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O2 나노입자를 함유한 PLA 필름의 탈취성과 항균성
The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LA Films Embedded with TiO2 Nanoparticles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0 no.6, 2008년, pp.1 - 7  

구광회 (금오공과대학교 나노바이오텍스타일공학과) ,  장진호 (금오공과대학교 나노바이오텍스타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iO_2$ contents and UV irradi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PLA films embedded with $TiO_2$ nanoparticle were investigated. Whereas UV irradiation decreased reflectance of the treated PLA films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UV energy, the reflec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0cm×10cm 크기의 시료를 유기오염 물질인 암모니아 가스의 제거 실험을 하였다.
  • 주사전자현미경(JSM 6380, JEOL)을 사용하여 자외선 처리 및 광촉매에 대한 PLA/TiO2 필름의 표면구조 변화도 확인하였다. PLA/TiO2 필름 표면의 제타전위는 전기영동 광산란분광광도계(ELS 8000, Otsuka)와 NELS 평판 셀을 이용하여 0.01M NaCl 수용액에 접촉시켜 측정하였으며 UV 에너지와 TiO2 함량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았다.
  • PLA/TiO2 필름 표면의 화학구조 및 TiO2를 확인하기 위하여 PLA 필름과 자외선 조사처리된 PLA/TiO2 필름의 ATR 스펙트럼을 Fig. 1에 나타내었다. PLA 필름(a)의 경우 1745, 1180, 1076cm-1에서 C=O, C-O-C, O-C-C의 신축진동 피크가 확인되어 PLA임을 알 수 있다.
  • 광촉매인 TiO2 함량을 달리하여 PLA에 혼입하고 필름으로 제조하여 자외선 조사 처리하여 표면 특성, 광분해성, 소취성 및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PLA 필름 자체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단파장 영역의 반사율이 감소하지만 TiO2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 자외선 조사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반사율이 증가하였다.
  • 필름을 제조하고 자외선 조사 전후 표면의 반사율, ATR, 표면전위 측정 등을 통해 광촉매 함량 및 자외선 조사에너지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메틸렌 블루와 암모니아 가스 등의 유기물 분해특성을 알아보았고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도 조사하였다.
  • 대조편은 Stomacher bag으로 하고 5cm×5cm 크기의 시료에 24시간동안 균을 배양시킨 후 각 대조편과 시험편의 균수를 측정하여 정균감소율을 구하였다.
  •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MB) 수용액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른 색소 탈색을 통해 광촉매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0.
  • 반사율 분광광도계(Gretag Macbeth, Coloreye 3100)를 사용하여 필름의 반사율 변화를 살펴보았고, ATR 분석은 FT-IR 분광분석기(Tensor 27, Bruker)를 사용하여 필름의 처리면을 ZnSe crystal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일정 압력을 가한 후 측정하였고 처리 시료의 흡광도에서 미처리 시료의 흡광도를 차감하여 처리된 시료의 차감 스펙트럼을 얻었다. 주사전자현미경(JSM 6380, JEOL)을 사용하여 자외선 처리 및 광촉매에 대한 PLA/TiO2 필름의 표면구조 변화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PLA 고분자 재료의 기능성 도입을 위해 우수한 광촉매 활성도를 가지는 anatase 형의 TiO2를 PLA에 혼입한 후 PLA/TiO2 필름을 제조하고 자외선 조사 전후 표면의 반사율, ATR, 표면전위 측정 등을 통해 광촉매 함량 및 자외선 조사에너지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메틸렌 블루와 암모니아 가스 등의 유기물 분해특성을 알아보았고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도 조사하였다.
  • 10cm×10cm 크기의 시료를 유기오염 물질인 암모니아 가스의 제거 실험을 하였다. 암모니아의 탈취율은 가스검지관법에 의거하여 1L의 시험용기에 초기농도 40ppm의 암모니아 가스를 채운 후 일반 형광등과 자외선 램프 하에서의 암모니아 가스농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시료가 들어있지 않은 용기의 암모니아 가스농도(Cb)와 시료를 넣은 용기의 암모니아 가스농도(Cs)를 비교하여 아래의 식에 의해 탈취율(decoloration efficiency, DE)을 계산하였다.
  • 1mL를 떨어뜨리고 그 위에 3cm×3cm 크기의 투명 PE필름을 씌운 후, 그 위에 외경 9cm의 폴리스티렌 페트리디쉬로 덮는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료에 자외선 조시시간을 달리하여 조사에너지를 조절하고 portable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Minolta CR-11)를 사용하여 D65 광원에서 L*, a*, b*, △E(CIELAB)를 측정하여 색상 변화로서 메틸렌 블루의 광분해도를 측정하였다.
  • 의 최대 출력을 갖는 자외선 조사기(UVO-cleaner, Jelight)를 사용하였고 UV램프는 수은 증기가 충전된 표면처리용(H형)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에너지는 UV조사 시간을 달리하여 조절하였다.
  • 자외선 조사처리는 24mW/cm2의 최대 출력을 갖는 자외선 조사기(UVO-cleaner, Jelight)를 사용하였고 UV램프는 수은 증기가 충전된 표면처리용(H형)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에너지는 UV조사 시간을 달리하여 조절하였다.
  • 반사율 분광광도계(Gretag Macbeth, Coloreye 3100)를 사용하여 필름의 반사율 변화를 살펴보았고, ATR 분석은 FT-IR 분광분석기(Tensor 27, Bruker)를 사용하여 필름의 처리면을 ZnSe crystal의 한쪽 면에 접촉하고 일정 압력을 가한 후 측정하였고 처리 시료의 흡광도에서 미처리 시료의 흡광도를 차감하여 처리된 시료의 차감 스펙트럼을 얻었다. 주사전자현미경(JSM 6380, JEOL)을 사용하여 자외선 처리 및 광촉매에 대한 PLA/TiO2 필름의 표면구조 변화도 확인하였다. PLA/TiO2 필름 표면의 제타전위는 전기영동 광산란분광광도계(ELS 8000, Otsuka)와 NELS 평판 셀을 이용하여 0.

대상 데이터

  • 는 입자크기가 15nm 이하의 anatase이고 Aldrich 사에서 구입하였다. 광분해성 측정을 위해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C.I. Basic Blue 9)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PLA는 D형 함량이 1% 이하의 것으로 Natureworks 사에서 구입하였고 TiO2는 입자크기가 15nm 이하의 anatase이고 Aldrich 사에서 구입하였다. 광분해성 측정을 위해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C.
  • 제조된 PLA와 TiO2 혼합물을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200°C, 10MPa 압력으로 약 200㎛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론/모형

  • PLA/TiO2 필름의 항균성 평가는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에 의뢰하였고 균종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과 대장균(Escherichia coli)이며 정량시험법(JIS Z 2801)으로 평가하였다. 대조편은 Stomacher bag으로 하고 5cm×5cm 크기의 시료에 24시간동안 균을 배양시킨 후 각 대조편과 시험편의 균수를 측정하여 정균감소율을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O2은 어느 파장 영역에서 광촉매 활성을 나타내는가? 광촉매 효과는 1970년대 초 일본의 Fugishima와 Honda에 의해서 광촉매반응이 발견되었고 빛을 조사하면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하여 물이 산소와 수소로 분리되었다. TiO2는 300~400nm의 자외선 영역에서 광촉매 활성을 나타나는데 밴드 갭(3.2eV) 이상의 에너지를 받으면 전자가 여기되고 내부에 전자와 정공이 표면에서 흡착된 물질과 반응하여 산화와 환원 반응이 진행된다.
PLA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Poly(lactic acid)(PLA)는 최근 생분해되지 않은 합성 고분자에 의해 야기되는 폐기물 처리를 최소화하고 생체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친환경성 재료이고 인체 적합성도 우수한 생체용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8). PLA는 가수분해성을 갖는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이지만 낮은 열적 성질과 취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PLA 관련 연구로는 결정화 온도의 변화에 따른 분자구조 분석9), 섬유 생산용 방사공정10), 취성을 극복하기 위해 천연섬유나 합성섬유와의 복합11,12), 다양한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 고분자와 공중합 연구13) 등이 있다.
Poly(lactic acid)(PLA) 관련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PLA는 가수분해성을 갖는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이지만 낮은 열적 성질과 취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PLA 관련 연구로는 결정화 온도의 변화에 따른 분자구조 분석9), 섬유 생산용 방사공정10), 취성을 극복하기 위해 천연섬유나 합성섬유와의 복합11,12), 다양한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 고분자와 공중합 연구13) 등이 있다. PLA의 장점은 100% 재생 가능한 원료로부터 생산되고 병, 필름, 용기, 섬유 등으로 사용되며 의료용으로는 봉합사, 플레이트, 뼈 고정나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PLA 공중합체를 이용한 봉합사14), 약물전달체15), 인공관절16) 등에 관해서도 연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 Sunada, Y. Kikuchi, K. Hashimoto, A. Fujishima, Bactericidal and Detoxification Effects of $TiO_2$ Thin Film Photocatalysts, Envir. Sci. Tech., 32(5), 726-728(1998) 

  2. T. Minabe, P. Sawunyama, Y. Kikuchi, A. Fujishima, K. Haxhimoto, Photooxidation of Long-Chain Organic Compounds on $TiO_2$ Thin Film, Electrochemistry- Tokyo, 67(12), 1132-1134(1999) 

  3. B. G. Kong, S. G. Nah, C. Y. Choi, J. W. Nah, Antimicrob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Photocatalystic Compound Obtained by Sol-Gel Method, Appl. Chem., 8(1), 343-346(2004) 

  4. O. K. Kwon, J. G. Mon, B. H. Son, Y. H. Choi,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ellulose Fabric Treated with $TiO_2$ -Focusing on Antibacterial Activity, Deodorization & UV Cut Abiliy, J. Korean Cloth Ind., 5(4), 395-398(2003) 

  5. J. J. Kim, J. D. Ja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 Treated with $TiO_2$ /PEG, J. Korean Soc. Dyers & Finishers, 14(3), 189-194(2002) 

  6. K. H. Hong, T. J. Kang,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Properties of PET and Nylon 6 Fabrics Treated with Nano $TiO_2$ , Text. Sci. Eng., 42(4), 235-240(2005) 

  7. S. H. Kim, Biomedical Polymer-Bioabsorbable Polymer, Fiber Tech. Ind., 4(1/2), 13-23(2004) 

  8. H. Tsuji, Poly(lactide) stereocomplex: Formation, Structure, Properties, Degradation, and Application, Macromol. Biosci., 5, 569-597(2005) 

  9. J. Zhang, Y. Duan, H. Sato, H. Tsuji, I. Noda, S. Yan, T. Izaki, Crystal Modification and Thermal Behavior of Poly(1-lactic acid) Revealed by Infrared Spectroscopy, Macromolecules, 38, 8012-8021(2005) 

  10. S. Solarski, M. Ferreira, E. Devaux, Characterization of the Thermal Propertise of PLA Fibers by Modulate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Polymer, 46, 11187-11192(2005) 

  11. L. Petersson, I. Kvien, K. Oksman, Structure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Cellulose Whiskers Nanocomposite Materials, Composites Sci. Tech., 67, 2535-2544(2007) 

  12. S. Wong, R. A. Shank, A. Hodizic, Effect of Additives on the Interfacial Strength of Poly (L-lactic acid) and Poly(3-Hydroxy butyric acid)-flax Fiber Composites, Composites Sci. Tech., 67, 2478-2484(2007) 

  13. T. Paragkumar, D. Edith, S. J. Lue, Surface Characteristic of PLA and PLGA Films, Appl. Surf. Sci., 253, 2758-2764(2006) 

  14. S. W. Lee, H. Y. Kim, D. R. Lee, M. S. Kim, Synthesis of Segmented and Block Poly(L-lactideco- p-dioxanone) Copolymers and Comparison of In-vitro Behavior of the Copolymer, J. Korean Fiber Soc., 39(2), 167-172(2002) 

  15. X. Y. Xiong, Y. P. Li, Z. L. Li, C. L. Zhou, K. C. Tam, Z. Y. Liu, G. X. Xie, Vesicles from Pluronic /Poly(lactic acid) Block Copolymers as New Carriers for Oral Insulin Delivery, J. Controlled Release, 24(5), 713-720(2000) 

  16. M. Ikavalko, E. T. Skytta, E. A. Belt, One-year Results of Use of Poly(L/D-lactic acid) Joint Scaffolds and Bone Packing in Revision Metacarpophalangeal Arthroplast, J. Hand Surgery, 32(4), 427-433(2007) 

  17. J. Lee, Antimicrobial Agents and Applications on Polymertic Materials, J. Korean Soc. Dyers & Finishers, 20(3), 39-56(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