. Jang, C. L., Shimusu, Y. (2007). "Vegetation Effects on the Morphological Behavior of Alluvial Channel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5, No. 6, pp. 763-772 

  17. Jorde, P.E. (2006). "Reservoir Operation and Ecosystem Losses." KICT, The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River Environment, pp. 41-66 

  18. Julien P. Y. (2002). River Mechan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Merritt D. M., Cooper D. J. (2000). "Riparian Vegetation and Channel Change in Response to River Regulation : A Comparative Study of Regulated and Unregulated Stream in the Green River Basin, USA." Regulated River : Research & Management, No. 16, pp. 543-564 

  20. Nature Conservancy (2007).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 Version 7 User's Manual 

  21. Richter, B. D., Baumgartner, Braun D. P., Powell J. (1998). "A Spatial Assessment of Hydrologic Alteration within a River Network." Regulated Rivers:Research & Management, No. 14, pp. 329-340 

  22. Richard, A. M., Mills, J. D., Wrazien, D. R., Bassett, B., Splinter, D. K. (2005). "Effects of Jacjson Lake Dam on the Snake River and its Floodplain Grand Teton National Park, Wyoming, USA." Geomorphology, No. 71, pp. 79-98 

  23. Richther, B. D., Baumgartner, J. F., Powell, J., Braun, D. P. (1996). "A Method for Assessing Hydrologic Alterations within Ecosystems." Conservation Biology, Vol. 10, No. 4, pp. 1163-1174 

  24. Shafroth P. B., Stromberg J. C., Patten D. T. (2002). "Riparian Vegetation Response to Altered Disturbance and Stress Regimes." Ecological Applications, Vol. 12, No. 1, pp. 107-123 

  25. Valoocy J. A., Martin C. W. (2005). "Channel and Vegetation Change on the Cimarron River, Southwestern Kansa, 1953-2001."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95, No. 4, pp. 718-739 

  26. Williams, G. P., Wolman, M. G. (1984). "Downstream Effects of Dams on Alluvial Rivers." U.S. Geology Survey Professional Paper 1286. pp. 1-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