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계재무관리의 부부간 역할분담에 관한 연구 : 맞벌이여부별 비교를 중심으로
Wife-Husband Role Division on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 Comparing Between Dual Income Household and Single Income Household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6 = no.96, 2008년, pp.143 - 158  

이은화 ,  양세정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ife and husband role division in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between dual-income household and single-income household.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included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financial planning, consumption/expenditure management,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tzsimmons(1988)에 의하면 가계재무관리란 무엇이라 하였나? Fitzsimmons(1988)에 의하면 가계재무관리란 인간의 욕구 충족 즉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재정문제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연숙 등(2000)은 재무관리를 정의하기를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정적 자원을 흭득하고, 효율적으로 소비 및 보존하고 증대시킴으로써 개인과 가족이 기대하는 재정적 복지를 실현해가는 전 생애에 걸친 과정이라고 하였다.
맞벌이부부는 어떤 점에서 가계경제의 기본적 틀의 변화를 가져왔는가? 맞벌이부부는 부부 모두 소득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가계경제의 기본적 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다수의 연구는 맞벌이부부의 소비지출행태를 분석하였고(양세정, 1997; 정순희, 2000 등), 소득구조변화(김미해, 1987; 양세정, 2000)나 저축행태 변화(양세정, 1998) 등을 분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편과 아내 모두 소득이 있는 경우를 맞벌이 가계로 본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남편과 아내 모두 소득이 있는 경우를 맞벌이 가계로 보았다. 이러한 정의는 맞벌이가계의 어원이 부부가 함께 버는 것이라고 봤을 때 합당하며, 재무관리에 있어서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부가 취업을 했느냐 아니냐하는 것 보다는, 궁극적으로 아내의 소득유무가 관련이 보다 많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내가 직업이 없는 경우라도 사업소득 등의 아내 소득이 있는 경우는 맞벌이가계에 포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강수경(1984). 취업주부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계선자(2000). 도시 취업주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과 경제복지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95-111 

  3. 계선자. 박혜성(2000). 도시주부의 자산관리태도. 자산적정인지도에 따른 노후경제대책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29-45 

  4. 계선자. 유을용(1999). 도시주부의 가계재무관리 능력 및 재정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1), 35-50 

  5. 계선자. 정미선(2007). 도시주부의 가계재무관리행동, 재무건전성 및 재정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123-144 

  6. 고보선. 이영호. 임정빈(1997).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계재정상태에 대한 기대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45-58 

  7. 고보선. 임정빈(1997).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관리체계와 가계재정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3), 125-138 

  8. 고보선. 임정빈(1998).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주관적 재정복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 59-77 

  9. 구선주. 박연. 박은희. 오원정. 오은진. 이수영. 조정민(1997). 부부권력 유형의 분석. 생활과학, 30, 94-99 

  10. 김미해(1987). 취업주부가정의 가계구조 및 가계관리형태에 관한 연구. 부산산업대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1. 김인숙(2003). 충북지역 가계의 재무관리 실태 및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2(1), 39-52 

  12. 김정훈(1997). 맞벌이 주부의 취업선호 인식과 가계관리권 유형에 따른 가계재정 의사소통과 재정권력 평등도 인지. 한국생활과학회지, 6(1), 29-39 

  13. 김현정(1992). 30대 주부의 취업유무와 가정특성이 가계재정과 관련된 의사결정의 참여도와 재정복지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홍은(1986). 부부의 자원과 부부권력과의 관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4(4), 179-188 

  15. 김효숙(1988). 도시 부부의 역할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효정(1999).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계재무 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제논집, 14(3), 119-132 

  17. 김효정(2000). 체계론에 의한 가계의 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53-66 

  18. 김희순. 최현자(2000). 米麥농가 부부의 노동시간과 노동분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1-13 

  19. 문소정(1995). 가족과 경제생활.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135-165. 서울 : 사회문화연구소 

  20. 문숙재. 조성은(1993). 구매의사결정시 가족의 역할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1), 93-106 

  21. 박미금(1993). 부부의 경제생활 만족도 비교분석: 주관적 경제수준 평가와 가계관리행동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배희선. 최현자(1996).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농가주부의 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 화폐관리행동. 자녀교육비 대비행동 및 노후준비행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167-179 

  23. 손현숙(1993). 부부권력관계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안수미. 이기영(1998). 자산관리과정과 부부의 역할구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21-232 

  25. 안영애. 임정빈(1987). 가정의 금전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한양생활과학연구, 5, 249-275 

  26. 양세정(1997). 주부취업과 가계경제구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2), 165-182 

  27. 양세정(1998). 취업주부의 가계경제 기여도 측정 및 맞벌이 요인. 우리나라 가계의 생활실태 변화와 추이. 통계청. 107-141 

  28. 양세정(2000). 맞벌이가구의 부채보유행태에 관한 분석. 상명대사회과학연구, 13, 61-80 

  29. 양경아(1992). 남편과 부인의 금전관리 태도와 행동이 부부의 재정관리 일치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태평(1993). 우리나라 부부의 구매 의사결정에서 가족의 역할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이기춘 외5(1998). 소비자재무설계론. 학현사 

  32. 이상협(1999). 도시가계의 재무관리와 재정만족도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4), 141-153 

  33. 이선형(1995). 노인단독가구의 가계재정관리와 경제생활 만족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이선형. 이연숙(1997). 노인단독 가구의 가계재정관리와 경제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31-43 

  35. 이성희. 김태현(1989).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간 가족역할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2), 109-125 

  36. 이연숙. 양세정. 주인숙(2000). 가계재무관리의 이해. 학지사 

  37. 이정우. 강기연(1994). 취업주부의 역할관리 능력과 가정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집, 34, 181-206 

  38. 이정우. 강기연(2000). 도시 주부의 공평성 인지와 의사결정 유형에 관한 연구: 합산적/총체적 측정방법의 적용. 대한가정학회지, 38(5), 41-55 

  39. 이정우. 김규원(1986). 저소득층 취업주부 가정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서울시. 성남시 취업주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4(4), 163-177 

  40. 이정우. 정진희(1999). 도시 주부가 인지한 가계의 재정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1), 51-66 

  41. 이창규(1994). 가족구매의사결정에 있어서 부부의 영향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임정빈. 김윤경(1983). 가정생활의 의사결정 행동과 관련변인과의 관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1(3), 115-130 

  43. 임정빈. 문숙재. 이기영. 이연숙. 지영숙(1994). 가정관리학. 학지사 

  44. 임정빈. 조미환. 이영호(1998). 도시가계의 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3), 141-153 

  45. 장덕순(1994). 청소년의 금전관리행동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순희(2000). 취업주부가계와 전업주부가계간 소비지출패턴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93-108 

  47. 정운영. 황덕순. 홍은실(2002). 재무관리행동에 관한 선행연구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25-138 

  48. 정운영. 황덕순(2002). 도시가계의 재무관리행동과 재무건전성 :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2), 115-130 

  49. 한지수. 이연숙(1998). 도시 맞벌이부부의 금전관리와 경제생활주도권 유형의 측정방법 및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 1-14 

  50. 한지수(1997). 도시 맞벌이 부부의 금전관리유형. 경제생활주도권과 경제생활만족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홍은실. 황덕순(2002). 여대생 소비자의 목표중심적 가치가 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2), 175-187 

  52. 홍향숙(1997). 가계의 재무관리와 재무목표달성도. 대한가정학회지, 35(6), 157-171 

  53. 홍향숙. 이종혜(1999). 개인. 가계. 환경변수가 가계의 재무영역별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2(1), 12-24 

  54. 통계청홈페이지 www.kosis.go.kr 

  55. Blood, R.O. & Wolfe, D.M(1960). Husbands and Wives, N.Y.: Free press 

  56. Deacon, R.E., & Firebaugh, F.M.(1988). Family resource managemant: Principles and Application. 2ed: Allyn and bacon. Inc 

  57. Diane M. Mcconocha. Shirlee A. Tully, & Walther, C.H.(1993). Household Money Management: Recognizing Nontraditional couple,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27(2), 258-283 

  58. Edwards, M.(1981). Financial arrangements within families. Social Security Journal(Dec.), 1-16 

  59. Fitzsimmons, V.S.(1988). Family money man-agementhow one-earner and two-earner families hand-el money. Proceedings of the 34th ACCI Annual Con-ferences, Chilcago, Illinoise, April 4-9, 145 

  60. Fitzsimmons, V.S., Hira, T.K., Bauer, J.W. & Hafstrom, J.L.(1993). Financial management: Development of scale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14(3), 257-274 

  61. Godwin, D.D. & Carroll, D.D.(1986).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s and behavior of husband and wiv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Home Economies, 7, 117-135 

  62. Pahl, J.(1989). Money and Marriage. N.Y.: St. Martin's Press 

  63. Parrotta, J.L. & Johnson, P.J.(1998). The impact of financial attitudes and knowledge on financial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recently married individuals.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9(2), 59-74 

  64. Porter, N.M & Garman, E.T.(1993). Testing a conceptual model of financial well-being.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4, 135-164 

  65. Scannell, E.(1990). Dairly farm families' financial management.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1, 133-146 

  66. Titus, P.M., Fanslow, A.M., & Hira, T.K.(1989). "Net Worth and financial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Household money Managers' Competencie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7(4), 309-3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