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광학센서를 이용한 쌀 단백질함량 예측
Estimation of Rice Grain Protein Contents Using Ground Optical Remote Sensor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4 no.6, 2008년, pp.551 - 558  

김이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광학 센서를 이용한 벼 생육단계 별 식생지수와 쌀 단백질함량의 관계를 구명하여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능동형 광학센서인 GreenSeeker(NTech Inc., USA) GNDVI(gree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rho}0.80{\mu}m-{\rho}0.55{\mu}m)/({\rho}0.80{\mu}m+{\rho}0.55{\mu}m)$)와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rho}0.80{\mu}m-{\rho}0.68{\mu}m)/({\rho}0.80{\mu}m+{\rho}0.68{\mu}m)$) 2종의 센서를 이용하여 벼 군락의 반사특성을 측정하고 동시에 식물체 샘플링을 통한 쌀 단백질함량을 분석하였다. 3년 동안(2005-2007년) 벼 출수 후 식생지수와 쌀 단백질함량의 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모든 시기에 걸쳐 GNDVI가 NDVI보다 상관이 높았고. 벼 수확기가 가까울수록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 예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벼 유수형성기와 출수기 두 시기의 GNDVI값과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과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91, 0.81로 특히 이삭거름 주기 전에 측정한 GNDVI를 통하여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을 예측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수형성기 GNDVI를 이용한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 경험 모델식을 구하고 경험 모델식에서 얻어진 추정값과 실측값의 관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2005년과 2006년에서 구한 경험모델식의 쌀 단백질함량 추정값과 2007년도 쌀 단백질함량 실측값을 1:1 line에서 비교해본결과 결정계수가 높게 나타났다($R^2=0.96^{***}$).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ell known that the protein content of rice grain is an indicator of taste of cooked rice in the countries where people as the staple food. Ground-based optical sensing over the crop canopy would provide information not only on the mass of plant body which reflects the light, but also on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벼 군락의 분광반사율 지표를 측정할수 있는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2종의 능동형 지상 광학센서(GNDVI, NDVI)에서 얻어지는 식생지수와 생육시기별 쌀 단백질함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식생지수를이용한 쌀 단백질함량 추정을 통해 고품질 쌀 생산에 필요한 수확기 쌀 단백 질함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능동형 광학센서를 이용하여 벼 생육시기에 따라 광학센서로부터 얻어진 식생지수(GNDVI, NDVI)와 쌀 단백질함량의 관계를 알아보고 상관관계가 높은 센서의 식생지수를 통하여 수확기 쌀 단백질함량을 예측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이현, 홍석영, 이지민, 임상규, 곽한강, 2005. 광학센서를 이용한 식생지수와 쌀 단백질함량 관계. 2006 대한원격탐사학회 춘계학술대회, March 31: 193-198 

  2. 김이현, 홍석영, 2006. 지상광학센서를 이용한 비파괴 벼 엽 질소함량 추정,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0(6): 435-441 

  3. 홍석영, 김이현, 최철웅, 이지민, 이재중, 임상규, 곽한강, 2005. 지상센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벼 군락의 엽 질소함량 추정, 2006 대한원격탐사학회 춘계학술대회, March 31: 218-223 

  4. Anna, P. and B. Abdou, 2001. Application of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for LAI estimation in precision farming, Canadian Remote Sensing Symposium 

  5. Aparicio, N., D. Villegas, J. Casadesus, J. L. Araus, and C. Royo, 2000. Spectral vegetation indices as non-destructive tools for determining durum wheat yield, Agronomy. J., 92: 83-91 

  6. Asaka, D. and H. Shiga, 2003. Estimating rice grain protein contents with SPOT/HRV data acquired at maturing stage, Journal of The Remote Sensing Society of Japan, 23(5): 451-457 

  7. Barbara, J. Y. and R. E. Pettigrew-Crosby, 1995. Predicting nitrogen and chlorophyll content and concentrations from reflectance spectra at leaf and canopy scal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3: 199-211 

  8. Baret, F. and G. Guyot, 1991. Potentials and limits of vegetation indices for LAI and APAR assessmen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5: 161-173 

  9. Best, R. G. and J. C. Harlan, 1985. Spectral estimation of green leaf area index of oa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7: 27-36 

  10. Christensen, S. and J. Goudriaan, 1993. Deriving light interception and biomass from spectral reflectance ratio,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43: 87-95 

  11. Hong, S. Y., K. A. Sudduth., N. A. Kitchen., C. W. Fraisse., H. L. Palm, and W. J. Wiebold, 2004. Comparison of remote sensing and crop growth models for estimating withinfield LAI variabilit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0: 175-188 

  1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s of soil and crop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3. Richardson, A. J. and C. L. Weigand, 1992. Using Spectral Vegetation Indices to Estimate Rangeland Productivity, Geocarto International, 1: 63-77 

  14. Ryu, C. S., M. Suguri, and M. Umeda, 2005. Estimation the nitrogen contents and the rice quality using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technology, European Conference of Precision Agriculture 2005, pp. 325-330 

  15. Scharf, P. C., J. P. Schmidt., N. P. Kitchen., K. A. Sudduth., S. Y. Hong., J. A. Lory, and J. G. Davis, 2002. Remote sensing for nitrogen management,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57(6): 518-5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