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군함정 화재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Assessment for Fire Onboard a Naval Vessel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2 no.5, 2008년, pp.35 - 42  

전계룡 (방위 사업청) ,  김동진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KDX-III, LPX 등 대형함 건조사업의 진행으로 예전과 달리 함정 규모가 커지고 함정 내 승조원수 및 승조 인원 구성도 다양화 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여 화재로 인한 해군함정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군 함정의 복잡한 화재 전파양상을 사건수목분석(ETA)기법으로 모델링하였고, 승조원 침실 내 화재해석을 위해 CF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재 전파양상 및 화재구역 내거주가능시간(임계시간)을 예측하였다. 이를 승조원 탈출 시간과 비교하여 상황별 사망자 수를 산출하였으며 FN-curve로 전반적인 위험도를 도식하여 화재 위험도의 수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바탕으로 새롭게 건조되는 함정 설계단계에서 화재 발생시 함정에서의 인명위험성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huge navy projects such KDX-III, LPX, bigger and more complicated vessel constructions are being underway in navy.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se trends, we performed a risk analysis on the navy vessel for the fatality of soldiers on board and presented the risk level with FN curve. Ass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해군 함정의 화재 위험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화재 발생 전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별 사망자수를 산정 하였다. 또한 위험도의 수용 여부를 평가 할 수 있는 FN-curve를 도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군함정의 화재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해군에서 가장 많은 세력을 보유하고 작전 운영중인 초계함(PCC)을 대상으로 화재 위험도를 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계함 승조원침실을 화재발생지점으로 하고, 발생시간은 승조원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항해 중 야간 시간대로 가정했다.

가설 설정

  • 10) 해군 함정 내 침실구역에서의 승조원들은 화재시의 대피훈련을 주기적으로 받고 있어 화재 같은 비상사태에 대한 대처능력이 일반인들보다 뛰어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화재감지시간(D)+탈출준비시간(R)을 Table 3의 첫 번째 범주인 60초 이하로 가정하였다.
  • CFAST를 이용하여 침실 내부온도, 연기의 높이, 잔존 산소량을 시간의 변화에 따라 예측하였으며, 이들 3가지를 승조원이 사망하게 되는 임계조건으로 가정하였다. 화재로 인한 연기에 포함되는 다양한 독성 가스 중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가스들로는 HCN(시안화수소), CoHb(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CO(일산화탄소), CO2(이산화탄소) 등이 있다.
  • 화재 시 대피자의 생존을 결정하는 임계조건은 고온, 유독가스, 산소결핍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3가지 조건을 생존에 필요한 임계조건으로 가정하였다.4)
  • 본 연구에서는 소화반 배치의 성공여부가 화재구역 내승조원들의 유동계수(단위시간에 출입구의 단위 폭을 유동하는 인원수, 명/s'm)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여, 소화반이 배치되지 못하면 피난자 보행속도 1 m/s에 유동계수를 1.3명/s'm로 가정하였고,10) 소화반이 배치되어 이동통풍기를 통해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면 보행속도 1.5 m/s에 유동계수는 1.95명/s'm.
  • 화재 구역 내 사망자 수 산출은 화재 구역 내 거주가능시간(임계시간) 및 승조원탈출시간의 상호 비교를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프로그램인 CFAST를 이용하여 거주가능시간을 예측하고 탈출시간은 화재안전공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탈출계산법10)을 적용하여 임계시간까지 도달 시 화재구역에 잔류하고 있는 인원을 사망한 것으로 가정하여 사망자 수를 산정하였다.
  • 7 m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 인한 이용 가능한 출입구를 2개 사용할 시 그 폭을 1.4 m로 가정하였다.
  • 사람의 호흡기 높이인 1.5 m의 높이까지 연기가 충진하게 되면 사망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Figure 6에서 보는 것처럼 화재발생 후 zone 1, 2 모두 55초에서 85초 사이에 임계조건 높이에 도달함을 알 수 있다.
  • 해군함정에서 전개 가능한 화재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사건수목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사고빈도(확률)를 예측하였다. 사망자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한 데이터는 함정 승조경험이 있는 장교 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주요요인별 발생확률로 가정하였다.
  • 승조원 침실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의 크기는 침실 2개 정도를 전소시킬 수 있는 20 MW의 열방출율을 나타낸다고 가정하였다. 열방출율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4).
  • 본 연구에서는 해군함정의 화재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해군에서 가장 많은 세력을 보유하고 작전 운영중인 초계함(PCC)을 대상으로 화재 위험도를 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계함 승조원침실을 화재발생지점으로 하고, 발생시간은 승조원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항해 중 야간 시간대로 가정했다. 함정내에서 화재성장 및 승조원의 거주가능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화재 프로그램인 CFAST를 사용하였고, 이를 승조원의 대피시간과 비교하여 사망자 수를 계산하였다.
  • 초계함(PCC)에서 가장 많은 승조원이 거주하는 작전부 침실을 화재 발생 구역으로 가정하였으며, 화재발생시간은 항해 중 승조원들이 취침하게 되는 새벽시간대로 하여 최악의 경우를 고려하였다. 현 승조원 침실에는 15LBS 용량의 CO2 소화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타 화재 자동감지장비나 고정식 소화 장치(Sprinkler 등)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Figure 2).
  • 초계함(PCC)의 승조원침실(zone 1)에는 32개의 침대가 있으며, 화재 발생 후 승조원들은 각 침실 출입구를 통해 탈출을 시도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를 나타낸다. 화재성장속도는 ultrafast와 fast 2가지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정의 화재사고의 특징은? 선박의 화재는 자연발화와 승조원들의 부주의, 기계적 결함 등으로 발생할 수 있고, 특히 함정의 경우는 적의 피격으로 인한 화재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 함정의 화재사고는 폐쇄적이고 해상이라는 고립된 공간의 특성상 외부로부터 지원을 받기 어렵고, 제한된 인원과 장비로 화재를 진압해야만 하기 때문에 인명에 치명적인 위험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함정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인명피해는 재산피해 혹은 장비손상과는 달리 사회적, 윤리적으로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전시에는 함 전투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선박의 화재는 어떻게 발생되는가? 선박의 화재는 자연발화와 승조원들의 부주의, 기계적 결함 등으로 발생할 수 있고, 특히 함정의 경우는 적의 피격으로 인한 화재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 함정의 화재사고는 폐쇄적이고 해상이라는 고립된 공간의 특성상 외부로부터 지원을 받기 어렵고, 제한된 인원과 장비로 화재를 진압해야만 하기 때문에 인명에 치명적인 위험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함정 화재안전이 나날로 중요해지는 이유는? 특히, 해군 함정의 화재사고는 폐쇄적이고 고립된 공간이라는 특성상 인명과 장비에 치명적인 위험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중 인명피해는 함정의 전투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므로 그 발생가능성이 적다 하더라도 발생하게 되면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KDX-III, LPX 등 대형함 건조사업이 진행되는 등 함정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으며, 함정 크기만큼 함정 내 승조원수 및 승조 인원 구성도 다양화 되어 화재로 인한 인명 위험성은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함정 건조 시 화재에 대비한 소화 장비 설치는 SOLAS* 및 선박 안전법**에서 규정한 기준과 미 해군 함정 건조 시 설계기준이 되는 U.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이정훈, 이재옥, 양영순, "선박의 화재안전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Vol.38, No.1, pp.116-122(2001) 

  2. 임태준, 강현욱, 김남영, 정혜옥,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터널 내 피난 연락갱 설치 간격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579- 1584(2002) 

  3. 김동진, 문성암, 김동건, 김경섭, 장용준, 정우성,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철도터널 화재 사고의 승객 안전도 분석",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10, No.2, pp.131-136(2007) 

  4. 이재식, "선박 시뮬레이션과 실제 항해 상황에서의 항해사 상황인식 요소에 대한 통합적 과제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9, No.3, pp.1417-1429(2007) 

  5. 정정호, "선박화재의 인명위험성 평가 연구", 서울대석사학위논문(2000) 

  6. 과학기술부, "선박 비상 훈련/평가/통제용 3차원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1차년도 보고서(2003) 

  7. 박창규, 하재주,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브레인 코리아(2003) 

  8. 오규형 외 5명(역), "화재공학원론", 도서출판, 동화기술(2004) 

  9. 최 진, "선박 화재안전 평가 및 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대 석사학위논문(2005) 

  10. 조호성, "성능위주 소방설계", 기다이(2006) 

  11. Suokas, J. and Roouhiainen, V. "Quality Management of Safety and Risk Analysis", Elsevier(1993) 

  12. Mikael Anderson, Arben Krasniqi, "Evaluation of Fire Risks Onboard HMS VISBY", Lund University Press(2002) 

  13. Ball, David and Floyd, Peter, "Societal risks", final report, Health and Safety Executive(2002) 

  14. Caroline Anderson and Daniel Saterborn, "Smoke Control System Abroad - A Risk Analysis of Smoke Control System in Accomodation Space on Passenger Ship", Lund university Press(2002) 

  15. Evans, Andrew, "Transport Fatal Accidents and FNCurves: 1967-2001", Research Report 073, Health and Safety Executive(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