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난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수온, 염분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and Larval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원문보기

韓國養殖學會誌 = Journal of aquaculture, v.21 no.4, 2008년, pp.234 - 238  

황형규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김대현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박민우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윤성종 (국립수산과학원 양식관리과) ,  이윤호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초록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종묘생산 및 양식가능성을 조사하기위하여 난발생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난경은 $0.91{\sim}1.33\;mm$였으며, 1개의 유구를 갖고 있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이었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16^{\circ}C$일 때 약 70시간, $20^{\circ}C$일 때 48시간, $24^{\circ}C$일 때 42시간, $28^{\circ}C$일 때 34시간으로 고수온일수록 빠른 경향이었다. 부화율은 자연해수 조건인 $20{\sim}24^{\circ}C$$33{\sim}35\;psu$ 범위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t: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난발생이 진행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6.9^{\circ}C$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development and hatching rate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under laboratory culturing condition. The fertilized eggs were transparent, spherical, separate in shape and turned out to be separately and floated, and they contained o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 부화시간, 부화율, 기형어 출현율 등을 관찰하였다. 각 단계별 발생은 입체현미경(Olympus, SZH-10)과 만능투영기 (Nikos, V-12A)를 사용하여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수정 후 발생단계별 소요시간 산출은 각 발생단계가 전체 알의 50%를 차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종묘생산 및 양식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난발생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난경은 0.
  • 성숙 유도를 위한 호르몬 처리시기의 결정은 생식소숙도와 생식소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여 생식소숙도지수 4이상, 난경 600 pm이상의 성숙 어미가 관찰되는 5월 하순(수온 17 이상)부터 최종 성숙 및 배란 유도를 위해 성숙 촉진관련 호르몬인 LHRHa (des-Gly10[D-Ala6]-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TV-ethylamid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체중 kg 당 400 μg을 Freund's incomplete adjuvant에 유화하여 서서히 체내에 흡수되도록 주사하였다. 수정은 복부가 팽만한 어미를 선별하여 복부 압박으로 추출한 알과 정자를 건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 수정란은 각 실험구당 200개씩 수용하여 3반복으로 설정하여 관찰하였다. 수온에 따른 발생속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8세포기, 상실기, Kupffer尖포 출현기 및 부화자어기를 기준으로 하였고(Fig. 1),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 부화시간, 부화율, 기형어 출현율 등을 관찰하였다. 각 단계별 발생은 입체현미경(Olympus, SZH-10)과 만능투영기 (Nikos, V-12A)를 사용하여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 2 psu인 여과해수를 채우고, 각 실험수조의 수온을 16, 20, 24, 28。<2로 설정하였다. 수정란은 각 실험구당 200개씩 수용하여 3반복으로 설정하여 관찰하였다. 수온에 따른 발생속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8세포기, 상실기, Kupffer尖포 출현기 및 부화자어기를 기준으로 하였고(Fig.
  • 수정란의 염분농도별 부화율과 부화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2 L 유리 비이커에 사육 수온을 20±r>C를 유지하면서 염분은 10, 15, 20, 25, 30, 33, 35, 37 psu의 8개 실험구(3반복)로 설정하였다. 수정란은 각 실험구당 200개씩 수용하여 사란 개체수, 부화율, 기형어 출현율 등을 조사하였다.
  • 해수는 매일 2회 30%정도 환수하였다. 수정란의 염분농도별 부화율과 부화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2 L 유리 비이커에 사육 수온을 20±r>C를 유지하면서 염분은 10, 15, 20, 25, 30, 33, 35, 37 psu의 8개 실험구(3반복)로 설정하였다. 수정란은 각 실험구당 200개씩 수용하여 사란 개체수, 부화율, 기형어 출현율 등을 조사하였다.
  • 수정은 복부가 팽만한 어미를 선별하여 복부 압박으로 추출한 알과 정자를 건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률은 100개의 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2세포기 단계까지 발생한 알을 수정란으로 판단하였다. 수온이 난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 L 유리 비이커에 염분 35.
  • Louis, MO, USA)를 체중 kg 당 400 μg을 Freund's incomplete adjuvant에 유화하여 서서히 체내에 흡수되도록 주사하였다. 수정은 복부가 팽만한 어미를 선별하여 복부 압박으로 추출한 알과 정자를 건식법으로 인공 수정하였다. 수정률은 100개의 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2세포기 단계까지 발생한 알을 수정란으로 판단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어는 경남 통영 욕지도에서 2005년 9~10월에 정치망에서 어획한 체중 100g 이상의 미성어를 해상 원형가두리( 15~20 m)에서 배합사료와 냉동 크릴새우를 공급하면서 사육한 체장 28.0~34.0 cm, 체중 250~540 g 전후의 성숙어미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 통계 패키지(version 9.0)를 이용하여 one-way ANOVA test로 평균간의 유의성 (F<0.05)을 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derdice, D. F. and C. R. Forrester, 1968. Some effects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early development and survival of the English sole (Parophrys vetulus). J. Fish. Res. Bd. Can., 25, 495?521 

  2. Chyung, M. 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Korea, pp. 453?454 

  3. Dickerson, T., B. J. Macewicz and J. R. Hunter, 1992. Spawning frequency and batch fecundity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CalCOFI Rep., 33, 130?140 

  4. Forrester, C. R. and D. F. Alderdice, 1986. Effects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J. Fish. Res. Bd. Canada, 23, 319?340 

  5. Go, H. B., S. Rho, 1996. Low salinity tolerance of eggs and juveniles of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J. Aquacult., 9, 43?55 

  6. Gunnes, K., 1979. Survival and development of Atlantic salmon eggs and fry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Aquaculture, 16, 211?218 

  7. Han, K. H., J. K. Cho, 2007.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panther puffer, Takifugu pardalis. J. Aquacult., 20(4), 265?269 

  8. Herzig, A. and H. Winkler, 1986.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ree cyprinid fishes, Abramis brama, Chalcalburnus chalcoides and Vimba vimba. J. Fish. Biol., 28, 171?181 

  9. Hokanson, K. E. F., J. H. McCormick and B. R. Jones, 1973.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embryos and larvae of the northern pike, Esox lucius (Linnaeus). Trans. Am. Fish. Soc., 102, 89?100 

  10. Holliday, F. G. T., 1969. The effects of salinity on the eggs and larvae of teleost. Fish Physiology, Vol. I. Academic Press, New York, pp. 293?310 

  11. Hwang, H. K., J. U. Lee, S. G. Yang, S. C. Kim, K. M. Kim and S. Rho, 2001.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rabbitfish, Siganus canaliculatus. Bull. Nat'l. Fish. Dev. Inst. Korea, 59, 99?106 

  12. Jun, J. C., C. H. Kim, J. S. Kim, B. K. Kim and S. U. Kim, 1999.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mbryonic development of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6, 83?90 

  13. Katavic, I., 1980.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eggs and larvae. Nova Thalassia, 4, 113?115 

  14. Kayano, Y., 1988. Development of mouth parts and feeding in the larval and juvenile stage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Bull. Okayama Pref. Fish. Exp., 3, 55?60 

  15. Kumai, H., 1984. Biological studies on culture of the Japanes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Bull. Fish. Lab. Kinki Univ., 2, 5?10 

  16. Lewis, R. M., 1965. The effect of minimum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larval Atlantic menhaden, Brevoortia tyrannus, Trans. Am. Fish. Soc., 94, 409?412 

  17. Rana, K. G, 1990. Influence of incubation temperature on Oreochromis niloticus (L.) eggs and fry. I. Gross embryology, temperature tolerance and rates of embryonic development. Aquaculture, 87, 165?181 

  18. Rho, S. and C. K. Pyen, 1986. Mass fry production of rock cod, Epinephelus fario and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Rept. Aquacult. Lab. Coll. Mar. Sci. Technol. Cheju Univ., 3, 20?37 

  19. Shiraishi, T., K. Ohta, A. Yamaguchi, M. Yoda, H. Chuda and M. Matsuyama, 2005. Reproductive parameters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estimated from HCG-induced final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in captivity. Fish. Sci., 71, 531?542 

  20. Watanabe, T., 1970. Morphology and ecology of early stages of life in Japanese common mackerel, Scomber japonicus Houttuyn, with special reference to fluctuation of population of population. Bull. Tokai Reg. Fish. Res. Lab., 62, 283 pp 

  21. Yamada, T., I. Aoki, and I. Mitani, 1998. Spawning time, spawning frequency and fecundity of Japanes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waters around the Izu Islands. Japan. Fish. Res., 38, 83?89 

  22. Yamada, T., I. Aoki, M. Shiraish and I. Mitani, 1996. Matuation and spawning of the Japanes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sea area of Izu Island. Bull. Jpn. Soc. Fish. Oceanogr., 60, 331?338 

  23. Yasunaga, Y., 1975.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f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egg and the survival of Paralichthys olivaceus. Bull. Tokai Reg. Fish. Res. Lab., 81, Mar.; 151?169 

  24. Yong, P. S. and C. E. Duenas, 1993. Salinity tolerance of fertilized eggs and yolk-sac larvae of the rabbitfish Siganus guttatus (Bloch). Aquaculture, 112, 363?377 

  25. Yoon, C. H., 2002. Fishes of Korea with Pictorial Key and Systematic List. Academy Publ. Co., Seoul, 747 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