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 진화용 소화약제의 산림생태환경 영향 평가 - 식물 및 토양생물독성에 대하여 -
An Forest Ecological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of Forest Fire Suppression Chemicals - To Plants & Soil Organism -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2 no.5, 2008년, pp.48 - 54  

김동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  이명보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  유세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나영은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태연구실) ,  최원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김응식 (호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  정기창 (호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산불이 빈번히 발생되고 대형화산불이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산불진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신속히 하기위해 산불진화용 소화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산불용 소화약제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형태에 따라 분말, 액상, 포(泡), 겔(gel)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직접적인 산불진화용 소화약제인 강화액과 포소화약제를 사용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화약제들의 식물독성(종자발아율, 소나무 용기묘 치사율) 및 토양생물 독성(지렁이 급성독성) 등 산림생태에 대한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강화액 및 포소화약제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강화액의 경우 모든 독성실험방법에 대해 실험개체 모두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어 독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불진화용 소화약제에 대한 산림생태환경독성 영향평가 방법과 기준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s occur the world over, with large-scale fires constantly breaking out. A suppressant a type of forest fire chemical is widely used to respond to fires rapidly and effectively. In general, suppressants used for fires have been divided into dry powder, liquid, foam, and gel type, accor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년생과 2년생 소나무 용기묘를 사용하여 산불진화용 소화약제에 대한 생존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용기묘 처리구는 종자발아 실험과 동일한 산불진화용 소화약제를 각 농도별로 1 l/m2씩 살포(김동현 등, 2006)하고 난 뒤 약제의 영향을 보기위해 물 공급없이 21℃ 온실에서 4일간 생육한 후 5일째부터 21일간 관수를 실시하였다.
  • 특히 산불진화용 소화약제의 산림환경에 대한 유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는 송사리 반수치사량(LC50) 어독성 실험(김정윤 등, 2007) 결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제품(F_K) 6658 ppm, 강화액 2046 ppm, Class A Foam제인 P사 3597 ppm로 나타나 환경독성분석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 개발되어진 산불진화에 직접 사용하는 단기성 산불진화 소화약제에 대해 산림환경에 포함되는 식물과 토양 생물에 대한 독성영향평가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종자발아율조사는 소화약제 살포시 지표면에 떨어진 종자에 그대로 영향을 준다는 최악의 노출상황을 가정하여 시험하였다. Table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화액, 포소화약제별로 농도를 달리한 3종의 산불진화용 소화약제에 공시종자를 각 처리구별 24시간 침지한 후 종 자발아시험기를 이용하여 25±3℃에서 각 처리구별로 소나무종자 50립씩을 Petri dish에 옮겨 발아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화액소화약제란? 강화액소화약제는 동절기 물소화약제의 어는 단점의 보완과 소화성능을 높이기 위해 Potassium carbonate (K2CO3), Ammonium sulfate[(NH4)2SO4], Ammonium phosphate [(NH4)2PO4], Polyoxyethylene nonylphenol (침투제) 등의 화학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강화액 주요성분별 조성비는 Table 2와 같이 물 58~60%, Potassium carbonate 30~40%와 Ammonium sulfate· Ammonium phosphate, Polyoxyethylene nonylphenol, 기타 첨가제 12%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중성 또는 알칼리성 강화액 제조에 따라 구성비가 달라질 수 있다.
산불진화에 사용되는 소화약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전 세계적으로 산불진화에 사용되는 소화약제는 사용목적에 따라 직접진화와 간접진화 소화약제가 사용되며 약제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거품형(Foam Type), 분말형(Powder Type), 겔(Gel Type), 액상형(Liquid Type)으로 구분된다. 사용목적에 따른 소화약제 구분에 있어 직접진화 소화약제는 연소지역에 직접 살포하여 냉각·질식·부촉매 소화효과로 연소의 확산을 저지하기위한 단기성 소화약제이고 물과 혼합하여 연소지역 또는 산림보호대상물 및 산불확산이 예측되는 지역에 방화선을 구축하여 산불확산시 냉각·부촉매효과로 연소의 지연 및 확산을 저지하기위한 장기성 소화 약제가 있다.
직접진화 소화약제로 사용 되는 단기성 진화약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사용목적에 따른 소화약제 구분에 있어 직접진화 소화약제는 연소지역에 직접 살포하여 냉각·질식·부촉매 소화효과로 연소의 확산을 저지하기위한 단기성 소화약제이고 물과 혼합하여 연소지역 또는 산림보호대상물 및 산불확산이 예측되는 지역에 방화선을 구축하여 산불확산시 냉각·부촉매효과로 연소의 지연 및 확산을 저지하기위한 장기성 소화 약제가 있다. 단기성 진화약제로는 FOAM(국외 15점, 국내 약 5점), 강화액(국외 5점, 국내 약 2점)이 있고 장기성 진화약제로는 국내·외 Retardant 15점(국내 58개 수입·제조업체)이 있으며 2006년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에서 연구 개발된 단기성 진화약제인 산불진화용 포소화약제 3점이 있다. 미국, 캐나다, 러시아, 호주 등 에서는 Foam제 및 지연제를 고정익, 헬기, 진화차량, 동력펌프 등을 이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정훈, 이정윤, 김홍, 김응식, 이명보, 김동현, 정기창, "천연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친환경적 포소화약제개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1, No.1, pp.69-73(2007) 

  2. 김동현, 이명보,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산불진화헬기 살수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2006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73-378(2006) 

  3. 김영수, 조경, 황용구, 황용현, "최신 소방약제화학", 신광문화사, pp.63-85, pp.285-291(2002) 

  4. 김병석, 경기성, 신진섭, "붉은 지렁이를 이용한 농약의 급성독성 시험법 개발", 농약과학학회지, Vol.4, No.4, pp.56-60(2000) 

  5. 나영은, 한민수, 이상범, 김세근, 박형만, "지렁이를 이용한 젖소분뇨 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5, No.2, pp.125-131(2000) 

  6. 나영은, 이상범, 한민수, 김세근, 최동로, "밭토양에서 지렁이 서식에 영향을 주는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5, No.2, pp.165-168(2000) 

  7. Christine Modovsky, "Ecological Risk Assessment: Wildland Fire-Fighting Chemicals", LABAT Environmental Prepared for RMRS USDA, pp.69(2007) 

  8. Diane L. Larson, Wesley E. Newton, Patrick J. Anderson, Steven J. Stein, "Effect of Retardant Chemical and Fire Suppressant Foam on Shrub Steppe Vegetation in Northern Nevad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9, No.2, pp.115-127(1999) 

  9. Kostas D. Kalabokidis, "Effect of Wildfire Suppression Chemicals on People and the Environment-a Review", Global Nest: The Int. J. Vol.2, No.2, pp.129-137(2000) 

  10. C.A. Edwards and J.R. Lofty, "Biology and Ecology of Earthworms", end edn. Champman &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