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두 수량과 Flavonoids 함량에 대한 멀칭과 토양개량제 효과
Effect of Mulching and Soil Conditioners on Yield and Flavonoids Content of Mungbea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3 no.4, 2008년, pp.353 - 358  

김동관 (전남농업기술원) ,  천상욱 ((주)이파리넷) ,  이경동 (동신대학교) ,  손동모 (전남농업기술원) ,  임요섭 (순천대학교) ,  김경호 (농촌진흥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두 생육과 수량 및 flavonoids 생합성에 멀칭토양개량제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녹두 흑색 polyethylene film 멀칭처리의 입모율은 98%, 경장은 61 cm, 개체장 협수는 15.1개로 무멀칭보다 각각 13%, 9 cm, 1.8개 많았다. 2. 녹두 멀칭처리의 수량은 $243\;kg{\cdot}10a^{-1}$로 무멀칭 $176\;kg{\cdot}10a^{-1}$보다 38% 많았으나, 종실의 vitexin과 isovitexin 생합성에는 효과가 없었다. 3. 토양개량제 중 표준시비+유박과 표준시비+광석분말 처리가 녹두 개체당 협수가 많고, 수량은 표준시비에 비해 표준시비+유박(119%), 표준시비+광석분말(115%) 순으로 많았다. 4. 표준시비에 유박과 광석분말 혼용은 녹두 vitexin과 isovitexin이 유의적으로 많아 이들 성분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lack 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soil conditioners on the growth, yield, and flavonoids biosynthesis of mungbeans. The seedling stand rate, plant height, and pods per plant were 98%, 61 cm, and 15.1, respectively, when the mungbean grown 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9)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로부터 해열, 해독, 신경안정 등에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이용해온 녹두에 가장 많이 함유된 vitexin과 isovitexin의 함량과 수량 증진을 위한 재배적 요인으로 흑색 polyethylene film 멀칭과 주요 토양개량제의 처리효과를 구명하여 녹두 부가가치 증진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두를 예로부터 민간에서 재래적인 방법으로 화장재료로 많이 사용한 이유는? 녹두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며 모공 수축, 세정력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를 맑게 하여 주며 예민한 피부나 알레르기성 피부에도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예로부터 민간에서 재래적인 방법으로 화장재료로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녹두에 함유된 vitexin과 isovitexin이 이들 기능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여(Kim et al.
Flavonoid란? , 1998) 화장품 업체에서 녹두를 이용한 미백제품을 제조 유통하고 있다. Flavonoid는 식물 polyphenol 2차 대사산물의 거대물질로서 약용식물, 과일주스, 차 및 음료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Middletone et al., 1994).
녹두를 재배할때 흑색 polyethylene film 멀칭 여부에 따른 생육과 수량 변화를 검토한 실험에서 isoflavone 함량의 변화는 어땠는가? 이와 같이 각 수확기별 vitexin과 isovitexin 함량 변이는 선행연구를 통해 각 파종기별 수확기에 따라 상이하다는 결과(보고 중)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칠곡양토로 과거 25년 동안 논으로 이용한 포장과 인접한 밭 포장에서 콩을 재배한 결과 과거 논으로 이용했던 포장이 밭보다 꼬투리 수, 입중, 수량 및 종실의 isoflavone 함량이 각각 16, 13, 26, 31% 많다고 하였다(Chon and Kim, 2006). 그 요인으로 과거 논으로 이용했던 포장이 상대적으로 유기물과 토양수분함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건조시 자유로운 관수로 생육량 증가로 2차 대사산물인 isoflavone 축적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보고를 감안할 때 작물은 다르나 2차 대사산물이 분석대상 물질인 공통점 등으로 보아 멀칭처리가 무멀칭보다 녹두 종실의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이 높을 것으로 예측하였던 것과 다른 결과를 얻었다. 반면에 무비나 질소 50% 감비와 같이 불리한 생육조건이 표준비나 증비보다 콩 isoflavone 함량이 다소 높다고 하였다(Lee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driana, B., S. Giordano, J. A. Lopez-Saez, and R. C. Cobianchi. 1999. Antibacteral activity of pure flavonoids isolated from mosses. Phytochemistry 52 : 1479-1482 

  2. Agnese, A. M., C. Pierez, and J. L. Cabrera. 2001. Adesmia aegiceras: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emical study. Phytomedicine 5 : 389-394 

  3. Bramati, L., F. Aquilano, and P. Pietta. 2003. Unfermented rooibos tea :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flavonoids by HPLC-UV and determination of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1 : 7472-7474 

  4. Chon, S. U. and D. K. Kim. 2006. Difference in growth, yield and isoflavone content among soybean cultivars under drained paddy field condition. Korean J. Crop Sci. 51(1) : 48-51 

  5. Hoeck, J. A., W. R. Fehr, P. A. Murphy, and G. A. Welke. 2000. Influence of genotype and environment on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Crop Sci. 40 : 48-51 

  6. Jeong, S. J., T. H. Kang, E. B. Ko, and Y. C. Kim. 1998. Flavonoids from the seeds of Phaseolus radiatus. Kor. J. Pharmacogn. 29(4) : 357-359 

  7. Kim, B. J., J. H. Kim, Y. Hea, and H. P. Kim. 1998.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ungbean. Cosmetics & Toiletries magazine 113 : 71-74 

  8. Kim, D. K., J. B. Kim, S. K. Chon, and Y. S. Lee. 2005. Antioxidant petential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mungbean (Vigna radiata L.) seeds. Korean J. Plant Res. 8(2) : 122-129 

  9. Kim, H. K., Y. Lee, B. H. Kim, and B. K. Yun. 1999. The effect of soil conditioners on the rutin biosynthesis and the yield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J. Korean Soc. Soil Sci. Pert. 32(1) : 7-11 

  10. Kim, J. S., Y. J. Park, M. H. Yang, and J. W. Shim. 1994. Variation of rutin content in seed and plant of buckwheat germplasms (Fagopyrum esculentum moench). Korean J. Breed. 26(4) : 384-388 

  11. Kim, K. J., K. H. Kim, and Y. H. Kim. 1981.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II. Variation in distribution of flowering dates and pod setting ratio of soybean, azuki-bean and mungbean. Korean J. Crop. Sci. 26(3) : 243-250 

  12. Kitamura, K., K. Ijta, A. Kikuchi, S. Kudou, and K. Okubo. 1991. Low isoflavone content in some early maturinr cultivars, so called "summer-type soybeans". Japan J. Breed. 41 : 651-654 

  13. Ko, M. S., S. W. Hyon, Y. K. Kang, and C. H. Song. 1992. Effects of seed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37(5) : 461-467 

  14. Lee, M. J., J. C. Park, Y. J. Oh, K. H. Kim, H. S. Kim, S. B. Lee, and J. G. Kim. 2006.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growth and isoflavone concent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51(5) : 445-450 

  15. iddletone, E., C. Kandaswami, in: J. B. Harbone (Ed.), The impact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biology : Implications for immunity, inflammation and cancer. Champman & Hall, London, UK. 1994. p. 619 

  16. Narasimhan, R., T. Osawa, M. Namiki, and S. Kawakishi. 1989. Chemical studies on novel rice hull antioxidants. 2. Identification of isovitexin, a C-glycosyl flavonoid. J. Agric. Food Chem. 37 : 31-319 

  17. Park, B. J., J. I. Park, K. J. Chang, and C. H. Park. 2005. Comparison in rutin content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Korean J. Plant Res. 18(2) : 246-250 

  18. Park, H. G. 1980. Seasonal influence on yield, its components and maturity in mungbean (Vigna radiata). Jour. Kor. Soc. Hort. Sci. 21(2) : 126-134 

  19. Picerno, P., T. Mencherini, and M. R. Lauro. 2003. Phenolic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Xanthosoma violaceum leaves. J. Agric. Food Chem. 51 : 6423-6428 

  20. Prabhakar, M. C., B. Hassina, I. Kumar, M. A. Shansi, and S. Y. Khan. 1981.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on vitexin. Planta Med. 43 : 396-403 

  21.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 pp. 19-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