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류를 이용한 식해의 제조 방법에 따른 미생물의 특성변화
Effect of Preparation method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n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kha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6, 2008년, pp.909 - 914  

김영숙 (아시아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과) ,  오승희 (포항1대학 다이어트과학계열) ,  김순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어식해(GLS), 가자미식해(FLS), 우럭식해(GAS) 및 골뱅이식해(WHS)의 발효 및 저장 중 미생물수의 변화와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발효는 $10^{\circ}C$에서 4일간 행하였으며 저장은 $4^{\circ}C$에서 20일간 행하였다. 발효 저장 중 일반세균은 4일 동안 $10^{\circ}C$에서 저온 숙성시킨 후, $4^{\circ}C$로 이동시켜서 변온저장 하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수 조사에서 20일째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10^2$이었으며, 우럭식해는 $10^5$, 골뱅이식해는 $10^4$까지 증식하였다. 유산균수는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숙성기간 10일째 $10^8$으로 증식하였으며, 우럭식해는 15일째, 골뱅이식해는 20일째 각각 $10^8$으로 증식하였다. 미생물 증식은 참가자미식해>복어식해>우럭식해>골뱅이식해 순이었다. 효모조사에서는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발효저장 20일째 $10^4{\sim}10^5\;PFU/g$ 까지 증가하였으며, 우럭식해과 골뱅이식해는 0일째는 $10^2$ 이었으나 20일째는 각각 $10^5{\sim}10^4\;PFU/g$까지 증가하였다. 효모에서도 참가자미식해>복어식해>우럭식해>골뱅이식해 순으로 조사되어 균증식이 참가자미식해와 복어식해에서 높았다. 젖산균 조사에서 숙성기간 동안 젖산균수는 0일째 $10^3$으로 증식하였으나, lactobacillus는 발효저장 중 20일째 복어식해, 참가자미식해, 우럭식해, 골뱅이식해가 동일하게 $10^8$으로 증식하였으며, leuconostoc은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숙성 10일째 $10^8$ log cycle이상으로 증식되었고, 우럭식해는 15일째 $10^8$, 골뱅이식해는 $10^7$ log cycle로 측정되었다. 조사한 pH 는 복어식해, 참가자미식해는 4.42와 pH 4.56, 우럭식해와 골뱅이식해는 4.31과 pH 4.26으로 측정되었다. 조사한 4종류의 해산물 식해 산도는 1.55-1.85% 로 측정되었다. 관능평가 실험에서 복어식해와 참가자미식해는 종합평가에서 4.17-4.25, 우럭식해와 골뱅이식해는 3.59-3.79로 평가되었으며, 선호도는 참가자미식해>복어식해>우럭식해>골뱅이식해 순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microbial populations and the sensory quality of sikhae including globefish (GLS), flounder (FLS), gastropods (GAS) and whelks (WHS) during storage at 4C for 16 d following fermentation at 10C for 4 d. General bacterial numbers increased to 102 in GLS and FLS, and to 1045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함경도식해제조 방법과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의 밥식해법에서 그 절충법을 찾아서 미생물에 의한 발효와 젖산발효를 유도시키는 방법을 병행하는 제조공법을 도입하였다. 전통과 현대를 이어오는 가장 보편화 되어있는 가자미식해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연구가 미흡한 복어, 우럭, 골뱅이를 재료로 하여 해산물식해에 따른 미생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Table 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lounder, globefis, gastropods and whelk sikhae stored for 20 days at 4℃ after 4 days fermentation at 10℃

    1)The attribute was evaluated from very low(1 point) to very strong(5 poi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해제조 공법으로 연구된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은 사람과 동물의 대장과 점막 등에 상재하는 균으로 우유및 낙농제품과 같은 다양한 발효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유용한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6).) 식해의 제조공법은 함경도의 염해법과 식해법의 절충법(3), amino-N, 유기산, TMA와 VBN 및 미생물군의 변화 등을 관찰한 것과 Souane 등(1)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관한 연구, 명태식해(4,7-10), 오징어식해(1,3,11, 12), 가자미식해 연구(13) 등이 있다. 그러나 복어 우럭, 골뱅이 등은 식해의 기록은 있으나 일반화되어 있지는 않다.
전통 저장 발효식품의 하나인 식해의 기원은? 우리나라 전통 저장발효식품의 하나인 식해의 기원은 버마, 타이, 라오스 등의 산지내륙지방의 강에서 물고기를 채취하여 소금과 밥을 배합하여 유산발효를 생성 시켜서 제조한 해산물 저장성 발효식품이다(1). 식해는 어류와 식염 외에 곡물의 첨가 등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유산발효를 일으켜 숙성기간이 짧으며, 젓갈보다 염도가 낮고 또한 김치 맛이 가미되어 독특한 맛과 풍미를 주어서 우수한 전통식품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1.
식해법을 2가지로 구분하면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또한 함경도 식해는 어육에 소금과 조밥,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을 넣어 일정기간 동안 자가 숙성시킨 다음 무 등을 넣어 젖산발효를 유도하는 방법(3)이 있으며, 이와 유사한 밥식해는 경북 동해안 주민들이 쌀과 좁쌀에 생선과 무 등을 넣고 발효시키는 방법이 있다(3). 식해는 어류에 곡류, 고춧가루, 무, 마늘, 생강 등의 부재료를 첨가시킨 발효식품으로 어류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한 자가분해 및 숙성 중에 번식 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를 유도하는 염해법과 발효과정 중에 생성된 유기산에 의해 저장성을 부여하는 식해법으로 구분된다(4). 식해법은 우리나라 동해안 또는 남해 동부지역에서 성행하는 방법으로 어육에 맥아분 및 곡물과 함께 젖산균의 번식이 이루어지는데, 무 등의 채소류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김치제조와 비슷한 원리를 갖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ee, C.H., Cho, T.S., Lim, M.H., Kang, J.W. and Yang, H.C. (1983) Studies on the sik-hae fermentation made by flat-fish. Kor. J. Appl. Microbiol. Bioeng 

  2. Jung, H.S., Lee, S.H, and Woo, K.L. (1992) Effect of Salting Levels on the Changes of Taste Constituents of Domestic Fermented Flounder Sikhae of Hamkyeng-Do,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9-64 

  3. Choi, C., Lee, H.D., Choi, H.J., Son, J.H., Kim, S., Son, G.M. and Cha, W.S. (2001)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a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45-352 

  4. Shu, H.K. (1987)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okal. The ways of preservation of chotkal. Korean J. Dietary Culture, 2, 149-161 

  5. Lee, S.W. (1986) Study of Ehjang (Korean fermented aquatic products). Korean Dietary Culture, 1, 371-382 

  6. Aguirre, M and Collins, M.D.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infection. J. Appl Bacteriol., 75, 95-107 

  7. Shin, S. M. (2004) A study on preparing method and fermenting condition of myungtae sikhae Korean fermented fishery fo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608-617 

  8. Cha, Y.J., Lee, C.E., Jeong, E.K., Kim, H. and Lee, J.S. (2002)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Alaska Pollack sikhae. J. Kprean Soc. Food Sci. Nutr., 31, 559-565 

  9. Choi, C., Lee, H.D. and Choi, H.J. (2001)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of fermentation process for traditional Kyungsando sikhae. Korean J. Dietary Culture, 16, 118-127 

  10. Cha, Y.J., Kim, S.J, Jeong, E.J., Kim, H., Cho, W.G. and Yoo, M.Y. (2004)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ci. Nutr., 33, 1515-1521 

  11. Lee, N.H., Oh, S.W. and Kim, Y.M. (1996). Biochemical changes in muscle protein of squid sikhae during fermentatrion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92-297 

  12. Kim, S.M., Bank, O.D. and Lee, K.T. (1994) The development of squid sikhae in the kang-nung district. Bull. Korean Fish Soc., 27, 357-365 

  13. Moussa, S., Kim, Y.B. and Lee, C.H. (1987)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gajami sikhae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5, 150-157 

  14. Herbert, A., Joel, L.S. (1993)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2nd Ed. Academic Press, USA. 68-75 

  15. Lee, Y.K., Park, B.H., No, H.K. and Kim, S.D. (2005) Effect of chitosan-ascorbate and calcium lactate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quid sikha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598-605 

  16. Hahn, Y.S., Woo, K.J., Park, Y.H and Lee, T.Y. (1997) The nature of viscous polysaccharide formed kimchi added sucro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98-202 

  17. Choi, H.J., Kim, S. and Seong, T.S. (2001)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changes of organic acid during aging of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64-1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